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률실무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87442 
존엄사 관련 법안에 대한 검토
= A Study on the Death with Dignity Bill

                                 

  • 저자명

    김종일(Kim, Jong-Il)                                           

  • 학술지명

    법률실무연구               

  • 권호사항

    Vol.4 No.1 [2016]                         

  • 발행처

    한국법이론실무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55-84(3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사람은 한번 태어나 반드시 죽는 것이 인류 보편의 원리이며, 가능하면 고통없이 편안하게 인간의 존엄을 유지한 채 죽음을 맞이하고 싶은 것이 공통된 소망일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를 ...
  • 사람은 한번 태어나 반드시 죽는 것이 인류 보편의 원리이며, 가능하면 고통없이 편안하게 인간의 존엄을 유지한 채 죽음을 맞이하고 싶은 것이 공통된 소망일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를 위하여 안락사나 존엄사의 방법으로 죽음을 선택하는 것이 인류 보편의 원리라고 할 수는 없다.
    지금까지 의료계와 학계는 그 가능성 여부를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져 왔으며 그 논의의 핵심은 환자의 자기결정에 따른 치료중단의 정당성 여부에 관한 것이었다. 인간은 살아가면서 많은 결정을 하지만, 생명 유지 장치를 중지하여 줌으로 해서 존엄한 죽음을 맞이할 것을 결정하는 것은 명백히 죽음에 직결되기 때문에 그렇게 간단한 것이 아니며, 생명을 그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매우 민감한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 존엄사에 관한 논의는 1997년 ‘보라매병원사건’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첫 존엄사 판결’이라 일컬어지는 일명 ‘세브란스 김씨할머니 사건’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여 존엄사에 대한 법제화의 노력이 이루어져 왔으며, 드디어 존엄사법안이라고 불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안”이 2016년 1월 8일 국회를 통과하였다. 이 법안은 공포 후 1년 6개월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18년부터 시행될 방침이다.
    본 논문은 존엄사의 의미, 2009년 이후 발의된 법안들의 추진 경과를 살펴보고, 2016년국회에서 통과된 ‘존엄사법안’에 대한 평가와 향후 방향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788 9 보건의료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112
1787 9 보건의료 약사법상 의약품 동정적 사용제도 / 강한철 2013  262
1786 9 보건의료 한국형 체외진단제품 품목 및 등급분류 체계 제안 / 임영애 2012  199
1785 9 보건의료 의약품 거래규제에 관한 일고찰 / 이종인, 이승신 2012  137
1784 9 보건의료 의료법 시행규칙상 원외탕전실 규정에 대한 법적고찰 / 김정선 2012  313
1783 9 보건의료 혈액제제의 투여로 인한 HIV 감염에 있어 인과관계의 증명책임 / 최민수 2012  133
1782 9 보건의료 의약품 정의와 재분류에 대한 법적 연구 / 2012  120
1781 9 보건의료 병원외래환자의 약국선택권 / 이용균 2011  98
1780 9 보건의료 LMO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 문상혁 2011  52
1779 12 낙태 출산정책과 낙태규제법의 이념과 현실 / 이인영 2010  145
1778 12 낙태 낙태규제에 있어서 형법의 효용성 / 정현미 2011  122
1777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46
1776 12 낙태 여성의 임신종결권리의 필요성과 그 함의 / 양현아 2006  124
1775 12 낙태 낙태 경험을 통해 본 '미혼' 여성의 섹슈얼리티(Sexuality)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최원영 2003  461
1774 12 낙태 낙태규율의 원칙과 방법 / 김진 2011  306
1773 12 낙태 낙태죄 관련 규정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송근화 2015  737
1772 10 성/젠더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이화진 2010  330
1771 12 낙태 대학생의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 / 박진영 2014  665
177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 장한철 2016  638
»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 관련 법안에 대한 검토 / 김종일 2016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