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000800 
사회행동과학연구의 특성에 따른 심의
= A Review on Character of Social Behavioral Research : Analysis of Humphreys study

            

http://www.riss.kr/link?id=A102000800  


  • 저자명

    김시형(Kim Si-hyeong), 추정완(Choo Jung-wan), 우제창(Au Chung-kyoon), 오정균(Woo Je-chang), 안영하(An Young-ha)                                             

  • 학술지명

    생명윤리               

  • 권호사항

    Vol.17 No.1 [2016]                                                          

  • 발행처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7-33(1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본 논문의 목적은 전부 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대학에 설치된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안정된 정착을 위한 사회행동과학연구의 심의에 필요한 윤리적 쟁점을 ...
  • 본 논문의 목적은 전부 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대학에 설치된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안정된 정착을 위한 사회행동과학연구의 심의에 필요한 윤리적 쟁점을 탐구하는 것이다. 기존의 침습적 연구를 중심으로 형성된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기준과 달리 사회행동과학연구는 ‘연구참여자의 이해관심’, ‘연구자와 연구참여자의 상호관계’, ‘사회행동과학연구의 사회적 가치’ 등 세 가지 측면에서보다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또한 사회행동과학연구의 위험·이익 평가 분석을 위해서는 ‘프라이버시와 기밀성’과 ‘충분한 정보에 의한 동의와 속임의 문제’ 역시 중요한 검토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사회행동과학연구의 특징, 그리고 연구수행에 필요한 중요 사항들에 내재된 윤리적 쟁점들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특히 사회행동과학연구에서 ‘프라이버시와 기밀성’ 보장의 과제와 관련해서는 ‘연구참여자의 대중 노출’, ‘연구참여자의 자기표현에 대한 통제’, ‘연구참여자의 사적 공간의 축소’의 윤리적 문제를 , 또한 ‘충분한 정보에 의한 동의와 속임의 문제’에 대해서는 ‘의사결정능력의 훼손’, ‘인간존중의 훼손’, ‘신뢰의 훼손’의 윤리적 문제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은 사회행동과학연구에서 전형적인 사례로 알려진 “험프리스 연구” 사례를 통해 이러한 윤리적 쟁점들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검토하고, 이러한 윤리적 문제에 대한 대안적인 방안에 대해서 논구하였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사회행동과학연구의 특성
    • Ⅲ. 사회행동과학연구의 질적 연구방법에 대한 적용 : 험프리스 연구 사례
    • Ⅳ. 결론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70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이후의 삶: 노동하지 않아도 행복한가? / 현남숙 2016  252
    170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과 사회 변화, 그리고 당신이 바라는 미래 / 박성원 2016  777
    1706 5 과학 기술 사회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 김진형 2016  2040
    1705 5 과학 기술 사회 AI(인공지능)에 대한 신학적 담론의 형성 및 방향 모색 / 김동환 2016  224
    170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시대에서의 의사 역할(법적 측면) / 김재춘 2016  88
    1703 5 과학 기술 사회 트랜스휴먼 및 포스트휴먼 그리고 안드로이드(로봇)에 대한 형법상 범죄주체의 인정여부 / 송승현 2016  471
    1702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인공 지능 연구 개발 전략 현황 / 한상기 2016  97
    170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시대에서의 의사 역할(윤리적 측면) / 고인석 2016  163
    170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창작물의 저작권자는 누구인가? / 이상미 2016  261
    169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시대의 인식론과 과학철학: 『뇌처럼 현명하게: 신경철학연구』 / 김효은 2016  291
    169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인간지능` 개념에 대한 철학적 분석 시도 / 김형주 2016  144
    169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을 이용한 법률전문가 시스템의 동향 및 구상 / 양종모 2016  203
    1696 5 과학 기술 사회 가상 로봇의 학습 행동이 인공 진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최상호 2005  153
    1695 5 과학 기술 사회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 권기석 2000  386
    169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윤리’ 개념과 ‘도덕’ 개념의 구분을 통해서 본 번역윤리 / 윤성우 2015  191
    » 2 생명윤리 사회행동과학연구의 특성에 따른 심의 / 김시형 2016  255
    169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임미혜 2016  298
    169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존엄사 - 목회상담을 위한 메타윤리적 연구 / 홍순원 2016  235
    1690 1 윤리학 긍정심리학과 덕윤리 / 이진남 2016  207
    1689 1 윤리학 스피노자 공동체론에서의 개인의 자유와 연대성의 문제 -롤즈와 샌델의 논쟁이 제기한 문제 의식을 중심으로 / 이지영 2016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