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32858 
신장 이식 환자의 자기 효능감, 대처 행동, 치료지시 이행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3532858

  • 저자

    이정란

  • 형태사항

    vi, 74 p. .

  • 일반주기

    지도교수: 박효정
    참고문헌: p. 48-5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과학과 2014. 8. 졸업

  • DDC

    600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4

초록 (Abstract)

  • 말기 신부전의 증가로 신장 이식은 증가 되고 있으며 ABO 혈액형 부적합 및 고령 환자의 이식, 이식 신장의 생존율 증가 등 이식과 관련된 환자의 특성은 변화되고 감염 관리 등 치료지시 이...
  • 말기 신부전의 증가로 신장 이식은 증가 되고 있으며 ABO 혈액형 부적합 및 고령 환자의 이식, 이식 신장의 생존율 증가 등 이식과 관련된 환자의 특성은 변화되고 감염 관리 등 치료지시 이행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장 이식 환자의 자기 효능감 및 대처 행동, 치료지시 이행을 살펴보고 이식과 관련된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신장 이식 환자의 특성에 따른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하는 일개 상급 종합병원에서 신장 이식을 받고 외래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2013년 10월 29일부터 2014년 1월 16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직접 기입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자기 효능감은 안재현(2000)이 신장 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도구를, 대처 행동은 The Jalowiec Coping Scale을 황영옥(2004)이 수정한 도구를, 치료지시 이행은 류정하, 김명희, 강인순(2003)이 신장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사후 검증은 Scheffe's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1
  • B. 연구의 목적 3
  • C. 용어 정의 4
  • II. 문헌 고찰 6
  • A. 신장 이식 6
  • B. 신장 이식과 자기 효능감 10
  • C. 신장 이식과 대처 행동 12
  • D. 신장이식과 치료지시 이행 14
  • III. 연구 방법 17
  • A. 연구 설계 17
  • B. 연구 대상 17
  • C. 연구 도구 18
  • D. 자료 수집 및 방법 20
  • E. 자료 분석 방법 20
  • F.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21
  • G. 연구의 제한점 22
  • IV. 연구 결과 및 논의 23
  •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3
  • B. 대상자의 이식과 관련된 특성 25
  • C. 대상자의 자기 효능감,대처 행동,치료지시 이행 27
  • D. 일반적 특성 및 이식과 관련된 특성에 따른 자기 효능감,대처행동, 치료지시 이행 35
  • E.자기 효능감,대처 행동,치료지시 이행간의 관계 41
  • V. 결론 및 제언 43
  • A. 결론 43
  • B. 제언 46
  • 참고문헌 48
  • 부록 56
  • Abstract 7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608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일부간호사의 태도 조사 / 권현주 2009  101
1607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 조사 연구 / 김태은 2004  174
160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교육 자료 개발 / 정윤중 2010  113
»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 이식 환자의 자기 효능감, 대처 행동, 치료지시 이행에 관한 연구 / 이정란 2014  233
1604 19 장기 조직 이식 길버트 증후군 기증자로부터 시행된 간우엽 생체 간이식에서의 기증자의 안정성 및 수혜자 간기능에 대한 연구 / 강우형 2016  684
1603 19 장기 조직 이식 비 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전경옥 2004  490
1602 14 재생산 기술 냉동 보존 기간에 따른 저장 제대혈의 생존능력 평가 / 이혜련 2013  183
160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희망자의 뇌사,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 / 서영심 2008  262
1600 14 재생산 기술 인간 복제의 생명윤리학적 고찰 / 신혜정 2002  5391
1599 2 생명윤리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의 생명 윤리 주제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고찰 / 김성자 2008  362
1598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에 대한 서론적 고찰 : 민법적 관점에서 / 김수흥 2008  439
1597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성찰 / 길성환 2003  400
1596 14 재생산 기술 고등학생의 생명 복제에 대한 지식과 태도 조사 / 유숙희 2006  235
1595 14 재생산 기술 한스 요나스의 인간복제 비판 연구 / 유석만 2007  759
1594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 자연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인간의 책임 / 박상웅 2006  440
1593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생명윤리학적 연구 / 이선희 2001  122
1592 14 재생산 기술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안'을 통해 본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논쟁 / 문기영 2005  160
1591 2 생명윤리 현행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내 생명윤리 관련 주제 분석과 고등학생들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 김현우 2001  1144
1590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 생명공학 정책의제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 김훈기 2002  139
1589 14 재생산 기술 헌법상 배아의 인간존엄성과 생명권에 관한 연구 / 김용범 2010  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