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399631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저자명

    신현정                                              

  • 학술지명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 권호사항

    Vol.2016 No.12 [2016]                                                        

  • 발행처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83-88(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고령화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치매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치매를 이해하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전자, 대사경로, 임상, 약...
  • 고령화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치매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치매를 이해하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전자, 대사경로, 임상, 약물 데이터 등 전문가에 의해 정제된 다양한 바이오메디컬 데이터에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연구들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치매는 예방에서부터 진단 및 치료까지 아우르는 총체적인 관리가 필요한 질병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접근방법으로 구성된 포괄적인 치매연구를 제안한다. 첫째,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 질병네트워크를 활용한다. 질병네트워크는 대사경로 속 유전자의 관계정보로 서로 다른 질병들 간의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즉, 치매에 영향을 끼치는 질병과 치매로부터 영향을 받는 질병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치매진단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병원에서 수집한 임상환자들의 진료 기록(CREDOS)을 토대로 기계학습 예측모델을 구성하는 CAD(Computer Aided Diagnosis)를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치매 치료에 사용되는 새로운 약물을 창출하기 위해서 단백질 및 질병 정보를 활용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머리말
  • 2. 질병 인과관계 네트워크에서 치매
  • 3. 효율적인 치매진단을 위한 CAD 연구
  • 4. 치매치료를 위한 신약재창출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28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접근 / 이동국 2013  150
2427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정도와 인지기능 장애 및 행동 장애간의 상관 / 조성완, 박종한 1994  162
2426 9 보건의료 기타 치매의 임상적 특징 / 전진숙 2000  183
2425 9 보건의료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김정은 2017  130
2424 9 보건의료 치매 관련 사회복지연구의 동향 분석 - 국내 사회복지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최희경 2016  828
»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2016  63
2422 13 인구 독일법상 신뢰출산제도에 관한 소고 / 안경희 2017  227
2421 13 인구 저출산과 개인화 / 오유석 2015  100
2420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 정인경 2015  126
2419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이장희 2015  134
2418 12 낙태 낙태(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쟁점 / 이병호 2015  419
2417 9 보건의료 주요 외국의 희귀의약품과 항암제 별도 기금 제도 고찰 및 시사점 / 정승연 2017  124
2416 9 보건의료 상급종합병원과 희귀난치성질환 전문병원의 희귀의약품 사용현황 / 최경숙 2016  100
2415 9 보건의료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에 관한 소고 / 최호영 2016  80
2414 9 보건의료 필수의약품에 대한 접근 보장과 국영제약사의 역할: 해외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 / 김선 2015  165
2413 9 보건의료 감염질환 진료시 희귀의약품 사용의 현황과 개선할 점 / 김민정 2015  69
2412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의 공급 중단 실태와 정책과제 / 박실비아 2015  117
2411 9 보건의료 한국, 호주, 캐나다, 영국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접근성에 대한 고찰 / 배그린 2014  112
2410 9 보건의료 희귀 의약품의 현재 상황과 발전 방향 / 손영배 2013  146
2409 9 보건의료 희귀질환 연구와 치료제 개발 동향 / 이신행, 이장익 2013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