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총(Dankook Law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67759 
의료분야에 있어 빅데이터의 활용 동향과 법적 제문제 - 일본의 논의를 참고로 -
= The utilization of the big data in the medical field and legal problems - Reference to Japanese discussion -

                       

  • 저자명

    김진영 ( Kim Jin-young ), 홍태석 ( Hong Tae-seok )                                               

  • 학술지명

    법학논총(Dankook Law Review)                           

  • 권호사항

    Vol.40 No.3 [2016]                                                         

  • 발행처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Institution of Law Dankook University)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39-365(2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미래사회를 예측하거나 향후 우리에게 닥칠 그 무언가를 미리 예상해 보는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며, 미래사회를 내다볼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이러한 원동력을 요즘 우리 사회에선 ‘빅...
  • 미래사회를 예측하거나 향후 우리에게 닥칠 그 무언가를 미리 예상해 보는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며, 미래사회를 내다볼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이러한 원동력을 요즘 우리 사회에선 ‘빅데이터(Big Data)`라 불리운다. 이러한 빅데이터는 우리의 여러 분야에서 산출되고 있는데 이러한 수치의 산출로 유의미한 지식을 만들고, 우리의 미래를 예측하여 대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특히 의료분야에 있어 이러한 빅데이터의 활용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 건강을 예측해 보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보건의료는 과거 단순한 치료중심에서 벗어나 예방이나 관리 중심으로 변동되고 있어 질병발생의 가능성을 예측한다거나, 개인 맞춤형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우리의 인구구성이 점점 고령화 되어 가는 지금 의료분야의 빅데이터는 국민의 건강을지키는 일 뿐만 아니라 국가의 안전과 행복을 지키는 중요한 자료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의 의료관련 빅데이터의 활용현상을 점검하여 보고 이에 따른 법적 제문제에 대하여 검토하여 보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2148 9 보건의료 클라우드 환경에서 의료 빅데이터 활용 및 전망 / 한정수 2014  146
2147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보호의 관점에서 바라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및 보완방안 / 임효준 2015  104
» 9 보건의료 의료분야에 있어 빅데이터의 활용 동향과 법적 제문제 - 일본의 논의를 참고로 / 김진영 2016  60
2145 9 보건의료 u-Health 환경을 위한 의료 검사 데이터 통합 전송 및 웹 서비스 구축 / 신현덕 2011  117
2144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체계 내에서 진료정보교류의 법제 / 배현아 2016  113
2143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의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김성수 2014  109
2142 19 장기 조직 이식 프랑스의 생명윤리법상 장기기증자의 추정동의에 관한 연구 / 이형석 2016  96
2141 22 동물복지 동물실험윤리의 과학적 접근 및 동물대체시험법 / 임경민 2017  382
2140 15 유전학 유전자변형생명체 안전관리의 제도적 보장 - 식용 GMO의 동물투여 독성시험 현황과 논란을 중심으로 / 김훈기 2016  116
2139 18 인체실험 선진 외국의 동물대체시험법 개발현황과 전망 / 이진구 2016  1497
2138 9 보건의료 시험 연구용 LMO 관리 프로그램 개발 /유병천 2016  94
2137 9 보건의료 체외진단용 제품의 의료기기 허가 관리에 대한 고찰 / 이원규 2015  142
2136 19 장기 조직 이식 Iran's Experience on Living and Brain-Dead Organ Donation: A Critical Review / Aramesh, Kiarash 2016  36
2135 19 장기 조직 이식 Death Determination in Pediatric Organ Donation / Shemie, Sam D. 2016  39
2134 19 장기 조직 이식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in Germany / Breidenbach, Thomas 2016  36
2133 19 장기 조직 이식 Saving Lives with Assisted Suicide and Euthanasia: Organ Donation After Assisted Dying / Shaw, David M. 2015  36
2132 19 장기 조직 이식 Preliminary Marked Increase in the National Organ Donation Rate in Israel Following Implementation of a New Organ Transplantation Law / Lavee, J. 2013  50
2131 15 유전학 23andMe signs Parkinson's gene deal with Genentech 2015  46
2130 15 유전학 23andMe: how to make (a lot of) money out of your customers / Jordan, Bertrand 2015  38
2129 15 유전학 23andMe,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Future of Genetic Testing / Zettler, P.J. 2014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