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神學 思想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434520 

현대 의학의 영생 기술과 그 신학적 성찰 - 텔로미어와 유전자 가위를 중심으로 = The Eternal-Life Technology of modern medical Science and its theological Reflection: Related to “telomere” and “gene editing”


저자김소윤(Kim, So-Yoon),이관표(Lee, Kan-Pyo)
학술지명神學 思想
권호사항Vol.178No.-[2017]

발행처한국신학연구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279-309
언어Korean
발행년도2017
KDC231
주제어현대 의학,영생기술,텔로미어,유전자가위,신학적 성찰,modern medical Science,Eternal-Life Technology,telomere,gene editing,theological Reflection
초록본 연구는 신학적 측면에서 현대 의학기술의 최신 이슈들을 다루며, 특별히 이것은 텔레미어와 유전자 편집기술(혹은 유전자 가위)을 이용한 영원한 생명에 관련된 기술을 말한다. 앞서 밝힌 현대의학에 대한 긍정적 의미 중 첫 번째는 영생기술이 피조물을 사랑하는 창조자의 축복일 수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 인간이 공동창조자이기에 유전자 조작 등의 기술은 신의 창조 작업에 동참한다는 것이다. 영생기술은 그러나 신학적으로 부정적인 의미 역시 가지고 있다. 첫 번째, 영생기술은 인간 “스스로 획득하는 영생”을 지향하며, 바로 이러한 의미에서 인간의 자기중심주의, 즉 이기심으로 귀결된다. 그리고 기독교는 인간 스스로 획득하는 영생이 분명한 잘못임을 이야기한다. 두 번째, 현대의 영생기술은 엄밀한 의미에서 본다면, 죽음의 극복이 아니라 죽음의 연기에 불과할 수 있다는 비판 역시 가능하다. 세 번째, 영생기술이 적용되는 계층이 한정되며, 이것은 곧 사회-경제적 차별로 연결된다는 비판 역시 가능하다. 네 번째, 이러한 계층 간의 갈등을 넘어 세계가 보다 적극적인 억압과 착취의 관계로 고착될 가능성이 있다. 다섯 번째, 영원히 사는 것이 아름답고 좋은 삶이 아닐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물론 이러한 비판들과 상관없이 영생기술은 신학의 비판과 무관하게 우리의 삶 안으로 들어올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무기력한 상황에서도 우리는 최소한 스스로 질문하고 비판하기를 멈춰서는 안 되며, 가능한 질문들을 계속 생각해 보고, 여러 사람들의 지혜를 모으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초록This research paper aims to discuss, in the theological perspectives, the recent issues of modern medical technology that are related to eternal life, including ‘telomere’ and ‘gene editing.’ To discuss the medical technologies that are related to eternal life, the positive implications exist. Firstly, these technologies can be the blessing of the creator, who loves his creation. The God of Christianity loves his own creation, and does not want them to disappear, but want them to acquire eternal life. In this regard, eternal life that is achieved by man also can be perceived as a part of God’s will. Secondly, God created man as a co-creator of the world that man can participate in God’s creation, for example, by advancing science technology such as gene editing. Modern medical technology would lead all human beings to happiness with no pain, and this could be a part of God’s creation as well. However, the issues of man-achieved eternal life have negative implications and the problems that cannot be compromised with theology. Firstly, the man-achieved eternal life leads to egocentrism, therefore to selfishness, which Christianity tells sins. Secondly, the modern medical technologies can be perceived as postponing death, not for overcoming. Thirdly, the uses of these technologies would be limited to the upper classes of modern society, therefore resulting socioeconomic inequities and discrimination. Fourthly, such societal conflicts can be settled as oppression and exploitation. And lastly, man-achieved eternal life might not be as wonderful as we have expected for, because we have to abandon our life of today, in which we find and feel the harmonious coexistence of life and death.
목차Ⅰ. 들어가는 말
Ⅱ. 영생과 관련된 의학 기술의 발전
Ⅲ. 영생기술에 대한 신학적 긍정
Ⅳ. 영생기술에 대한 신학적 비판
V. 나가는 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828 9 보건의료 특집 : 의료 제 문제의 공법적 해석 = A Public Law Review of Medical Issues / 이한주 2015  50
2827 9 보건의료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론을 이용한 신약개발과제의 평가 및 의사결정 연구 / 이상영 2017  374
2826 18 인체실험 헬싱키 선언의 개정내용에 대한 연구 / 박미선 2017  344
2825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19
282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스타트업 단계시 고려사항의 국가간 비교연구 : 파머징 국가를 중심으로 / 배수연 2017  301
2823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수행현황 분석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 정항균 2017  360
2822 18 인체실험 국내 의료기기 제조업체들의 임상시험 활성화 방안 연구 / 이기준 2017  132
2821 18 인체실험 미국, 유럽, 일본과 우리나라의 소아 임상시험 제도 및 현황 비교 분석 / 박선영 2017  357
282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시행대상자설명서의 가독성 평가 / 최임순 외 2016  70
2819 18 인체실험 암 환자의 임상시험 참여 의향과 연관된 요인: 탐색형 서술적 문헌고찰 / 김건형 외 2016  47
281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규제완화, 국민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2016  71
281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2015  71
2816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의 지역간 불균형 현황 및 발전 방안 모색 / 최지혜 외 2015  592
» 15 유전학 현대 의학의 영생 기술과 그 신학적 성찰 - 텔로미어와 유전자 가위를 중심으로 / 김소윤, 이관표 2017  327
2814 9 보건의료 시험을 위한 실시의 특허 침해 예외 범위 : 제네릭 의약품의 허가를 위한 실험을 중심으로 검토 / 김학선 2007  339
2813 9 보건의료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현진, 박호란 2017  276
2812 9 보건의료 메르스 양성 진단자와 접촉한 대상자의 재택격리 경험 / 하주영, 반선화 2017  100
2811 9 보건의료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 정희자 외 2017  264
2810 9 보건의료 2015년 메르스 사태의 사회의료학적 조명 / 김문조 2016  682
2809 9 보건의료 병행과정 확장 모델을 적용한 메르스 예방 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 유성신 2016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