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352926 
보조생식술 규제 입법에 대한 각국의 현황과 그 영향
= The Effects of Legislation on the Regulation of ART: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a Registry and Reducing the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 저자명

    하정옥(Jung-Ok Ha)                                                

  • 학술지명

    생명윤리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9 No.3 [2016]                                                          

  •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03-131(2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이 논문은 체외수정 시술을 비롯한 보조생식술의 규제에 입법이 미치는 영향을 기록부의 확립과 이식 배아 수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그동안 국내에서 보조생식술 관련 입법 논의는 특...
  • 이 논문은 체외수정 시술을 비롯한 보조생식술의 규제에 입법이 미치는 영향을 기록부의 확립과 이식 배아 수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그동안 국내에서 보조생식술 관련 입법 논의는 특정 시술이나 기법의 허용 여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 었을 뿐 기록부나 이식 배아 수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된 바 없다. 기록부는 보조생식술의 기본 현황을 파악하는 출발점이며, 이식 배아 수는 보조생식술의 대표적인 부작용인 다태 임신과 출산을 제어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정책 개입 지점이다. 유럽과 북미의 여러 국가는 보조생식술의 시행과 함께 일찌감치 기록부를 확립하고 이식 배아 수를 줄이는 규제를 도입한 바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여러 국가는, 일본을 제외하고는, 기록부가 확립되어 있지 못하 고, 특히 한국과 대만은 세계 기록 수합에서 가장 많은 배아를 이식하는 국가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록부의 확립과 이식 배아 수의 감소는 입법으로 규제될 때 가장 확실한 효과를 가져왔다. 그리고 이것이 전문가 단체의 자율 규제및 보험 보장 확대와 연동될 때 시술을 시행하는 전문가들이나 당사자들의 동의 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한국의 보조생식술의 역사가 30년이 된 지금 보조생식술의 취약한 거버넌스를 보완하는 데 이러한 선례가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며
  • II. 기록부 확립에 미치는 입법의 효과
  • 1. 세계 각국의 상황
  • 2. 세계 기록 수합 및 비교 보고에서 아시아 국가의 상황
  • Ⅲ. 이식 배아 수 규제에 미치는 입법의 효과
  • 1. 다태아 임신 및 출생의 위험과 이식 배아 수 규제
  • 2. 이식 배아 수 변화에 미치는 입법 및 행정 규제의 영향
  • IV. 결론: 요약과 전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4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김동진 2003  121
2047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간이식의 현황과 그 문제점 / 이영주 1999  111
»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규제 입법에 대한 각국의 현황과 그 영향 / 하정옥 2016  95
2045 9 보건의료 혈액관리법상 ‘임의비급여 수혈’의 허용성 검토 / 김한가희 2013  292
2044 9 보건의료 의료법과 입법자의 책임 공법적 측면에서의 혈액관리제도 안정성확보 / 박규환 2008  316
2043 9 보건의료 현행 혈액관리법령의 쟁점 / 전현희 2003  138
2042 15 유전학 CRISPR in the media 2017  63
2041 23 연구윤리 외국의 사례에서 본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개념의 생명윤리적 기원에 관한 연구 / 이준석 2016  157
2040 12 낙태 낙태 관련 의사결정의 합리화 : 각국의 낙태 상담절차와 규정 / 이은영 2010  199
2039 12 낙태 유럽 각국의 낙태 접근과 여성건강 : 한국 낙태논쟁에 대한 함의 / 정진주 2010  233
2038 12 낙태 낙태죄와 낙태권에 대한 소고 / 김용화 2013  161
2037 12 낙태 상담을 통한 낙태 결정방식의 헌법적 검토 / 정철 2011  93
2036 12 낙태 낙태에 대한 한국 교회의 입장 / 이경직 2007  482
2035 12 낙태 독일과 한국에서의 낙태의 규범적 평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김학태 2010  322
2034 12 낙태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장애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이강선 2011  376
2033 12 낙태 낙태에 관한 규정의 현황과 모자보건법의 합리적 개정방안 / 주호노 2012  228
2032 12 낙태 미국 낙태법상 인지된 동의에 관한 고찰 / 최희경 2013  162
2031 12 낙태 낙태에 대한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2  160
2030 12 낙태 자율성 역량 모델의 제안과 그 적용: 낙태에서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송윤진 2016  165
2029 12 낙태 낙태와 관련된 민사적 제 문제 / 윤부찬 2011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