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37663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 기타서명

    R&D Trend Report of Clinical Trial Subject Management using Mobile Technology

  • 저자

    박선경                                       

  • 형태사항

    v, 55 p. : 삽화, 표 ; 26 cm.

  • 일반주기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 이태수
    참고문헌 : p.5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충북대학교 의생명과학경영융합대학원 : 의생명과학경영융합학과 의생명과학경영융합학전공 2017. 2

  • KDC

    518.5 5

  • 발행국

    충청북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은 행동추적, 신체 정보 모니터링, 다이어트와 체중감량, 운동법 제공 , 의료/건강 정보 및 캠페인 관련 애플리케이션과 의료부분에서 의료관계자용, 환자용 ...
  •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은 행동추적, 신체 정보 모니터링, 다이어트와 체중감량, 운동법 제공 , 의료/건강 정보 및 캠페인 관련 애플리케이션과 의료부분에서 의료관계자용, 환자용 관리 애플리케이션 등 여러 가지 기능으로 활용되고 있다. 임상시험 진행 단계별로도 여러 가지 기능으로 활용되고 있고, 미국의 경우 투약 및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임상시험 모집에 특화되거나 임상시험 조사 설문 항목 입력 및 수집 기능에 특화되어있는 등 임상시험 전과정에 걸친 체계적인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아직 대중화되어있지 않다. 전국에 위치한 143개의 임상시험센터에 보다 체계적으로 대상자를 관리하고 보호하기 위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플랫폼이 구축이 된다면 제약계를 비롯한 인류의 건강에 보다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임상시험 대상자들이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의 모바일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확한 임상시험과 투약 일정 알람을 받고, 실시간으로 투약 여부와 건강 상태, 신체 부작용 여부를 입력하여, 임상시험 진행 상황이 플랫폼을 통해 보다 전문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임상시험 대상자들도 충분한 정보 제공과 상시적인 알림 체계 속에서 보다 안정된 임상시험 수행을 완료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헬스케어에는 개방성과 연동성이 중요시되므로, 모바일 의료(mHealth) 기기의 개념을 넓혀 임상시험 스폰서들에게 특정 연구 및 환자 요구에 따라 센서, 웨어러블, 앱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어야겠다. 핏빗, 미밴드, 삼성 갤럭시 기어 등 웨어러블 기기의 생체 신호 수집하여 대상자별 신체 상태 분석하고 투약 내용 관련하여 부작용 여부까지 추측할 수 있는 분석 서비스도 추가적으로 제공이 된다면 임상시험 성공률에 크게 이바지하는 시스템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산업 및 기술 현황 분석 3
  • 1. 산업 및 시장 분석 4
  • (1) 국외 제약 산업 및 임상 시험 산업 동향 5
  • (2) 국내 제약 산업 및 임상 시험 산업 동향 7
  • 2. 임상시험과 모바일 헬스케어 16
  • (1) 제약산업에서 임상시험의 모바일디바이스 활용 16
  • (2) 임상시험 관련 어플리케이션 사례 23
  • 3. 산업 기술분석 - SWOT 분석 29
  • Ⅲ. 임상시험 Coordinator 설문 조사 분석 31
  • 1. 응답자 표본의 구성 31
  • 2.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의 실태 조사 34
  • 3. 임상시험 관련 컴퓨터 및 모바일 활용 현황 37
  • 4. 설문 조사 고찰 40
  • Ⅳ.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능 설계 41
  • 1.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기능 정의 41
  • 2. 임상시험 진행 단계별 대상자 관리 기능 42
  • 3. 기대 효과 46
  • 4. 설계시 고려 사항 47
  • 5.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시 개인정보보호 관련 주의점 48
  • Ⅴ. 결론 및 고찰 49
  • 참고문헌 51
  • 부록 5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308 19 장기 조직 이식 지적(知的)장애인의 장기제공에 관한 법적 문제 / 송영민 2016  83
2307 1 윤리학 독일개인정보보호법 / 박경신 2016  117
2306 15 유전학 유전자의 이용과 형법 / 임석원 2016  101
2305 1 윤리학 감염병 대응관련 언론보도와 개인정보보호 / 박미정 2016  185
2304 15 유전학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 공유체제와 다른 국제 규범의 관계 / 김홍균 2017  53
2303 7 의료사회학 개정 의료법 제33조 제8항 본문의 중복개설금지 / 이동진 2017  300
2302 1 윤리학 법률행위의 일부가 강행법규를 위반한 경우의 법률관계 / 강윤희 2017  276
2301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남현 2017  58
2300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정하명 2017  43
2299 5 과학 기술 사회 IT기술의 발전과 개인정보보호 / 조대진 2017  108
229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그 영향에 대한 과학적 이해 / 이경전 2017  73
2297 18 인체실험 제약회사와 CRO의 CRA가 인식하는 조직문화가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비교 / 박인영 2017  222
229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와 임상시험코디네이터(CRC)의 업무량과 업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연구 / 김수미 2011  673
229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 전문성 유지를 위한 교육 및 자격에 대한 고찰 / 김근희 2012  206
2294 18 인체실험 CRA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이선희 2009  198
229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행정지원 강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임상시험 의뢰자 중심으로 / 조혜정 2011  84
229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모니터요원의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 평가 및 인식도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송윤선 2016  125
» 18 인체실험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 박선경 2017  128
2290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김지연 2003  539
228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양영환 2016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