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000799 
외국의 사례에서 본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개념의 생명윤리적 기원에 관한 연구
= Studies on the Bioethical Origins of the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RRI)’ from Foreign Case Studies

                                  

  • 저자명

    이준석(Lee June-Seok)                                              

  • 학술지명               

    생명윤리                           

  • 권호사항

    Vol.17 No.1 [2016]                                                         

  • 발행처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6(1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최근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및 기술혁신이론 분야에서는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혹은 ‘사회에 책임지는 혁신’의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주로 EU와 북미...
  • 최근 국내외 과학기술정책 및 기술혁신이론 분야에서는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responsible research and innovation)’ 혹은 ‘사회에 책임지는 혁신’의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주로 EU와 북미지역에서 논의되어왔던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의 개념은, 2013년 이후 한국에서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및 한국연구재단에서 수행되는 프로젝트들의 새로운 키워드중 하나로 포함되면서 최근 한국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이 부상하고 있다. 본고는 이처럼 국내ㆍ외 기술혁신 및 과학정책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의 개념이 생명윤리 분야에서 오랫동안 논의되어온 여러 전통에 기원하고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생명윤리 분야의 중요한 세 가지 전통을 사례연구로 분석한다. 이들은 첫째, 영국 누필드 생명윤리위원회(NCB)에서 발간한 보고서, 둘째,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RC)에서 정의한 바른 연구 수행(GRP)의 사례, 그리고 셋째,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에서 제시하는 책임있는 연구 수행(RCR)의 전통이다. 이 사례연구들를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본고는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의 생명윤리학적 연원을 고찰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글 : 과학기술학의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논의들
  • 2. 영국 누필드 생명윤리위원회(NCB)와 RRI
  • 3.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RC)의 ‘바른 연구 수행(GRP)’과 RRI
  • 4.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의 ‘책임있는 연구 수행(RCR)’과 RRI
  • 5. 나가는 글 :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 거버넌스를 위한 고찰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04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김동진 2003  121
2047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간이식의 현황과 그 문제점 / 이영주 1999  111
2046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규제 입법에 대한 각국의 현황과 그 영향 / 하정옥 2016  95
2045 9 보건의료 혈액관리법상 ‘임의비급여 수혈’의 허용성 검토 / 김한가희 2013  292
2044 9 보건의료 의료법과 입법자의 책임 공법적 측면에서의 혈액관리제도 안정성확보 / 박규환 2008  316
2043 9 보건의료 현행 혈액관리법령의 쟁점 / 전현희 2003  137
2042 15 유전학 CRISPR in the media 2017  63
» 23 연구윤리 외국의 사례에서 본 ‘책임있는 연구와 혁신(RRI)’ 개념의 생명윤리적 기원에 관한 연구 / 이준석 2016  157
2040 12 낙태 낙태 관련 의사결정의 합리화 : 각국의 낙태 상담절차와 규정 / 이은영 2010  199
2039 12 낙태 유럽 각국의 낙태 접근과 여성건강 : 한국 낙태논쟁에 대한 함의 / 정진주 2010  233
2038 12 낙태 낙태죄와 낙태권에 대한 소고 / 김용화 2013  161
2037 12 낙태 상담을 통한 낙태 결정방식의 헌법적 검토 / 정철 2011  93
2036 12 낙태 낙태에 대한 한국 교회의 입장 / 이경직 2007  482
2035 12 낙태 독일과 한국에서의 낙태의 규범적 평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김학태 2010  322
2034 12 낙태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장애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이강선 2011  376
2033 12 낙태 낙태에 관한 규정의 현황과 모자보건법의 합리적 개정방안 / 주호노 2012  228
2032 12 낙태 미국 낙태법상 인지된 동의에 관한 고찰 / 최희경 2013  162
2031 12 낙태 낙태에 대한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2  160
2030 12 낙태 자율성 역량 모델의 제안과 그 적용: 낙태에서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송윤진 2016  165
2029 12 낙태 낙태와 관련된 민사적 제 문제 / 윤부찬 2011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