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507374 

말기 암환자의 의뢰와 회송에 대한 보호자 및 의료인의 경험

= Experience of caregiver and medical professionals on referral and returning of terminal cancer patients

                                      

  • 저자

    이정임                                       

  • 형태사항

    vi, 109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국문요약: p. i-iii
    Abstract: p. 103-106
    지도교수: 김분한
    참고문헌: p. 96-102
    서지적 각주 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 고령화사회복지 전공 2011.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1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 중 Colaizzi의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말기 암환자의 의뢰와 회송에 대한 보호자 및 의료인의 경험’에 관하여 여러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현상의 본질...
  •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 중 Colaizzi의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말기 암환자의 의뢰와 회송에 대한 보호자 및 의료인의 경험’에 관하여 여러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현상의 본질과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8명으로 00병원에 재원하여 항암 치료 및 급성 완화 치료를 받은 후 임종한 말기 암환자의 보호자 3명, 의사 2명, 간호사 3명으로 이루어졌다. 면담 기간은 2011년 3월 17일부터 2011년 4월 30일까지였으며 일대일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Colaizzi 의 방법을 통해 현장에서 수집한 원 자료에서 추출한 의미 있는 진술(significant statement)과 이를 통한 의미 구성(formulated meaning)을 하였고, 원 자료와의 관련성을 재확인하면서 주제(theme)와 주제 모음(theme cluster) 그리고 범주(category)를 구성하였다. 결과로 97개의 주제(theme)를 도출하였고 24개의 주제 모음(theme cluster), 그리고 16개의 범주(category)를 추출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통해서 나타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범주 1은 “의뢰 시 문제점”이었으며 주제 모음은 ‘진료 의뢰 센터를 이용하는 외래 환자 의뢰의 어려움’,‘외래 환자에게 다소 소홀한 환자 의뢰’등 2개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2는 “방사선 치료 시 입원의 어려움”이었으며 주제 모음은‘방사선 치료를 위한 2차 의료기관 입원의 어려움’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3은 “빠른 3차 진료연계”였으며 주제 모음은‘어려움 없는 3차 의료기관 진료연계’로 1개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4는 “신뢰”였으며 주제 모음은 ‘의뢰 병원에 대한 신뢰 ’로 1개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5는 “불신”이었으며 주제 모음은‘지방 병원에 대한 불신’으로 1개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6은 “갑작스런 이송”이었으며 주제 모음은‘급격한 상태 변화로 예정되지 않은 이송’으로 1개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7은 “의료기관 선정” 이었으며 주제 모음은‘의료진의 입장에서의 의료기관 선정’, ‘가족 입장에서의 의료기관 선정’으로 2개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8은 “정보 공유” 였으며 주제 모음은 ‘환자에 관한 정보공유’, ‘정보부족과 정보공유’로 2개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9는 “가정방문 호스피스 케어” 였으며 주제 모음은‘찾아가는 호스피스’, ‘퇴원 후 교육’, ‘가정 호스피스의 경제성’등 3개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10은 “2차 의료기관 완화케어의 문제점” 이었으며 주제 모음은‘완화케어의 문제점’으로 1개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11은 “3차 의료기관 완화케어의 문제점” 이었으며 주제 모음은‘완화케어의 문제점’으로 1개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12는 “요양병원과 완화케어의 차이”였으며 주제 모음은‘요양병원’,‘완화 케어’로 2개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13은 “가족 갈등” 이었으며 주제 모음은‘힘들어하는 가족’으로 1개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14는 “입 퇴원 시 문제점”이었으며 주제 모음은‘퇴원 시 문제점’, ‘의뢰 병원 알아보기’, ‘퇴원 후 갈 곳 없는 암환자’등 3개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15는 “임종 준비하는 응급실” 이었으며 주제 모음은‘응급실 불신’으로 1개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범주 16은 “바람직한 완화 케어” 이었으며 주제 모음은‘원하는 완화 케어’로1개의 주제 모음으로 구성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을 제언 한다

    말기 암환자들이 대형병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케어에 대한 요구도가 높으므로 이에 합당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를 구축하는데 노력해야 하며 1.2차 의료기관과 네트워크를 갖추어 환자가 안심하고 거주지 병원에서 질 높은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환자에 대한 정보 및 의료기관간 정보공개를 통한 상호 교류가 이루어져야 하며 말기 암환자의 응급실 방문 시 일반 환자와는 다른 빠른 입원시스템으로 질적인 케어가 시행될 수 있도록 호스피스· 완화 의료서비스가 구축해야 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 목적 3
  • 제3절 연구 문제 3
  • 제2장 이론적 배경 4
  • 제1절 한국의 호스피스 4
  • 1. 유형과 기관 4
  • 2. 호스피스· 완화 의료 회송 체계 6
  • 3.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도화 8
  • 제2절 현상학적 연구 방법 9
  • 제3장 연구방법 12
  • 제1절 연구 설계 12
  • 제2절 연구 대상 12
  • 제3절 자료 수집 방법 12
  • 제4절 질적 연구에 있어서의 윤리문제 13
  • 제5절 자료 분석 13
  • 제4장 연구 결과 15
  • 제1절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5
  • 제2절 분석결과 17
  • 제5장 논 의 75
  • 제6장 결론 및 제언 89
  • 참고 문헌 96
  • ABSTRACT 10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0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명희 2008  230
250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명희 2006  44
2506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가족의 슬픔 적응 경험 : 지역사회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가족을 중심으로 / 두현정 2008  1058
250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영적 간호 방안 : 호스피스 병동을 중심으로 / 이은정 2012  326
250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전화상담을 통한 정보요구와 만족도 조사 / 권경은 2008  1017
»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의뢰와 회송에 대한 보호자 및 의료인의 경험 / 이정임 2011  90
250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입법평론 / 홍완식 2017  96
250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임상윤리서비스 / 이일학 2017  71
250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 선종수 2017  253
249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연명의료중단 / 장병주 2017  751
2498 1 윤리학 제도적 위험과 규범적 자율성 / 신동일 2017  79
2497 20 죽음과 죽어감 일명 ‘웰다잉법’(존엄사법)의 시행에 따른 형사정책적 과제 / 박미숙, 강태경, 김현철 2016  153
2496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및 삶의 질 / 김승경 2016  99
2495 4 보건의료 철학 공공부문 유연근무제 활성화요인 연구 / 김민주 2017  188
2494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하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정책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및 제언 / 강미화 2017  106
2493 10 성/젠더 청소년 미혼모의 모성경험에 관한 연구 / 임승미 2017  302
2492 14 재생산 기술 기혼 여성의 난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정영민 2017  64
2491 13 인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현진희 2017  60
2490 13 인구 출산자녀수에 따른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광호 2017  96
2489 13 인구 저출산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사례와 연계를 중심으로 / 김순자 2017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