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341695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의 생명 윤리 주제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고찰


http://www.riss.kr/link?id=T11341695      

  • 저자

    김성자                                                                                                                                                           

  • 형태사항

    89 p. ; 26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현창기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동대학교 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2008. 2

  • 발행국

    경상북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8

  • 초록 (Abstract)

    • 21세기는 생명 공학의 시대로써 그 어느 때보다 생명과 생명체에 대한 관심과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생명 공학은 인류의 복지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고 앞으로도 인류가 안고 있는 여러 ...

    21세기는 생명 공학의 시대로써 그 어느 때보다 생명과 생명체에 대한 관심과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생명 공학은 인류의 복지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고 앞으로도 인류가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이다. 그러나 생명 공학은 연구 대상이 생명체이기 때문에 생명을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여기게 되고 생명을 경시하는 풍조가 조장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생명 공학의 발전과 더불어 발생되는 여러 가지 윤리적 쟁점들에 대해 올바른 이해와 인식의 정립이 필요하게 된다.
    생명 윤리적 쟁점들은 결국 사회의 가치관에 의해 결정되어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앞으로 21세기의 주역이 될 청소년이 올바른 세계관을 형성하고 바른 생명 윤리 의식을 함양하는 일은 무엇보다 필요한 일이다. 이를 위해서 학교 차원에서 적절한 생명윤리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차 = ⅵ
    • 국문초록 = ⅶ
    • Ⅰ.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2
    • 3. 연구의 문제 = 3
    • Ⅱ.이론적 배경 = 4
    • 1. 생명공학 생명윤리 = 4
    • (1) 생명공학과 생명윤리 = 4
    • (2) 생명윤리교육의 필요성 = 5
    • 2. 기독교 세계관과 생명윤리 = 7
    • (1)생명의 시점 = 7
    • (2)기독교 세계관과 생명 윤리 = 9
    • (3)기독교 세계관적 생명 윤리 기준 = 13
    • 3. 선행연구 고찰 = 15
    • Ⅲ.연구 방법 및 절차 = 17
    • 1. 연구 범위 = 17
    • 2. 연구 방법 및 절차 = 18
    • Ⅳ.연구결과 및 논의 = 19
    • 1. <주제 : 인공 수정>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고찰 = 19
    • 2. <주제 : 인간 배아 복제>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고찰 = 38
    • 3. <주제 : 유전자 조작 생물>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고찰 = 60
    • Ⅴ.결론 및 제언 = 83
    • 참고문헌 = 86
    • Abstract = 8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608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일부간호사의 태도 조사 / 권현주 2009  101
1607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 조사 연구 / 김태은 2004  174
160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교육 자료 개발 / 정윤중 2010  113
160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 이식 환자의 자기 효능감, 대처 행동, 치료지시 이행에 관한 연구 / 이정란 2014  233
1604 19 장기 조직 이식 길버트 증후군 기증자로부터 시행된 간우엽 생체 간이식에서의 기증자의 안정성 및 수혜자 간기능에 대한 연구 / 강우형 2016  684
1603 19 장기 조직 이식 비 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전경옥 2004  490
1602 14 재생산 기술 냉동 보존 기간에 따른 저장 제대혈의 생존능력 평가 / 이혜련 2013  183
160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희망자의 뇌사,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 / 서영심 2008  262
1600 14 재생산 기술 인간 복제의 생명윤리학적 고찰 / 신혜정 2002  5385
» 2 생명윤리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의 생명 윤리 주제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적 고찰 / 김성자 2008  362
1598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에 대한 서론적 고찰 : 민법적 관점에서 / 김수흥 2008  436
1597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성찰 / 길성환 2003  399
1596 14 재생산 기술 고등학생의 생명 복제에 대한 지식과 태도 조사 / 유숙희 2006  234
1595 14 재생산 기술 한스 요나스의 인간복제 비판 연구 / 유석만 2007  758
1594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 자연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인간의 책임 / 박상웅 2006  440
1593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생명윤리학적 연구 / 이선희 2001  122
1592 14 재생산 기술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안'을 통해 본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논쟁 / 문기영 2005  160
1591 2 생명윤리 현행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내 생명윤리 관련 주제 분석과 고등학생들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 김현우 2001  1143
1590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 생명공학 정책의제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 김훈기 2002  139
1589 14 재생산 기술 헌법상 배아의 인간존엄성과 생명권에 관한 연구 / 김용범 2010  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