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임상간호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66662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영향요인 =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of General Hospital Nurses after the Epidemic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nfection


저자김현진,박호란
학술지명임상간호연구(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권호사항Vol.23No.2[2017]

발행처병원간호사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179-188
언어Korean
발행년도2017
KDC512
주제어메르스,간호사,외상 후 스트레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Nurses,Stress Disorders,Post-Traumatic
초록Purpose: This study examined post-traumatic stress (PTS) and the factors affecting it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after the MERS(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epidemic.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70 nurses who worked at general hospitals since the first reported MERS outbreak. The IES-R-K assessed PT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Results: The mean PTS level was 7.80 points (range: 0~88); 7.1% of the participants were at a high risk. Nurses who had been in contact with patients suspected or diagnosed with MERS had high post-traumatic levels; those who had been quarantined during the MERS outbreak had relatively higher PTS levels. Shift-work nurses had higher PTS levels than those with fixed working hours. Above charge’ nurses stress levels were higher than staff nurses’ stress levels. The results showed that factors including contact with an MERS-suspected or diagnosed patient, position at work, and working status of MERS-affected nurses explained 16% of the PTS. Among the main variables, nurses’ above charge position was the greatest factor affecting PTS. Discus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 studies and programs considering these variables. Furthermor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programs should be done considering the position of above charge nurses.
초록목적: 본 연구는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방법: 자료수집은 메르스 첫 발견일 이후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는 IES-R-K 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점수는 평균 7.80점 (범위 0~88점)이었고, 고위험군이 7.1 %이었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는 메르스 의심 또는 확진 환자를 만난 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높았으며, 메르스 발생시 병원격리를 경험한 간호사가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았다. 근무형태가 교대근무인 경우 전일제 근무보다 높았으며, 책임간호사 이상이 일반간호사 보다 높았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메르스 의심 또는 확진 환자를 만난 경험, 직위, 근무형태이며 외상 후 스트레스를 16.0% 설명하였다. 주요 요인중 책임간호사 이상의 직위가 외상 후 스트레스의 가장 큰 요인이었다. 논의: 그러므로 이들 변인을 고려한 중재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또한, 책임간호사 이상의 직위를 고려한 차별성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중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828 9 보건의료 특집 : 의료 제 문제의 공법적 해석 = A Public Law Review of Medical Issues / 이한주 2015  50
2827 9 보건의료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론을 이용한 신약개발과제의 평가 및 의사결정 연구 / 이상영 2017  374
2826 18 인체실험 헬싱키 선언의 개정내용에 대한 연구 / 박미선 2017  344
2825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19
282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스타트업 단계시 고려사항의 국가간 비교연구 : 파머징 국가를 중심으로 / 배수연 2017  301
2823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수행현황 분석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 정항균 2017  360
2822 18 인체실험 국내 의료기기 제조업체들의 임상시험 활성화 방안 연구 / 이기준 2017  132
2821 18 인체실험 미국, 유럽, 일본과 우리나라의 소아 임상시험 제도 및 현황 비교 분석 / 박선영 2017  357
282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시행대상자설명서의 가독성 평가 / 최임순 외 2016  70
2819 18 인체실험 암 환자의 임상시험 참여 의향과 연관된 요인: 탐색형 서술적 문헌고찰 / 김건형 외 2016  47
281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규제완화, 국민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2016  71
281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2015  71
2816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의 지역간 불균형 현황 및 발전 방안 모색 / 최지혜 외 2015  592
2815 15 유전학 현대 의학의 영생 기술과 그 신학적 성찰 - 텔로미어와 유전자 가위를 중심으로 / 김소윤, 이관표 2017  327
2814 9 보건의료 시험을 위한 실시의 특허 침해 예외 범위 : 제네릭 의약품의 허가를 위한 실험을 중심으로 검토 / 김학선 2007  339
» 9 보건의료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현진, 박호란 2017  276
2812 9 보건의료 메르스 양성 진단자와 접촉한 대상자의 재택격리 경험 / 하주영, 반선화 2017  100
2811 9 보건의료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 정희자 외 2017  264
2810 9 보건의료 2015년 메르스 사태의 사회의료학적 조명 / 김문조 2016  682
2809 9 보건의료 병행과정 확장 모델을 적용한 메르스 예방 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 유성신 2016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