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고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258235 
줄기세포연구와 배아보호
= The Stem cell research and protection of human embryo

                                   

  • 저자명

    김혁돈(Kim Hyeok Don)                                                

  • 학술지명

    법학논고                            

  • 권호사항

    Vol.32 No.- [2010]                                                           

  • 발행처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29-356(2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0년

  • KDC

    360.5

  •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 KCI 피인용횟수

    11

  • 초록 (Abstract)
    • 의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생명연장의 꿈을 실현하고 있고, 그 영역은 이제 생명체를 복제해 내는 데까지 이르렀다. 생명체복제에 관한 연구는 인간의 장기재생에 있어서도 눈부신 발전을 가...
  • 의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생명연장의 꿈을 실현하고 있고, 그 영역은 이제 생명체를 복제해 내는 데까지 이르렀다. 생명체복제에 관한 연구는 인간의 장기재생에 있어서도 눈부신 발전을 가져왔다. 바로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이다. 줄기세포를 획득하는 방법은 크게 배아로부터 얻거나(배아줄기세포) 이미 사람으로 탄생한 후의 세포로부터 얻는 것(성체줄기세포)이 있다.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에 있어서 발생되는 윤리적?규범적 문제가 적다고 할 수 있으나 배아줄기 세포를 이용한 치료에 있어서는 그 배아를 훼손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한 생명을 살리기 위하여 다른 한 생명을 희생하여야 한다는 윤리적 문제가 따른다.
    배아에 대하여 현행법 상으로는 법적 지위가 보장되지 않는다. 그러나 배아를 이용한 연구를 허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판단하기 위해서는 배아가 지니는 윤리적 의미를 고찰하여야만 한다. 배아에 대하여 인간생명과 같이 존엄성을 인정하자는 견해도 있고, 단지 세포덩어리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연구에 어떠한 장애도 될 수 없다는 견해도 있다. 또한 발생학적인 단계에 따라 연구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정하여야 한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그러나 배아가 지니는 생명의 연속성, 잠재성 등을 고려한다면 배아의 생명이 인간의 생명보다 경시되어야 한다는 어떠한 근거도 찾을 수 없다. 또한 배아의 생명권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절차적 정의의 관점에서 그것이 확인될 때까지 배아에 대하여 생명권을 침해할 수 있는 방법은 유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비교법적인 고찰에서도 일부의 나라와 주에서만 배아에 대한 연구를 허용할 뿐 대부분의 법계에서는 배아연구에 대하여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 생명윤리법도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아연구를 주장하는 근거로 사용되는 잉여배아가 발생하지 않는 방법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줄기세포연구의 내용
  • Ⅲ. 배아의 지위
  • Ⅳ. 배아연구에 대한 각국의 태도
  • Ⅴ. 생명윤리법의 현황과 전망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2328 20 죽음과 죽어감 치료중단과 의사의 형사책임에 관한 고찰 / 장승일 2008  124
2327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과 죽게 내버려둠의 문제 / 이재성 2011  178
»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와 배아보호 / 김혁돈 2010  100
2325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에 대한 연구 : 연명 치료 중단을 중심으로 / 김태성 2009  130
2324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질과 안락사, 기독교적 의료 윤리의 관점 / 정유석 2000  660
2323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연구 / 이현주 2003  350
232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가 보완대체요법을 선택한 이유 / 김경운 2011  336
2321 2 생명윤리 의학적 측면에서 본 인간생명 / 맹광호 1993  169
2320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갈등 / 김현아 2011  3788
2319 20 죽음과 죽어감 품위 있는 죽음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태도 / 윤영호 2004  232
2318 10 성/젠더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심리학 연구 / 이은진 2015  224
2317 1 윤리학 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신유리, 김정석 2015  207
2316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권헌영, 윤상필, 전승재 2017  57
231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환경윤리의 비교 연구 / 김일방 2016  251
231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과 실질적인 환자의 권리보호에 관한 소고 / 손연우 2016  59
2313 10 성/젠더 ‘성폭행 ’ 피해자를 넘어 성적 자기결정권의 주체로 나아가기 위해 직시해야 할 현행 법률상 ‘성폭행’의 개념과 적용 / 이은의 2016  167
2312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배해상청구와 관련하여 / 류승훈 2016  61
231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의사결정에서 자율성 능력 모델의 한계와 그 대안의 필요성 / 송윤진 2016  221
2310 1 윤리학 장애인의 존엄한 삶과 헌법 : 장애인운동이 고안해 낸 새로운 권리의 사법적 수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윤수정 2016  217
2309 1 윤리학 독일의 성년후견인 제도와 자기결정권 / 조성혜 201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