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68027 


헬싱키 선언의 개정내용에 대한 연구


기타서명A Study on revised contents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저자박미선
발행사항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형태사항viii, 219 p. : 삽화.
일반주기명지도교수: 최경석,참고문헌: p. 128-130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2017. 8. 졸업
DDC100
발행국서울
언어한국어
출판년2017
소장기관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211048)
초록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mendments after the adoption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focusing on themes, and to ascertain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ir positions. Although the Declaration of Helsinki is not legally binding, it is regarded as an excellent international norm for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autonomous regulatory models for researchers and for the protection and respect of research subjects.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changes in the Declaration of Helsinki, which has been announced so far, in terms of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the Declaration of Helsinki. In other words, we have identified what changes in the meaning of the Declaration were made when the Declaration was first made. Additionally, we reviewed the legal policies related to Korean clinical trials and human subjects research together the Declaration of Helsinki, and examined the enhancements of our legal policy.
The Declaration of Helsinki, which has made such changes, has a great impact on Korea's research in related with laws. Especially, the law involved with clinical trials contains a lot of ethical principles proposed by the Declaration. In recent years, not only clinical trials but also the preparation and improvement of legal policies related to human subjects in general have been reflected. However, some of the content highlighted in the Declaration of Helsinki, such as conflicts of interest or support after the end of the research, remains difficult or partial deficiency in the domestic legal policy.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the legal policy for the protection of the study subject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not only the contents of the current Helsinki Declaration but also the significance to be revealed in the process of change.
초록본 연구는 연구대상자 보호와 존중에 있어 가장 우수한 국제규범으로 평가 받고 있으면서 연구자들의 연구 수행에 대한 자율적 규제모델의 확립에 기여하고  헬싱키 선언이 채택된 이후 개정내용을 주요주제어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변화와 발전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발표된 총 8개의 헬싱키 선언에 대해 주요주제어를 중심으로 하여 그 변화와 발전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헬싱키 선언이 최초 만들어졌을 때 가지고 있던 의도나 취지 측면에서 어떠한 입장의 변화가 있는지 파악해보았다. 그리고 인간대상연구와 관련된 우리나라의 법정책, 특히 대표적인 인간대상 의학연구라고 할 수 있는 임상시험에 대한 법정책을 헬싱키 선언과 비교해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법정책에서 헬싱키 선언의 영향을 받았다거나 이에 따라 보다 강화된 기준이 무엇인지, 그리고 추후 보완되거나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 있다면 무엇인지 분석해보았다.
이러한 변화를 보인 헬싱키 선언은 우리나라의 연구 관련 법정책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데, 특히 임상시험과 관련된 법정책의 경우 헬싱키 선언에서 제안하고 있는 윤리원칙이 상당부분 포함되어 있다. 최근에는 임상시험뿐만 아니라 인간대상연구 전반과 관련된 법정책의 마련이나 개선에까지도 반영되고 있다. 하지만, 이해상충의 문제나 연구 종료 후 지원 등 헬싱키 선언에서 강조하고 있는 내용 중 일부는 아직 국내 법정책에서 관련 내용을 찾아보기 어렵거나 미비점으로 남아 있다. 그러므로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법정책을 발전시켜나가기 위해서는 현행 헬싱키 선언의 내용을 충실히 살펴 반영함은 물론 그 변화 과정에서 드러내고자 한 의의를 제대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목차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구성 3
Ⅱ. 일반적인 사항 및 연구자 준수 사항 10
 A. 일반적인 사항 10
  1. 선언의 적용 대상 연구의 범위 10
  2. 선언에 대한 종합적 이해의 중요성 및 법률과 선언의 관계 12
  3. 연구자의 자격요건 15
  4. 인간대상 의학연구의 목적 18
  5. 소결 23
 B. 연구자의 준수사항 26
  1. 연구자의 의무와 책임에 대한 올바른 인식 26
  2. 연구대상자의 권리 보호 30
  3. 연구의 과학성과 윤리성 확보 33
  4. 동물과 환경에 대한 보호 37
  5. 연구계획서의 적절한 작성 40
  6. 연구계획에 대한 IRB 승인 획득 51
  7. 소결 58
Ⅲ. 연구의 위험-이익 평가와 위약의 사용 64
 A. 연구의 위험-이익에 평가 64
  1. 연구목적의 중요성과 연구대상자의 위험 비교 64
  2. 위험-이익 평가 시 기준 및 고려사항 74
  3. 위험 관리와 연구자의 역할 77
  4. 소결 80
 B. 위약의 사용 82
  1. 위약 사용의 허용기준(전제조건) 82
  2. 소결 92
Ⅳ. 동의 획득과 취약성에 따른 연구대상자 보호 94
 A. 동의 획득 94
  1. 동의의 원칙 94
  2. 동의 획득에서 예외적 상황 103
  3. 소결 112
 B. 취약성에 따른 연구대상자 보호 117
  1. 취약성의 의미 117
  2. 취약한 연구대상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정당성 119
  3. 소결 123
Ⅴ. 맺음말 125
참고문헌 128
부록1. 8차 선언과 7차 선언 비교 131
부록2. 1차 선언과 2차 선언 비교 145
부록3. 2차 선언과 3차 선언 비교 153
부록4. 3차 선언과 4차 선언 비교 160
부록5. 4차 선언과 5차 선언 비교 168
부록6. 5차 선언과 2004년 6차 선언 비교 176
부록7. 2004년 6차 선언과 7차 선언 비교 188
부록8. 7차 선언과 8차 선언 비교 202
ABSTRACT 21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828 9 보건의료 특집 : 의료 제 문제의 공법적 해석 = A Public Law Review of Medical Issues / 이한주 2015  50
2827 9 보건의료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론을 이용한 신약개발과제의 평가 및 의사결정 연구 / 이상영 2017  374
» 18 인체실험 헬싱키 선언의 개정내용에 대한 연구 / 박미선 2017  344
2825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19
282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스타트업 단계시 고려사항의 국가간 비교연구 : 파머징 국가를 중심으로 / 배수연 2017  301
2823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수행현황 분석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 정항균 2017  360
2822 18 인체실험 국내 의료기기 제조업체들의 임상시험 활성화 방안 연구 / 이기준 2017  132
2821 18 인체실험 미국, 유럽, 일본과 우리나라의 소아 임상시험 제도 및 현황 비교 분석 / 박선영 2017  357
282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시행대상자설명서의 가독성 평가 / 최임순 외 2016  70
2819 18 인체실험 암 환자의 임상시험 참여 의향과 연관된 요인: 탐색형 서술적 문헌고찰 / 김건형 외 2016  47
281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규제완화, 국민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2016  71
281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2015  71
2816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의 지역간 불균형 현황 및 발전 방안 모색 / 최지혜 외 2015  592
2815 15 유전학 현대 의학의 영생 기술과 그 신학적 성찰 - 텔로미어와 유전자 가위를 중심으로 / 김소윤, 이관표 2017  327
2814 9 보건의료 시험을 위한 실시의 특허 침해 예외 범위 : 제네릭 의약품의 허가를 위한 실험을 중심으로 검토 / 김학선 2007  339
2813 9 보건의료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현진, 박호란 2017  276
2812 9 보건의료 메르스 양성 진단자와 접촉한 대상자의 재택격리 경험 / 하주영, 반선화 2017  100
2811 9 보건의료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 정희자 외 2017  264
2810 9 보건의료 2015년 메르스 사태의 사회의료학적 조명 / 김문조 2016  682
2809 9 보건의료 병행과정 확장 모델을 적용한 메르스 예방 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 유성신 2016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