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저출산과 개인화 / 오유석

13 인구 조회 수 100 추천 수 0 2017.07.21 10:10:26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동향과 전망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35221 
저출산과 개인화
= The Low Fertility and Individualization - `Birth Strike` vs `Birth Choice` -

                  

  • 저자명

    오유석(Yoo-Seok Oh)                                                           

  • 학술지명

    동향과 전망                            

  • 권호사항

    Vol.- No.94 [2015]                                                          

  • 발행처

    한국사회과학연구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5-92(4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KDC

    305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0                                                                                                                              

  • 초록 (Abstract)
    • 이 논문은 초저출산과 고령화가 맞물려진 최근의 `초저출산` 문제를 탈근대 개인화 과정으로 보고 젠더 관계를 중심으로 재해석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여기서는 가족, 결혼, 성에 대한 문화...
  • 이 논문은 초저출산과 고령화가 맞물려진 최근의 `초저출산` 문제를 탈근대 개인화 과정으로 보고 젠더 관계를 중심으로 재해석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여기서는 가족, 결혼, 성에 대한 문화적 가치 변화를 `개인화`라는 `자기실현과 다양성의 인정`이라는 사회적 흐름으로 이해하고 저출산의 원인들로 지목된 현상들을 살펴본다. 그 결과 저출산이 전통적인 결혼관과 출산(자녀)관 및 남성 생계부양가족 가치의 해체와 함께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여성들의 탈귀속주의가 초기현대의 남성중심 성별분업 구조로 만들어진 핵가족을 해체하고 여성의 출산권을 자기 주도적으로 선택하고 책임지는 `개인화` 과정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저출산을 여성들의 수동적인 `출산파업`으로 진단하고 해법을 찾아서는 안 되고 여성들이 역동적이고 적극적인 `출산선택`으로 이행하는 과정으로 볼 것을 주장한다. 따라서 저출산의 해법도 부모가 되는 것을 하나의 삶의 스타일로 선택하는 변화에 맞추어 다양한 개인화를 존중하고, 가족 해체나 새로운 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너그럽고, 평등한 젠더 관계에서 일과 임신과 출산 그리고 양육과 자녀교육을 남녀가 함께 책임지고 선택할 수 있도록 고용 복지, 교육, 조세 제도 등 전 방위적인 젠더 관점에서의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제기
  • 2. 기존 연구 검토
  • 3. `출산`은 개인의 선택
  • 4. 맺음말
  • 참고문헌
  • 초록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28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접근 / 이동국 2013  150
2427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정도와 인지기능 장애 및 행동 장애간의 상관 / 조성완, 박종한 1994  162
2426 9 보건의료 기타 치매의 임상적 특징 / 전진숙 2000  183
2425 9 보건의료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김정은 2017  130
2424 9 보건의료 치매 관련 사회복지연구의 동향 분석 - 국내 사회복지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최희경 2016  828
2423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2016  63
2422 13 인구 독일법상 신뢰출산제도에 관한 소고 / 안경희 2017  227
» 13 인구 저출산과 개인화 / 오유석 2015  100
2420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 기술과 여성의 시민권 / 정인경 2015  126
2419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이장희 2015  134
2418 12 낙태 낙태(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쟁점 / 이병호 2015  419
2417 9 보건의료 주요 외국의 희귀의약품과 항암제 별도 기금 제도 고찰 및 시사점 / 정승연 2017  124
2416 9 보건의료 상급종합병원과 희귀난치성질환 전문병원의 희귀의약품 사용현황 / 최경숙 2016  100
2415 9 보건의료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에 관한 소고 / 최호영 2016  80
2414 9 보건의료 필수의약품에 대한 접근 보장과 국영제약사의 역할: 해외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 / 김선 2015  165
2413 9 보건의료 감염질환 진료시 희귀의약품 사용의 현황과 개선할 점 / 김민정 2015  69
2412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의 공급 중단 실태와 정책과제 / 박실비아 2015  117
2411 9 보건의료 한국, 호주, 캐나다, 영국의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의 접근성에 대한 고찰 / 배그린 2014  112
2410 9 보건의료 희귀 의약품의 현재 상황과 발전 방향 / 손영배 2013  146
2409 9 보건의료 희귀질환 연구와 치료제 개발 동향 / 이신행, 이장익 2013  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