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Information systems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485193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저자명

    김찬영,이강덕,김용진                                             

  • 학술지명

    Information systems review             

  • 권호사항

    Vol.17 No.1 [2015]                                                         

  • 발행처

    한국경영정보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mis.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9-47(2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초록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에서 ICT 조직기능 연관성(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latedness)과 조직환경이 의료진간 또는 의료진과 환자간 상호작용과 지식공유에 어떻게...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분야에서 ICT 조직기능 연관성(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latedness)과 조직환경이 의료진간 또는 의료진과 환자간 상호작용과 지식공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지식공유는 의료 서비스 혁신, 그리고 서비스 혁신은 서비스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화된 모델을 통해 연구하는 것이다. 자원준거관점(Resource based view), 적합구 조화이론(Adaptive Structuration Theory), 그리고 서비스 혁신이론을 기반으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에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ICT 조직기능 연관성, 구성원간의 상호작용과 지식공유를 설정했고, 성과요인으로는 서비스 혁신과 서비스 성과를 설정였다. 모델의 검증을 위해 병원에서 종사 하는 의료직, 기능직, 사무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모델 검증 결과, 모든 가설들은 유의미하게 성과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조화된 조직환경과 ICT 조직기능 연관성은 서비스 조직구성원 및 환자들의 행위에 영향을 주어 상호작용 및 지식공유를 촉진 하고,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의 혁신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문헌연구
    • 2.1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과 자원준거관점(Resource Based View)
    • 2.2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에서의 ICT 활용
    • 2.3 적합 구조화 이론(Adaptive Structuration Theory)
    • 2.4 서비스 시스템 혁신(Service System Innovation)과 가치공동창출(ValueCo-Creation)
    • Ⅲ. 연구가설
    • 3.1 조직환경(Organizational Environment)과 상호작용
    • 3.2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과 상호작용, 지식공유
    • 3.3 상호작용(Interaction)과 지식공유(Knowledge Sharing)
    • 3.4 서비스 혁신(Service Innovation)과 서비스 성과(Service Performance)
    • Ⅳ. 연구방법론 및 분석
    • 4.1 자료의 수집 및 표본의 특성
    • 4.2 자료의 분석 및 측정모델의 검증
    • 4.3 모델적합성 및 가설 검증
    • 4.4 다중 집단 분석
    • Ⅴ. 결론 및 향후 과제
    • 5.1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
    • 5.2 연구의 한계 및 제안
    • 참고문헌
    • 변수 및 설문문항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28 12 낙태 손상을 가진 태아의 산전 진단과 낙태에 대한 장애학적 논의 / 이지수 2012  158
    2027 12 낙태 낙태에 관한 법적 고찰 및 여대생들의 의식조사 / 이병화 2006  175
    2026 12 낙태 여성운동측면으로 본 낙태 / 김상민 1999  101
    2025 12 낙태 낙태의 실태 및 의식에 관한 연구 / 심영희 1990  219
    2024 12 낙태 낙태의 허용범위와 허용절차규정에 관한 연구 / 이기헌 1994  151
    2023 12 낙태 낙태규제에 관한 미국 판례와 학설의 전개 / 도회근 1998  203
    2022 12 낙태 낙태의 이슬람적 시각에 대한 소고 / 김효정 2013  99
    2021 5 과학 기술 사회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엽 2016  53
    2020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자본 형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이병혜 2016  98
    2019 5 과학 기술 사회 세계 빅데이터 연구의 의미연결망분석 기반 IT정책 연구 / 권신혁 2016  99
    2018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네트워서비스에서의 구성원의 다양성, 연결강도, 사회적 자본이 개인의 창의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 / 강윤정 2016  177
    201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노년기 사전돌봄계획의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안경진 2017  278
    2016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이정석 2006  419
    2015 9 보건의료 국내 제약산업의 발전 전망 / 여재천 2016  229
    2014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IoT) 공통 플랫폼 구축에 따른 서비스 기반에 관한 연구 / 유홍택 2015  524
    » 9 보건의료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김찬영 2015  77
    2012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2012  76
    2011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 케어산업 성장과 글로벌 보건 및 인력개발 / 최병목 2015  137
    2010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제품 및 서비스의 분석 및 제안 (1) / 이장미 2015  94
    2009 9 보건의료 혁신친화형 바이오헬스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제언 / 배성윤 2016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