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글로벌사회복지연구(Global Social Welfare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47189 
디지털 헬스 케어산업 성장과 글로벌 보건 및 인력개발
= Global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with Growth of Digital Health Care Industry

                                    

  • 저자명

    최병목 ( Byoung Mohk Choi ), 김태림 ( Tae Rim Kim )                                              

  • 학술지명

    글로벌사회복지연구(Global Social Welfare Review)                           

  • 권호사항

    Vol.5 No.2 [2015]                                                         

  • 발행처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95-120(2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초록 (Abstract)

  • 디지털 헬스케어는 헬스케어 산업과 ICT가 융합되어 개인 건강 및 질환을 관리하는 산업영역을 말한다. 디지털 헬스케어산업은 기존의 의료기기시장과 함께 헬스케어시장의 외연 확대를 촉...
  • 디지털 헬스케어는 헬스케어 산업과 ICT가 융합되어 개인 건강 및 질환을 관리하는 산업영역을 말한다. 디지털 헬스케어산업은 기존의 의료기기시장과 함께 헬스케어시장의 외연 확대를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언제, 어디서나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의 제공이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네트워크 기술과 디지털 의료기기의 개발로 의료기관을 벗어난 곳에서 진단이 가능하다.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변화는 첫째,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게중요해짐. 둘째, 진단 및 치료 중심에서 사전진단 및 예방으로 패러다임 변화, 셋째, 일상생활에서의 건강관리 확대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Well-Aging을 선호하게 되었다. 그리고 헬스케어 가치사슬의 변화를 가져왔다. 즉, [사전진단→ 사전치료→ 진단→ 치료→ 사후관리→ 건강유지]로 바뀌고 있다. 아울러 의료분야에도 Big Data 시대가 열렸다. 의료데이터가 벤처투자를 통한 제품혁신이 연계되면서 “의료혁신”이 가능해 지고 있다. 게놈 서열분석, 모바일, 센서 기술과 분석 소프트웨어 등의 발전으로 이제 개인의 체질과 주위 환경 등에 관한 방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첫째, 헬스케어산업의 패러다임은 질병치료의 시대에서 건강수명의 시대로 전환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헬스케어와 ICT 기술융합의 활용성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의 니즈가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ICT 기술과 헬스케어 산업의 융합은 의료서비스의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서비스 과정의 단순화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헬스케어와 ICT 기술의 융합으로 digital health가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 기기, 웨어러블 컴퓨팅 기기들과 모바일 기기들이 헬스케어의 도구로서 활용되기 시작했다. 디지털 헬스는 이러한 도구들을 이용하여 개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서 맞춤형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졌다. 셋째, 주요 IT기업들은 디지털 헬스 케어 생태계를 주도하기 위해 개인건강정보(PHI) 프랫폼 구축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애플, 구글, 등은 의료기관, EHR 시스템과의 연계 및 의료서비스와의 접목, 개인 피트니스데이터 활용 등을 시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건강정보측정 디바이스 플랫폼 심밴드(SimBand)와 개인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 SAMI를 발표하였다. 넷째, 다섯째, 그러나 인체에 적용되는 제품의 특성상 의료기기의 규제가 적용될 경우 발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요구에 대처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 변화하는 산업환경에 맞는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28 12 낙태 손상을 가진 태아의 산전 진단과 낙태에 대한 장애학적 논의 / 이지수 2012  158
2027 12 낙태 낙태에 관한 법적 고찰 및 여대생들의 의식조사 / 이병화 2006  175
2026 12 낙태 여성운동측면으로 본 낙태 / 김상민 1999  101
2025 12 낙태 낙태의 실태 및 의식에 관한 연구 / 심영희 1990  219
2024 12 낙태 낙태의 허용범위와 허용절차규정에 관한 연구 / 이기헌 1994  151
2023 12 낙태 낙태규제에 관한 미국 판례와 학설의 전개 / 도회근 1998  203
2022 12 낙태 낙태의 이슬람적 시각에 대한 소고 / 김효정 2013  99
2021 5 과학 기술 사회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엽 2016  53
2020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자본 형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이병혜 2016  98
2019 5 과학 기술 사회 세계 빅데이터 연구의 의미연결망분석 기반 IT정책 연구 / 권신혁 2016  99
2018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네트워서비스에서의 구성원의 다양성, 연결강도, 사회적 자본이 개인의 창의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 / 강윤정 2016  177
201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시기 돌봄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노년기 사전돌봄계획의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안경진 2017  278
2016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이정석 2006  420
2015 9 보건의료 국내 제약산업의 발전 전망 / 여재천 2016  229
2014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IoT) 공통 플랫폼 구축에 따른 서비스 기반에 관한 연구 / 유홍택 2015  524
2013 9 보건의료 병원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ICT 조직기능 연관성(ICT Relatedness)에 기반한 상호작용과 지식공유 / 김찬영 2015  77
2012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2012  76
»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 케어산업 성장과 글로벌 보건 및 인력개발 / 최병목 2015  138
2010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기반 헬스케어 제품 및 서비스의 분석 및 제안 (1) / 이장미 2015  94
2009 9 보건의료 혁신친화형 바이오헬스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제언 / 배성윤 2016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