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내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459359 
원저 : 감염 ; 감염질환 진료시 희귀의약품 사용의 현황과 개선할 점
= Original Articles : Infectious disease ; The Use of Orphan Drugs for Infectious Disease: Current Status and Unmet Needs

                                    

  • 저자명

    김민정, 장현하, 진선, 박정화, 정혜진, 이혜진, 최상호, 김신우                        

  • 학술지명

    대한내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 권호사항

    Vol.89 No.6 [2015]                                                          

  • 발행처

    대한내과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aim.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675-680(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등재정보

    KCI등재

  •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onveniences and potential improvements in the use of orphan drugs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as determined by a survey of medical professionals. Methods: An email was sent...
  •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onveniences and potential improvements in the use of orphan drugs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as determined by a survey of medical professionals. Methods: An email was sent twice to the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for Chemotherapy,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drug use and associated difficulties as well as the scope for improvement. Results: A total of 77 medical 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Rabies vaccine (n = 52), rabies immunoglobulin (n = 47), and foscarnet injection (n = 43) were supplied mainly through the Korea Orphan Drug Center (KODC), while artesunate (n = 29), quinine sulfate capsule (n = 24), quinine dihydrochloride injection (n = 23), and quinidine gluconate injection (n = 21) were supplied mainly through the National Medical Center (NMC). Difficulties in obtaining orphan drugs through the KODC were related to the KODC drug retrieval system (n = 67, 95.7% of respondents), lack of supplies on holidays (n = 66, 94.3%), complicated application procedures and documents (n = 61, 87.1%), and shipping inconveniences (n = 61, 87.1%). With regard to the use of orphan drugs supplied through the NMC, 52 participants (98.1%) responded that a staff visit should be mandatory for obtaining the drugs. Conclusions: Antivirals and antimalarial drugs are major orphan drugs used for the treatment of rare infection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ore efficient system to ensure a stable supply of orphan drugs, including on holidays, to enhance the smart drug searching system, and to simplify related administrative procedures. (Korean J Med 2015;89:675-68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28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접근 / 이동국 2013  150
2427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정도와 인지기능 장애 및 행동 장애간의 상관 / 조성완, 박종한 1994  162
2426 9 보건의료 기타 치매의 임상적 특징 / 전진숙 2000  183
2425 9 보건의료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김정은 2017  130
2424 9 보건의료 치매 관련 사회복지연구의 동향 분석 - 국내 사회복지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최희경 2016  828
2423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2016  63
2422 13 인구 독일법상 신뢰출산제도에 관한 소고 / 안경희 2017  227
2421 13 인구 저출산과 개인화 / 오유석 2015  100
2420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 정인경 2015  126
2419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이장희 2015  134
2418 12 낙태 낙태(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쟁점 / 이병호 2015  419
2417 9 보건의료 주요 외국의 희귀의약품과 항암제 별도 기금 제도 고찰 및 시사점 / 정승연 2017  124
2416 9 보건의료 상급종합병원과 희귀난치성질환 전문병원의 희귀의약품 사용현황 / 최경숙 2016  100
2415 9 보건의료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에 관한 소고 / 최호영 2016  80
2414 9 보건의료 필수의약품에 대한 접근 보장과 국영제약사의 역할: 해외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 / 김선 2015  165
» 9 보건의료 감염질환 진료시 희귀의약품 사용의 현황과 개선할 점 / 김민정 2015  69
2412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의 공급 중단 실태와 정책과제 / 박실비아 2015  117
2411 9 보건의료 한국, 호주, 캐나다, 영국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접근성에 대한 고찰 / 배그린 2014  112
2410 9 보건의료 희귀 의약품의 현재 상황과 발전 방향 / 손영배 2013  146
2409 9 보건의료 희귀질환 연구와 치료제 개발 동향 / 이신행, 이장익 2013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