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383838 
미성년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동의 요건 고찰 : 한국과 미국의 법적규제 중심으로

                           

  • 기타서명

    Consent requirement for protecting child participants in human subject research

  • 저자

    이예리                                       

  • 형태사항

    66장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河泰勳
    참고문헌: 장 61-64

  • 학위논문사항

    學位論文(碩士)-- 高麗大學校 法務大學院 : 醫療法學科 2014.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4                                                                                                                                                                                                

  • 소장기관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의학발달과 더불어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고, 지금도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전세계에서 진행되고 있다. 연구참여로 인하여 미성년 연구대상자는 직접...
  • 의학발달과 더불어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고, 지금도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전세계에서 진행되고 있다. 연구참여로 인하여 미성년 연구대상자는 직접적인 혜택을 누리기도 하며, 연구의 결과는 다른 미성년 환자의 귀중한 삶을 연장시키거나 질병 치료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참여로 인해 누릴 수 있는 긍정적인 이익은 반드시 윤리적인 연구수행이 전제가 되어야만이 논할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이는 윤리적인 연구수행을 위하여는 일반 성인과 비교하여 생리학적∙정신적 상태가 다르고 연구참여에 대한 동의를 할 수 있는 법적 행위능력이 없는 미성년 연구대상자의 권리와 복지에 대한 보호조치가 적절히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본 글은 미성년자가 연구에 참여할 때 고려해야 하는 동의 요건이 국내법규상 어떻게 규율되어 있는지 살펴 본 후에, 이를 미국 법규와 같이 고찰해봄으로써, 미성년자를 포함하는 연구의 동의요건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사안이 무엇인지 논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는 국내 법규에 아직 구체적으로 법제화되지 않은 미성년자의 승낙에 대한 중요성을 주장하고자 하며, 승낙에 필요한 기본적인 요건은 무엇이 될지 제언하고자 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제2장 인간대상연구에서의 연구대상자 보호
  • 제1절 인간대상연구 정의
  • 제2절 연구대상자 보호 규정에 대한 연혁
  • 제3절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윤리기준
  • 제3장 미성년 연구대상자 동의 관련 규정
  • 제1절미성년 연구대상자 동의 관련 법률 구조
  • I.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 II.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 III.미국 연방법(CFR) : DHHS 45CFR46 및 FDA 21CFR50
  • 제2절미성년자의 동의
  • I.미성년자의 동의 요건
  • 1.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 2.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 3.미국 DHHS와 FDA
  • II.동의 면제 및 동의서 면제
  • 1.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 2.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 3.미국 DHHS와 FDA
  • (1)동의 면제
  • (2)동의서 면제
  • III.쟁점
  • 제3절 승낙과 법정대리인에 의한 동의
  • I.미성년자의 승낙(Assent)
  • 1.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과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 2.미국 DHHS와 FDA
  • II.부모 동의(Parental Permission)
  • 1.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과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 2.미국 DHHS와 FDA
  • (1) 부모 동의(Parental Permission)
  • (2) 부모 동의 면제
  • III.쟁점
  • 1.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과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 2.미국 DHHS와 FDA
  • 제4장 미성년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동의 요건 제언
  • 제1절 미성년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승낙서 사용
  • I.적극적인 승낙서 사용 필요
  • II.국내 사례
  • III.해외사례
  • 1.스탠포드 대학교 IRB
  • 2.존스 홉킨스 병원 IRB
  • IV.미성년자 승낙 요건에 대한 제언
  • 제5장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2528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하에서 생물유전자원 이용의 최적계약 연구 / 박호정 2017  53
2527 15 유전학 생물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의 공유 / 류병운 2017  68
2526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2012  354
2525 18 인체실험 단일 병원에서 시행된 식품의약품안전청 허가용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중대한 유해사례의 보고율 조사 / 조상헌 2007  98
2524 9 보건의료 맞춤의약품 관련 규정 및 보험급여 현황의 국가별 비교 : 미국, 유럽, 한국의 맞춤의약품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 허윤정 2014  180
2523 18 인체실험 의약품 안정성 시험의 통계적 고찰 / 전정우 2009  11946
» 18 인체실험 미성년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동의 요건 고찰 : 한국과 미국의 법적규제 중심으로 / 이예리 2014  123
2521 9 보건의료 의약품 사용에서의 성별차이에 대한 고찰 / 허정선 2009  371
2520 9 보건의료 의약품 착색제 관련 규정 및 정보방 구축에 관한 비교 연구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 이기봉 2015  267
2519 9 보건의료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허가심사제도에 관한 고찰 / 송태은 2009  4449
2518 9 보건의료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진장한 2016  1993
2517 9 보건의료 의약품 품질보증 시스템에서 Quality by Design 적용 / 이혜민 2014  509
2516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사회 보건직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케어 관련 인식조사 / 김미라 2010  67
2515 20 죽음과 죽어감 가정 호스피스 활동에서의 본당 공동체의 역할 / 이종경 2002  163
251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임봉자 2008  5261
251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권구선 2012  304
2512 20 죽음과 죽어감 병동형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최성은 2005  892
251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말기 암 진실 통고 경험 / 강희정 2016  193
2510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ㆍ보호자와 의료인들의 호스피스에 관한 인지도 연구 / 심규미 2000  73
250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환자의 가족보호자가 지각하는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 / 이지현 2016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