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고려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41195 
특집: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The Constitutional Understanding of the Low Birthrate Problem and Approaches for its Resolution

                                 

  • 저자명

    이장희 ( Jang Hee Lee )                                                        

  • 학술지명

    고려법학                           

  • 권호사항

    Vol.79 No.- [2015]                                                        

  • 발행처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85-128(4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0                                                                                                                            

  • 초록 (Abstract)
    • 저출산 현상은 주어진 사회적 현실에서 개개인이 출산을 하지 않기로 선택함으로써 저마다 최선의 행복을 달성하려는 노력들이 모아진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게 ...
  • 저출산 현상은 주어진 사회적 현실에서 개개인이 출산을 하지 않기로 선택함으로써 저마다 최선의 행복을 달성하려는 노력들이 모아진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게 전개된다고 하여 당장 ‘비출산자’를 비난할 수는 없다. 그것은 그들 나름대로의 인간적 존엄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자율적인 가족계획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비출산자 역시 ‘주어진 사회적 현실로 인해 자녀를 마음껏 출산하지 못한 불행한 피해자’라고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저출산 문제의 핵심은 출산의 선택에 심각한 제약을 가하는 사회적 현실로 인해 ‘출산의 자유’가 실질적으로 침해되고 있다는데서 찾을 수 있다.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은 일단 저출산의 원인을 직접 겨냥한 내용으로 채워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정책의 실효성을 얻기 어려움은 물론이고, 결국 사람들의 공감을 얻기 어려울 것이고 또 출산을 선택하도록 마음을 돌릴 수도 없을 것이다. 또한 저출산 대책은 기본적으로 개인의 출산의 자유와 평등에 관련된 문제란 점에서 헌법적 이해와 접근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랬을 때 저출산 대책으로 인해 과도한 기본권 침해의 문제를 피할 수 있을 것이며 또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정책의 집행으로 국민적 신뢰까지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산을 선택하게끔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겠지만, 좀 더 근본적으로는 사회경제적 구조와 현실을 개선·변화시키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428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접근 / 이동국 2013  150
2427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정도와 인지기능 장애 및 행동 장애간의 상관 / 조성완, 박종한 1994  162
2426 9 보건의료 기타 치매의 임상적 특징 / 전진숙 2000  183
2425 9 보건의료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김정은 2017  130
2424 9 보건의료 치매 관련 사회복지연구의 동향 분석 - 국내 사회복지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최희경 2016  832
2423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2016  63
2422 13 인구 독일법상 신뢰출산제도에 관한 소고 / 안경희 2017  227
2421 13 인구 저출산과 개인화 / 오유석 2015  101
2420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 정인경 2015  126
»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이장희 2015  134
2418 12 낙태 낙태(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쟁점 / 이병호 2015  420
2417 9 보건의료 주요 외국의 희귀의약품과 항암제 별도 기금 제도 고찰 및 시사점 / 정승연 2017  124
2416 9 보건의료 상급종합병원과 희귀난치성질환 전문병원의 희귀의약품 사용현황 / 최경숙 2016  100
2415 9 보건의료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에 관한 소고 / 최호영 2016  80
2414 9 보건의료 필수의약품에 대한 접근 보장과 국영제약사의 역할: 해외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 / 김선 2015  165
2413 9 보건의료 감염질환 진료시 희귀의약품 사용의 현황과 개선할 점 / 김민정 2015  69
2412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의 공급 중단 실태와 정책과제 / 박실비아 2015  117
2411 9 보건의료 한국, 호주, 캐나다, 영국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접근성에 대한 고찰 / 배그린 2014  112
2410 9 보건의료 희귀 의약품의 현재 상황과 발전 방향 / 손영배 2013  146
2409 9 보건의료 희귀질환 연구와 치료제 개발 동향 / 이신행, 이장익 2013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