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44592 
병원정보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Data Standardization Methods to Integrate Medical Information Systems

  • 저자

    임상남                                       

  • 형태사항

    x,105 p. ; : 채색삽화 ; 30 cm.

  • 일반주기

    단국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규철
    참고문헌 : 101-102장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 융합소프트웨어 디지털콘텐츠학과 2016. 2

  • DDC

    610.285 22

  • 발행국

    경기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 방법 및 구성 4
    • Ⅱ. 관련연구 5
    • 2.1 의료정보시스템의 개념 5
    • 2.2 병원정보시스템 6
    • 2.2.1 병원정보시스템의 의의 6
    • 2.2.2 병원정보시스템의 구축 목적 7
    • 2.2.3 병원정보시스템의 특징 7
    • 2.2.4 병원정보시스템의 범위 9
    • 2.2.5 병원정보시스템의 구성 10
    • 2.3 처방전달시스템 13
    • 2.4 전자의무기록 14
    • 2.4.1 전자의무기록의 개념 14
    • 2.4.2 전자의무기록의 발전단계 17
    • 2.4.3 전자의무기록의 기대효과 18
    • 2.4.4 전자의무기록의 조건과 기능 20
    • 2.4.5 전자의무기록과 전통적 의무기록의 비교 22
    • 2.4.6 전자의무기록 도입을 위한 준비사항 23
    • 2.5 의료정보의 표준화 25
    • 2.5.1 의료정보의 표준화 개념 25
    • 2.5.2 국내․외 의료정보 표준화 현황 28
    • 2.6 전자의무기록(EMR) 의료법 30
    • 2.7 보건의료정보시스템 현황 및 운영사례 31
    • 2.7.1 국내 현황 31
    • 2.7.2 국외 현황 32
    • Ⅲ. 국방의료정보체계 구축 운영실태 34
    • 3.1 국방의료정보체계의 소개 34
    • 3.1.1 시스템 구성 개념 34
    • 3.1.2 국방의료정보체계의 개념적 구조 34
    • 3.2 국방의료정보체계 도입 및 운영현황 36
    • 3.2.1 도입 현황 36
    • 3.2.2 병원별 시스템 구성 37
    • 3.3 운영상 문제점 및 개선사항 38
    • 3.3.1 시스템 운영 문제점 및 개선사항 38
    • 3.3.2 데이터 비표준화 문제점 및 개선사항 39
    • Ⅳ. 병원별 시스템 통합 및 데이터 표준화 절차 40
    • 4.1 시스템 통합 및 데이터 표준화 필요성 40
    • 4.1.1 시스템 통합 필요성 40
    • 4.1.2 시스템 통합 개념 40
    • 4.1.3 데이터 표준화 필요성 41
    • 4.1.4 데이터 표준화 개념 42
    • 4.2 시스템 통합 절차 43
    • 4.2.1 단계별 시스템 통합 43
    • 4.2.2 데이터 연계 방안 44
    • 4.2.3 통합 요소별 방안 45
    • 4.2.4 데이터 통합 45
    • 4.3 통합시스템 및 데이터 표준화 절차 47
    • 4.3.1 통합의료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표준화 47
    • 4.3.2 코드 표준화 48
    • 4.3.3 서식 표준화 49
    • Ⅴ. 병원별 시스템 통합 및 데이터 표준화 구현 50
    • 5.1 병원별 시스템 통합 50
    • 5.1.1 통합시스템 하드웨어 구성 50
    • 5.1.2 통합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성 51
    • 5.1.3 통합시스템 기능별 구성 51
    • 5.1.4 통합시스템 네트워크 구성 52
    • 5.2 병원정보시스템 테이터 표준화 통합 구현 52
    • 5.2.1 코드 표준화 원칙 및 고려사항 52
    • 5.2.2 표준코드 및 통합코드 관리체계 구성 53
    • 5.2.3 의료마스터코드 표준화 통합 구현 개요 54
    • 5.2.4 의료마스터코드 표준화 통합 구현 64
    • 5.3 병원정보시스템 통합 및 데이터 표준화 효과 91
    • 5.3.1 시스템 통합 효과 91
    • 5.3.2 데이터 표준화 통합 효과 94
    • Ⅵ. 결 론 95
    • Ⅶ. 향후 연구과제 98
    • 참고문헌 99
    • Abstract 1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168 1 윤리학 영국의 개인정보보호법 / 최경진 2009  174
2167 1 윤리학 2015년 일본개인정보보호법의 개정 - 개정된 주요 내용과 시사점 / 김은수 2016  638
2166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상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그리고 비식별화 :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 제2항 제4호의 평가 및 입법론적 논의 / 김후신 2015  578
2165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을 대비한 개인정보보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 / 김동례 2011  59
2164 1 윤리학 개인정보 보호법의 문제점과 실효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이인곤 2014  322
2163 1 윤리학 개인정보 유출을 통해 본 잊혀질 권리와 개인정보보호법의 개선방안 / 권혁빈 2014  136
2162 1 윤리학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안의 입법체계 검토 / 황태정 2009  49
2161 1 윤리학 빅 데이터 시대의 도래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법의 한계와 개선방향 / 김승한 2013  161
2160 1 윤리학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2011  121
2159 1 윤리학 환자에 대한 임의비급여 진료비용 청구의 예외적 허용 / 박현민 2016  99
2158 1 윤리학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직접 진찰’의 의미와 의료법상 원격의료 부분의 개정방향 - 대법원 2013. 4. 11. 선고 2010도1388 판결을 중심으로 / 전진하 2015  533
2157 1 윤리학 개인정보의 정의와 개인정보보호의 문제 -"개인정보"에 관한 헌법적 및 비교법적 분석을 중심으로 / 김민성 2015  459
2156 1 윤리학 "잊혀질 권리" 소고(小考) -대한민국 법제에서의 의의와 한계 / 임준형 2015  79
2155 1 윤리학 새로운 인터넷 기반 방송서비스 사업자의 등장과 저작권 침해 문제 - 미국의 에어리오 판결을 중심으로 / 정미경 2015  88
2154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 빅데이터의 민간활용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에 대한 연구 : 일반인 인식조사와 법제 개선방향 모색 / 손영주 2016  232
2153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지원시스템 모델 개발 / 장광수 2013  54
» 9 보건의료 병원정보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임상남 2016  381
2151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책 기반마련을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 이은환 2016  149
2150 9 보건의료 의료정보시스템 운영에서 생성되는 의료 빅데이터의 활용가치 / 최준영 2015  137
2149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정책 현황과 과제 / 강희정 2016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