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127258 

일 지역사회 보건직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케어 관련 인식조사

= Attitudes on death and hospice palliative care of general staffs in community health center

                                        

  • 저자

    김미라                                       

  • 형태사항

    v, 80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국문요약: p. iv-v
    Abstract: p. 76-78
    부록: 설문지
    지도교수: 김분한
    참고문헌: p. 61-6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호스피스간호전공 2010.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0

  • 주제어

    의료행정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국문요약 본 연구는 공공보건의료의 핵심조직인 보건소 및 보건지소의 조직과 기능이 지역보건서비스의 원활한 수행과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도전과 ...
    • 국문요약

      본 연구는 공공보건의료의 핵심조직인 보건소 및 보건지소의 조직과 기능이 지역보건서비스의 원활한 수행과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도전과 대응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지역의료 보건기관의 역할확대를 기대하며 일 지역사회 보건 직 근무자의 호스피스완화케어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호스피스 대상자의 질 적인 향상을 도모하며 지역 호스피스 완화 케어의 확대와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 되었다.
      본 연구는 내용 분석 및 서술적 조사 연구로써 일 지역사회의 보건소 1개, 보건지소 8개, 보건진료소 8개를 중심으로 보건 직 근무자 101 명에게 구조화 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0년 5월 10일부터 5월 14일 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연구자와 해당 지지체 공무원의 도움으로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들에게 설문지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죽음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 호스피스 완화 케어 인식 정도, 호스피스 완화 케어 필요성 및 운영에 대한 것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onal package for social science)/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자가 남자보다 2,5배 정도 많았으며, 연령 분포로는 40~49세가 60.39%를 차지했고, 종교는 무교가 35,34%였다. 전문 자격에 따른 분포로는 의사, 간호사(간호 조무사포함)로 구성 된 의료인집단 45%를 차지하고, 사회 복지사, 영양사, 물리 치료사, 임상 병리사로 구성 된 보건 관련 종사자는 20%정도이며, 기타가 33.66%로 나타났다. 근무 기관 형태와 근무지역에 따른 분포를 살펴보면 보건소/보건지소에서 근무가 68.31%로 일선에서 일하는 분들의 분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뒤를 공공 행정기관의 27.72%의 근무기관으로 나타났다.
      2)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는 죽음에 대해 가끔 생각 한다가 51.48%로 제일 많았고 죽음과 관련하여 가족과의 이별로 인한 슬픔과 상실에 대한 걱정이 39.60%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죽음을 생각할 때 마음과 가장 가까운 단어로 불안함42.57%, 가장 걱정스러운 것은 가족의 처지31.68%로 일반적 특성의 40~49세의 가장 많은 나이 분포로 볼 때 다른 연구에서 20대의 허탈함이 큰 비중을 차지한 것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호스피스의 인식에 관한 일반적 사항에 관한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 대다수가 호스피스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호스피스 인지경로에 대해 TV, 신문, 잡지에서 대부분을 차지했다. 호스피스 완화 케어에 88.11%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호스피스가 임종환자에게 증상조절뿐 아니라 정신적․영적 치료가 우선 되어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 된다.
      4) 호스피스 병동과 전문기관의 적합한 운영주체에 대해 국가의 지원으로 국가의 공공기관에서 운영이 적합하다가 28.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역사회 보건 직 근무자에 대한 조사이지만 지역사회 방문 간호 사업 내 재가 암 사업 환자사업은 19.8%로 나타남.
      5) 소속지역사회 호스피스 완화케어에 인지정도 43.56%로 잘 모른다, 하지만 지방자치 단체가 운영하는 기관이나 조직설립에는 71.28%가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지역 사회 보건 직 근무자들은 지역 자치단체(관)가 주체가 되어 설립하고 운영하는 호스피스 완화 케어 조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한국 문화에 맞는 지역사회 호스피스 완화 케어 시설의 확충과 보급을 위해 지역 자치단체 당국이나 행정가의 의지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호스피스 완화케어에 관한 교육과 홍보를 적극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요약 iv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4
  • 3. 용어 정의 5
  • 4. 연구의 제한점 7
  • Ⅱ. 이론적 배경 8
  • 1. 죽음에 대한 태도 8
  • 2. 호스피스 완화 케어 인식 12
  • 3. 지역사회 중심의 호스피스 완화 케어의 역할 17
  • Ⅲ. 연구 방법 23
  • 1. 연구 설계 23
  • 2. 연구 대상자 및 자료 수집 23
  • 3. 연구 도구 24
  • 4. 자료 분석 방법 25
  • Ⅳ. 연구 결과 26
  • 1. 지역 사회 보건 직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6
  • 2. 지역 사회 보건 직 근무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 분석 28
  • 3. 지역 사회 보건 직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케어인식 30
  • 4. 소속 지역 사회 호스피스 완화 케어 필요성 37
  •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 케어 관련 인식 차이 39
  • (1) 전문 자격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 케어 인식 39
  • (2) 종교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 인식 42
  • (3) 근무 기관 형태에 따른 호스피스 완화 케어 인식 43
  • Ⅴ. 논의 46
  • Ⅵ. 결론 및 제언 56
  • 참고문헌 61
  • 부록(설문지) 69
  • Abstract 76
  • 감사의 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528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하에서 생물유전자원 이용의 최적계약 연구 / 박호정 2017  53
2527 15 유전학 생물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의 공유 / 류병운 2017  68
2526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2012  353
2525 18 인체실험 단일 병원에서 시행된 식품의약품안전청 허가용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중대한 유해사례의 보고율 조사 / 조상헌 2007  97
2524 9 보건의료 맞춤의약품 관련 규정 및 보험급여 현황의 국가별 비교 : 미국, 유럽, 한국의 맞춤의약품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 허윤정 2014  180
2523 18 인체실험 의약품 안정성 시험의 통계적 고찰 / 전정우 2009  11936
2522 18 인체실험 미성년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동의 요건 고찰 : 한국과 미국의 법적규제 중심으로 / 이예리 2014  123
2521 9 보건의료 의약품 사용에서의 성별차이에 대한 고찰 / 허정선 2009  369
2520 9 보건의료 의약품 착색제 관련 규정 및 정보방 구축에 관한 비교 연구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 이기봉 2015  266
2519 9 보건의료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허가심사제도에 관한 고찰 / 송태은 2009  4449
2518 9 보건의료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진장한 2016  1990
2517 9 보건의료 의약품 품질보증 시스템에서 Quality by Design 적용 / 이혜민 2014  509
»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사회 보건직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케어 관련 인식조사 / 김미라 2010  67
2515 20 죽음과 죽어감 가정 호스피스 활동에서의 본당 공동체의 역할 / 이종경 2002  162
251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임봉자 2008  5258
251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권구선 2012  302
2512 20 죽음과 죽어감 병동형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최성은 2005  892
251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의 말기 암 진실 통고 경험 / 강희정 2016  193
2510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ㆍ보호자와 의료인들의 호스피스에 관한 인지도 연구 / 심규미 2000  73
250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환자의 가족보호자가 지각하는 미충족 요구와 돌봄 부담감 / 이지현 2016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