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372818 

기혼 여성의 난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social interaction of the women while experiencing infertility

                                         

  • 저자

    정영민                                       

  • 형태사항

    101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강선경
    참고문헌: p. 88-9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7. 2

  • DDC

    361 23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난임은 우리사회가 근래에 들어 주목하기 시작한 사회문제로, 저출산 현상이 사회적 위기라는 담론이 부상하고 사회구조적으로 만혼이 증가하면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맥...
  • 난임은 우리사회가 근래에 들어 주목하기 시작한 사회문제로, 저출산 현상이 사회적 위기라는 담론이 부상하고 사회구조적으로 만혼이 증가하면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기혼여성들이 난임 체험 중에 자신의 생태환경과 주고받는 상호작용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난임여성을 위한 사회복지 차원의 개입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혼여성들의 난임 체험 중 사회적 지지 체계와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해 당사자의 시각에서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하여 난임을 경험한 기혼여성 6명의 체험담을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이를 질적 연구방법 중에서 지오르지(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혼여성의 난임경험은 이들이 처한 생태환경 속에서 사회구조적으로 구성됨이 나타났다. 난임 체험 중에 기혼여성들은 출산에 우호적인 이데올로기(pronatalism)와 가부장주의 및 발전하고 있는 현대 보조생식술이 야기하는 난임의 의료화(medicalization)가 다소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적 맥락 안에서 사회적 행위자로서 자신의 생태환경에 대응하면서 사회적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조정해나가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난임여성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지지는, 사회 환경 차원의 맥락이 난임여성에게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그러한 부정적 영향을 줄이려는 사회적 노력에서 시작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그러한 노력은 난임과 난임여성에 대한 시각을 전환하는 데에서 출발하여 사회구성원 모두의 삶의 단계를 소중히 여기는 사회를 조성해나가는 방향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는 난임여성들의 권익을 옹호하고 신장시키기 위함에 더하여 보편주의적 사회복지 개입이 취해야 할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50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불안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명희 2008  230
250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명희 2006  44
2506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가족의 슬픔 적응 경험 : 지역사회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가족을 중심으로 / 두현정 2008  1057
250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환자의 영적 간호 방안 : 호스피스 병동을 중심으로 / 이은정 2012  326
250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전화상담을 통한 정보요구와 만족도 조사 / 권경은 2008  1017
250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의뢰와 회송에 대한 보호자 및 의료인의 경험 / 이정임 2011  90
250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입법평론 / 홍완식 2017  96
250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임상윤리서비스 / 이일학 2017  71
250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 / 선종수 2017  253
2499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연명의료중단 / 장병주 2017  742
2498 1 윤리학 제도적 위험과 규범적 자율성 / 신동일 2017  79
2497 20 죽음과 죽어감 일명 ‘웰다잉법’(존엄사법)의 시행에 따른 형사정책적 과제 / 박미숙, 강태경, 김현철 2016  153
2496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및 삶의 질 / 김승경 2016  99
2495 4 보건의료 철학 공공부문 유연근무제 활성화요인 연구 / 김민주 2017  186
2494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하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정책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및 제언 / 강미화 2017  106
2493 10 성/젠더 청소년 미혼모의 모성경험에 관한 연구 / 임승미 2017  302
» 14 재생산 기술 기혼 여성의 난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정영민 2017  64
2491 13 인구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는 출판 수용자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행태와 충족을 중심으로 / 현진희 2017  60
2490 13 인구 출산자녀수에 따른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광호 2017  96
2489 13 인구 저출산 원인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사례와 연계를 중심으로 / 김순자 2017  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