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연구부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업무지원 공용IRB 사무국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 운영 기관위원회 평가인증사무국 기관위원회 등록 및 평가인증 연명의료관리센터 연명의료결정제도 운영 및 지원
공지사항 『생명, 윤리와 정책』제7권 제1호 원고 모집 안내(~3/23) 2023.03.14 2023년 생명윤리정책연구 자유공모 지원사업 공고 (접수기간 연장, ~3/20까지) 2023.03.08 2023년 상반기 유전자검사기관 종사자 심화교육 안내 2023.02.27 제1차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 지정 결과 공고 2023.02.24 [보도자료] 국가생명윤리정책원, 국내 최초 생명윤리 전공자를 위한 장학사업 시작 2023.02.21 공지사항 더보기 입찰공고 2023년 연명의료결정제도 온라인 홍보 운영 2023.03.16 2023년도 연명의료 정보시스템 기능 개선 및 통합 유지관리 2023.03.16 2023년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증 제작 발송 2023.02.01 2022년 내외부 고객만족도 조사 2023.01.16 2023년 DTC 유전자검사 항목에 대한 외부정도관리 평가(긴급) 2023.01.02 입찰공고 더보기 채용공고 제2022-6차 직원 및 청년인턴 채용 최종 합격자 발표 2023.01.17 제2022-6차 직원 및 청년인턴 채용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2022.12.27 [공고 제2022-06호] 제2022-6차 직원 및 청년인턴 채용 공고 2022.11.29 제2022-5차 청년인턴 채용 최종 합격자 발표 2022.10.28 제2022-5차 청년인턴 채용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2022.10.21 채용공고 더보기
최신 글 국내 [3월 21일] 세계 최초 태아 뇌 줄기세포 이식해 파킨슨병 치료 효과 확인 등 국내 [3월 20일] 와이오밍주, 美 최초 낙태약 '불법화'…어기면 최장 6개월형 등 해외 크리스퍼 베이비(유전자편집 아기)가 여전히 위험한 이유 국내 [3월 17일] 7만명 분석해 3개 희귀 유전질환 원인 유전자 찾았다 등 국내 [3월 16일] 가정폭력 피해자에게 낙태약 준 활동가, 폴란드 법원서 '유죄' 등
생명윤리 언론동향 국내 [3월 21일] 세계 최초 태아 뇌 줄기세포 이식해 파킨슨병 치료 효과 확인 등 신규글 □ 세계 최초 태아 뇌 줄기세포 이식해 파킨슨병 치료 효과 확인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태아 중뇌 유래 ... [3월 20일] 와이오밍주, 美 최초 낙태약 '불법화'…어기면 최장 6개월형 등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와이오밍주, 美 최초 낙태약 '불법화'…어기면 ... [3월 17일] 7만명 분석해 3개 희귀 유전질환 원인 유전자 찾았다 등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7만명 분석해 3개 희귀 유전질환 원인 유전자 찾았다 과학자들... [3월 16일] 가정폭력 피해자에게 낙태약 준 활동가, 폴란드 법원서 '유죄' 등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가정폭력 피해자에게 낙태약 준 활동가, 폴란드 법원서 '... [3월 15일] 美 낙태약 판매 금지 소송 텍사스서 개시…여성단체 반발 등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美 낙태약 판매 금지 소송 텍사스서 개시…여성단체 반... [3월 14일] 中, 미혼여성 난자 냉동보관 허용 가능성…의견 수렴중 등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유전자 편집기술로 콜레스테롤 수치도 낮출 수 있다? 국가생명... [3월 13일] “대물림될 수 있는 인간유전체편집은 ‘시기상조’... 연구윤리 제도 아...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대물림될 수 있는 인간유전체편집은 ‘시기상조&r... [3월 10일]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임신중단할 자유, 헌법에 새기겠다" 등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임신중단할 자유, 헌법에 새기겠다" 등... [3월 9일] 수컷 쥐 세포로 난자 만들어 아기 쥐 탄생...난임 치료 새 길 열까 등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수컷 쥐 세포로 난자 만들어 아기 쥐 탄생...난임 치료 새 길 ... Previous Next 국내언론동향 더보기 해외 크리스퍼 베이비(유전자편집 아기)가 여전히 위험한 이유 ※ 기사1. Why CRISPR babies are still too risky — embryo studies highlight challenges ※ 기사2. E... 보조생식 및 출산 세부모 아기(Three-parent baby) 기술이 심각한 질환에 걸릴 위험이 있는 아이를 ...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기사: Three-parent baby technique could create babies at r... 과학기술발전 명문대 입학을 위해 배아 검사를 하고자 하는 미국인들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기사1. Americans are ready to test embryos for future coll... 보조생식 및 출산 '다회(prolific)' 정자 기증을 우려하며 오스트레일리아 전역에 정자 기증자 등록...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기사. Urgent calls for Australia-wide register of sperm do... 개인정보보호 미 상원, 개인데이터를 추적하고 수익화하는 원격 의료 회사 조사 착수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기사. Senators Launch Inquiry into Telehealth Companies f... 연명의료 및 죽음 포르투갈: 헌법재판소, 안락사법 무효화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기사1. Portugal: The Constitutional Court Invalidates the E... 장기 및 인체조직 미국 매사추세츠주, 수용자들이 장기기증으로 형기를 단축할 수 있는 법안 발의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기사1. Massachusetts prisoners may get shorter sentences f... 연명의료 및 죽음 캐나다, 세계 어느 나라보다 의사조력사 이후 장기 기증이 많은 국가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기사1. Canada performing more organ transplants from MAID ... 생명윤리 미국, The Right to Build Families Act(가족을 구성할 권리에 관한 법률) 발의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 Right to Build Families Act of 2022 ※ 기사1. Here's Wh... Previous Next 해외언론동향 더보기
관련 사이트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정보포털 생명윤리정책 전문도서관 공용위원회e-IRB 시스템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정보/교육포털 기관생명윤리위원회 관리시스템 DTC유전자검사 검사역량인증처리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