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사회와 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967735 

역량 중심 접근법에 입각한 의료 정의론 연구 :  노만 대니얼즈의 논의를 넘어서

= A Theory of Just Health Care Based on the Capability Approach : Beyond Norman Daniels"s Theory of Justice

                                    

  • 저자명

    목광수(Kwangsu Mok)                                                     

  • 학술지명

    사회와 철학                             

  • 권호사항

    Vol.- No.27 [2014]                                                           

  • 발행처

    사회와철학연구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69-206(3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 KDC

    300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0

  • 초록 (Abstract)
    • 현대 다원주의 사회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의료 분배 체계는 사회 구성원들의 기본적 의료에 대해서는 평등한 접근을 보장하는 기본층(the basic tier)을 유지하면서도 개인의 자유로운 의료 ...
  • 현대 다원주의 사회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의료 분배 체계는 사회 구성원들의 기본적 의료에 대해서는 평등한 접근을 보장하는 기본층(the basic tier)을 유지하면서도 개인의 자유로운 의료 구매 행위가 이루어지는 상위층(the upper tier)을 허용하는 이원화 의료 체계(the two-tiered system of health care)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이원화 의료 체계는 자유로운 구매 행위 보장과 적정 수준의 의료 보장이라는 두 가지 직관을 잘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원화 의료 체계를 이론적으로 정당화하고 현실적으로 작동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되는 의료 분배 정의론 가운데 대표적인 논의가 노만 대니얼즈(Norman Daniels)의 자유주의적 평등주의(liberal egalitarianism) 논의이다. 대니얼즈는 사회 구성원들의 정상적인 기능(speciestypical normal functioning)을 보장해야 한다는 확장된 공정한 기회균등 논의와 심의 민주주의적 방식의 합당한 결정의 책임(accountability for reasonableness) 논의를 결합한 의료 정의론을 제시하여 이러한 이원화 체계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대니얼즈의 의료 정의론이 이원화 의료 체계를 지탱하는 이론으로 적합한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대니얼즈의 논의가 기본층을 보장하는 이론적 토대를 충분히 제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잘못된 가치에 토대를 두고 있어 하향 평준화(leveling down)의 문제를 야기한다고 비판한다. 또한 대니얼즈의 논의에서 정상적인 기능 논의와 합당한 결정의 책임 논의의 결합이 내적인 연관성에 기반을 두기보다는 현실적 필요에 의한 것이어서 이론적으로도 불완전하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이론적 취약성은 대니얼즈의 의도와는 달리 이원화 의료 체계에서 기본층의 무력화로 인한 의료의 영리화 또는 상업화, 즉 의료 민영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귀결은 개인의 적정 수준 의료가 보장되어야 하다는 직관과 배치된다. 본 논문은 대니얼즈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역량 중심 접근법(capability approach)에 입각한 의료 분배 정의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역량 중심 접근법에 입각한 의료 분배 정의론은 실질적 자유이면서 인간의 기본 조건인 역량을 분배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분배의 기준은 적정 수준의 의료 최소치를 충족(sufficiency)하려는 정의관을 제시하여 기본층을 확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러한 정의론은 의료 자원의 부족이라는 현실적 제약 하의 분배 논의를, 역량 개념과 내적 연관성을 갖는 행위주체성,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하는 심의 민주주의를 통해 제시한다는 점에서 기본층을 확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이 제시한 역량 중심 접근법에 입각한 의료 정의론은 자유로운 의료 구매 행위 보장과 적정 수준의 의료 보장이라는 두 가지 직관을 잘 반영하는 이원화 의료 체계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록 (Abstract)
    • In this paper, I search for a theory of just health care that can effectively sustain the two-tiered system of health care based on two intentions: (1) freely allowing citizens to purchase health care of their choice while still (2) guaranteeing a dec...
