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哲學硏究(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759920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과 죽게 내버려둠의 문제
= Life and the Problems of allowing Death in Medical Ethics Perspective

                                     

  • 저자명

    이재성(Yi, Sae-seong)                                               

  • 학술지명

    哲學硏究(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권호사항

    Vol.120 No.- [2011]                                                        

  • 발행처

    대한철학회                                    

  • 발행처 URL

    http://www.sophia.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61-279(19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1년

  • KDC

    151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0                                                                                   

  • 초록 (Abstract)
    •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뇌사의 당위성 주장의 배후에는 다분히 '공리주의적'인 목적이 함축되어 있다. 이러한 공리주의적 목적에는 한편으로 뇌사를 인정함으로써 의학발달이 ...
  •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통용되고 있는 뇌사의 당위성 주장의 배후에는 다분히 '공리주의적'인 목적이 함축되어 있다. 이러한 공리주의적 목적에는 한편으로 뇌사를 인정함으로써 의학발달이 가져온 생명연장 수단의 사용을 통해 초래되는 가족들의 경제적, 정신적 손실의 감소라는 소극적 의미가, 다른 한편 이식을 위해 살아있는 장기를 구함으로써 다른 생명을 살리는 선한 목적이 의도된 적극적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때로는 감정의 과잉으로 인해 독단으로 치닫기까지 하는 '뇌사'에 관한 논쟁을 잠재우기 위해 먼저 뇌사 개념을 정의하기 전에 죽음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를 간략하게 짚은 후에(2), 뇌사를 정의하는 데 있어서 그 인간학적 토대가 무엇이며, 인격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그리고 죽음과는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물으면서 뇌사를 기존의 입장과는 다른 관점에서 조명해 볼 것이다(3). 이 과정에서, 특히 뇌사에 관한 정의의 인간학적 토대를 위한 전제조건들과 그것으로부터 발생하는 결과들, 그리고 함축적인 모순점들을 살펴보면서(4), 이 글을 맺을 것이다(5).

  •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1. 문제제기
  • 2. 생명(삶)의 과정으로서의 죽음
  • 3. 인간학, 인격 그리고 죽음
  • 4. 뇌사 정의의 결과들
  • 5. 나가는 말 : 합의로서의 뇌사?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328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중단과 의사의 형사책임에 관한 고찰 / 장승일 2008  124
»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과 죽게 내버려둠의 문제 / 이재성 2011  178
232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와 배아보호 / 김혁돈 2010  100
2325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 : 연명 치료 중단을 중심으로 / 김태성 2009  130
2324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질과 안락사, 기독교적 의료 윤리의 관점 / 정유석 2000  660
2323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연구 / 이현주 2003  350
232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가 보완대체요법을 선택한 이유 / 김경운 2011  336
2321 2 생명윤리 의학적 측면에서 본 인간생명 / 맹광호 1993  169
2320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갈등 / 김현아 2011  3782
2319 20 죽음과 죽어감 품위 있는 죽음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태도 / 윤영호 2004  232
2318 10 성/젠더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심리학 연구 / 이은진 2015  224
2317 1 윤리학 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신유리, 김정석 2015  206
2316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권헌영, 윤상필, 전승재 2017  57
231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환경윤리의 비교 연구 / 김일방 2016  250
231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
2313 10 성/젠더 ‘성폭행 ’ 피해자를 넘어 성적 자기결정권의 주체로 나아가기 위해 직시해야 할 현행 법률상 ‘성폭행’의 개념과 적용 / 이은의 2016  167
2312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배해상청구와 관련하여 / 류승훈 2016  61
231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의사결정에서 자율성 능력 모델의 한계와 그 대안의 필요성 / 송윤진 2016  221
2310 1 윤리학 장애인의 존엄한 삶과 헌법 : 장애인운동이 고안해 낸 새로운 권리의 사법적 수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윤수정 2016  217
2309 1 윤리학 독일의 성년후견인 제도와 자기결정권 / 조성혜 201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