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유전자의 이용과 형법 / 임석원

15 유전학 조회 수 101 추천 수 0 2017.06.16 09:38:1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문사회과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412172 
유전자의 이용과 형법
= Using the Deoxyribonucleic Acid and Criminal Law

                                      

  • 저자명

    임석원(Lim Seok won)                                               

  • 학술지명

    인문사회과학연구                           

  • 권호사항

    Vol.17 No.4 [2016]                                                          

  • 발행처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발행처 URL

    http://myweb.pknu.ac.kr/ihss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91-212(2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KDC

    300                                                                                       

  • 초록 (Abstract)
    • 유전자정보의 활용은 의학이나 과학기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지만 법학의 분야에서 유전자 정보가 활용되는 것은 법률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전자의 활용...
  • 유전자정보의 활용은 의학이나 과학기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지만 법학의 분야에서 유전자 정보가 활용되는 것은 법률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전자의 활용이 형법과 형사소송법에서 범죄수사의 편의를 위하여 활용되 고 있는 면을 자세히 살펴보고 여기에 따라오는 문제점과 입법상의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유전자의 활용은 그 대상자들의 추정적 의사에 반하는 허용되지 않은 접근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이들을 국가의 감시 하에 둠으로써 주민등록제도에 의하여 개인식별이 가능한 대상자들을 이중의 위험에 노출시키고 있다. 또한 엄격한 기준과 절차를 규정해 놓고 있지 않음으로서 예방형법의 경계를 벗어나고 있다. 명백한 사생활침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미국법에서도 마찬가지의 결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명백한 목적과 특정범죄와의 관련성이 없는 데도 불구하고 유전자를 채집하고 저장함으로서 명확성의 원칙에 반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그 채집방법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적정성의 원칙에도 반할 가능성이 있다. 이외에도 유전자의 활용은 형법상의 또 다른 범죄를 낳을 가능성도 있다. 성립가능성이 있는 범죄로는 직권남용죄, 강요죄, 학대죄, 명예훼손죄 등이다. 형사소송법과 관련된 문제점으로는 형법상의 문제점보다 더 큰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는 헌법상의 기본권침해와 직접적으로 관련되기 때문이다. 우선 무죄추정의 원칙에 위반된다. 유전자활용의 대상자들을 잠재적인 범죄행위자로 이미 결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는 유전자활용을 위한 영장은 수사와 행정상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영장만이 요구된다. 그러나 유전자활용은 자기결정권과 신체적 자유권이라는 별개의 기본권을 침해하고 있기 때문에 영자의 세분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입법적 해결방안으로는 대상범죄의 재조정으로 인한 절도범 등 경범죄의 삭제, 특별한 수사범죄와의 연관성을 위한 명백한 목적의 명시, 재범의 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의 명시, 영리(금전)목적의 유전자 활용에 대한 가중처벌의 명시, 영장의 세분화를 위한 신체적 기본권침해에 대한 영장발부와 유전자 저장을 위한 영장발부, 제한된 행위능력을 가진 대상자에 대한 의무적 후견인 지정규정의 명시, 현장에서의 유전자채취거부규정의 명시, 유전자활용 및 저 장의 효율적 감독을 위한 관리기관의 분리 등이 요청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 Ⅱ. Collection and use of DNA Identification
  • Ⅲ. Problems of interpretation in terms of unauthorized access
  • Ⅳ. Direction of legislative remedies
  • Ⅴ. Conclusion
  • References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308 19 장기 조직 이식 지적(知的)장애인의 장기제공에 관한 법적 문제 / 송영민 2016  83
2307 1 윤리학 독일개인정보보호법 / 박경신 2016  117
» 15 유전학 유전자의 이용과 형법 / 임석원 2016  101
2305 1 윤리학 감염병 대응관련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 / 박미정 2016  185
2304 15 유전학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 공유체제와 다른 국제 규범의 관계 / 김홍균 2017  53
2303 7 의료사회학 개정 의료법 제33조 제8항 본문의 중복개설금지 / 이동진 2017  300
2302 1 윤리학 법률행위의 일부가 강행법규를 위반한 경우의 법률관계 / 강윤희 2017  276
230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남현 2017  58
2300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정하명 2017  43
2299 5 과학 기술 사회 IT기술의 발전과 개인정보보호 / 조대진 2017  108
229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그 영향에 대한 과학적 이해 / 이경전 2017  73
2297 18 인체실험 제약회사와 CRO의 CRA가 인식하는 조직문화가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비교 / 박인영 2017  222
229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와 임상시험코디네이터(CRC)의 업무량과 업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연구 / 김수미 2011  673
229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 전문성 유지를 위한 교육 및 자격에 대한 고찰 / 김근희 2012  206
2294 18 인체실험 CRA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이선희 2009  198
229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행정지원 강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임상시험 의뢰자 중심으로 / 조혜정 2011  84
229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모니터요원의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 평가 및 인식도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송윤선 2016  125
2291 18 인체실험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 박선경 2017  128
2290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김지연 2003  539
228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양영환 2016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