  • In this paper, I search for a theory of just health care that can effectively sustain the two-tiered system of health care based on two intentions: (1) freely allowing citizens to purchase health care of their choice while still (2) guaranteeing a decent base level of health care. For this purpose, I examine a libertarian theory of just health care and Norman Daniels"s liberal egalitarian theory. Daniels’s theory has been popular, and the community expects his work to support the twotiered system of health care. I criticize Daniels’s theory in that it can not sustain the two-tiered system and instead results in the same privatization of health care as a libertarian theory does. This is because Daniels’s theory of accountability for reasonableness may collapse the two-tier system, resulting in leveling a basic tier down or permitting trading people’s health as species-typical normal functioning against other values and priorities. In addition, Daniels’s theory is theoretically incomplete. This is because there is no internal connection between his main arguments - species-typical normal functioning and accountability for reasonableness, and the latter seems to be additional justifications for the reality of scarce medical resources. I argue that a theory of just health care based on the capability approach can effectively sustain the two-tiered system based on the two intentions. This is because in the capability approach, basic or central capabilities such as “capability to be healthy” should be absolutely guaranteed because they are important and necessary for human beings" quality of life. Furthermore, in the capability approach, the concept of capability theoretically relates to agency and public reasoning. Namely, this means a deliberative democracy, which attempts to trade off values in situations of resource scarcity. For this reason, in a theory of just health care based on the capability approach, basic or central capabilities (i.e. the capability to be healthy) cannot be traded off. Therefore, I argue that a theory of just health care based on the capability approach can effectively sustain the two tiered system of health care based on the two intentions - freely allowing citizens to purchase health care of their choice and guaranteeing a decent base level of health care.
  •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1. 들어가는 글
  • 2. 기존의 이원화 의료 체계에 대한 검토
  • 3. 역량 중심 접근법에 입각한 이원화 체계
  • 4. 나오는 글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388 9 보건의료 정책이념과 정책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정책입법안을 중심으로 / 김권식 2014  61
» 9 보건의료 역량 중심 접근법에 입각한 의료 정의론 연구 : 노만 대니얼즈의 논의를 넘어서 / 목광수 2014  152
2386 5 과학 기술 사회 人工知能(로봇)의 법적 쟁점에 대한 試論的 考察 / 김윤명 2016  457
2385 5 과학 기술 사회 특허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기술분야의 연구동향 / 노승민 2017  1062
2384 15 유전학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에 관한 WIPO에서의 논의와 우리의 대응방안 / 곽충목 2017  98
2383 5 과학 기술 사회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민사상 구제방법에 관한 소고 / 계승균 2017  115
2382 5 과학 기술 사회 헌법상 지식재산권 보장과 변리사의 기능강화 방안 / 정극원 2017  94
2381 5 과학 기술 사회 법률상 사이버재물개념과 철학적 근거 / 송문호 2017  151
238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 보호 / 손승우 2017  626
2379 9 보건의료 의약품 디자인 분쟁사례를 통한 시사점 도출 및 보호방안 연구 / 박해림 2017  291
2378 5 과학 기술 사회 소비자 맞춤형 삼차원 프린팅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탐색 / 이국희 2017  37
2377 15 유전학 유전자 재조합기술 판결 사례로 바라본 합성생물학에서의 지식재산권 활용 / 정상배 2017  552
2376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규제의 특성과 규제거버넌스(Governance)의 재구성 / 김유환 2016  122
2375 9 보건의료 항생제 내성의 극복: 질환별 항생제의 올바른 선택 / 이미숙 2017  166
2374 9 보건의료 의료 산업 Bio 3D Printing 활용사례 개발에 관한 연구 / 천경원 2017  161
2373 9 보건의료 암 환자의 재활치료 활성화를 위한 수가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 김준성 2017  253
2372 9 보건의료 장애관련 자료의 정보요구에 관한 연구 / 장우권 2016  38
2371 9 보건의료 NFC 기술 기반 병원의료정보 서비스 / 문용일 2016  113
2370 9 보건의료 가족구조에 따른 미성년 자녀의 의료이용 분석 / 김정욱,최재성 2016  100
2369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책의 추진방향과 과제 / 이상영 2015  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