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독일개인정보보호법 / 박경신

1 윤리학 조회 수 117 추천 수 0 2017.06.16 09:39:31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江原法學(Kangwon law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314608 
독일개인정보보호법
= Applying Right to Be Forgotten to Publicly Available Information under German Data Protection Law

                            

  • 저자명

    박경신(Kyung Sin Park)                                              

  • 학술지명

    江原法學(Kangwon law review)                           

  • 권호사항

    Vol.49 No.- [2016]                                                           

  • 발행처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03-135(3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개인정보보호법은 정보주체에게 자신의 정보에 대해 자동차 소유자가 자동차에 대해 갖는 것과 같은 정도의 통제권을 부여하는데 이를 기계적으로 해석하게 되면 우리는 타인에 대한 정보...
  • 개인정보보호법은 정보주체에게 자신의 정보에 대해 자동차 소유자가 자동차에 대해 갖는 것과 같은 정도의 통제권을 부여하는데 이를 기계적으로 해석하게 되면 우리는 타인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거나 타인을 비판할 자유를 잃어버리게 된다. 이와 같은 소유권적 자기정보결정권의 원천을 따라가보면 1967년 알란 웨스틴의 저서에서 자발적으로 제공된 정보의 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감시를 막기 위해서는 정보처리자가 정보주체의 동의없이 정보를 이용하거나 제3자제공을 해서는 안 된다고 하며 이를 막기 위해서는 정보주체가 자신에 대한 정보의 소유자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하였음이 확인된다. 이는 대부분의 정보주체들은 정보제공을 하고 서비스를 받는 “정보거래”을 하면서 정보이용이나 제3자제공의 범위에 대해 협상하거나 협상내용을 집행할 힘이 없기 때문에 그와 같은 협상을 하지 않더라도 정보주체를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즉 힘의 불균형을 보완하기 위함이었음으로 풀이된다. 그렇다면 개인정보보호법은 “일반적으로 공개된 정보”를 재공개하는 경우 즉 잊혀질 권리에는 적용되지 않아야 한다. 개인정보보호법의 기본취지가 프라이버시 보호이기도 하지만 기 일반공개된 정보에 대해서는 정보소유권 개념을 통해 평등화할 정보거래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와 같은 취지의 입법례는 여러 나라와 여러 국제문헌에서 확인된다.
    이 논문에서는 위의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독일개인정보보호법 조문, 판례 및 현지학설을 검토하였다. 독일개인정보보호법은 제14조에서 공공기관이 “일반적으로 접근 가능한 출처로부터 입수될 수 있거나 정보 파일 관리자가 공개할 수 있는 정보”는 “정보 주체가 변경된 목적을 거부함으로써 중요한 법적 이익을 얻게 됨이 명백”하지 않는 한 정보주체의 동의없이 자유롭게 저장, 변경, 이용하도록 허용하고 있다. 제28조에서도 민간업체 역시 일반적으로 접근 가능한 정보는 정보처리를 거부해야 할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개인정보를 정보주체의 동의없이 저장, 이용은 물론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독일개인정보보호법에서 잊혀질 권리가 도출될 수 있는 조항인 제20조와 제35조 역시 ‘일반적으로 접근가능한 출처에서 입수된 정보’에는 적용되지 아니 할 것으로 보이며 현지 학자의 견해도 일치한다.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접근가능한 출처’를 공개된 관공서기록, 방송, 인터넷 게시글 등으로 꼽고 있고 spichmich.de판결도 이에 부합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개인정보보호법의 근본적 문제
  • Ⅱ. 일반적으로 공개된 정보와 개인정보보호법
  • Ⅲ. 독일개인정보보호법과 일반적으로 공개된 정보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308 19 장기 조직 이식 지적(知的)장애인의 장기제공에 관한 법적 문제 / 송영민 2016  83
» 1 윤리학 독일개인정보보호법 / 박경신 2016  117
2306 15 유전학 유전자의 이용과 형법 / 임석원 2016  101
2305 1 윤리학 감염병 대응관련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 / 박미정 2016  185
2304 15 유전학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 공유체제와 다른 국제 규범의 관계 / 김홍균 2017  53
2303 7 의료사회학 개정 의료법 제33조 제8항 본문의 중복개설금지 / 이동진 2017  300
2302 1 윤리학 법률행위의 일부가 강행법규를 위반한 경우의 법률관계 / 강윤희 2017  276
230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남현 2017  58
2300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정하명 2017  43
2299 5 과학 기술 사회 IT기술의 발전과 개인정보보호 / 조대진 2017  108
229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그 영향에 대한 과학적 이해 / 이경전 2017  73
2297 18 인체실험 제약회사와 CRO의 CRA가 인식하는 조직문화가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비교 / 박인영 2017  222
229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와 임상시험코디네이터(CRC)의 업무량과 업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연구 / 김수미 2011  673
229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 전문성 유지를 위한 교육 및 자격에 대한 고찰 / 김근희 2012  206
2294 18 인체실험 CRA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이선희 2009  198
229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행정지원 강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임상시험 의뢰자 중심으로 / 조혜정 2011  84
229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모니터요원의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 평가 및 인식도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송윤선 2016  125
2291 18 인체실험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 박선경 2017  124
2290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김지연 2003  539
228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양영환 2016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