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硏究(LAW JOURNAL)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500691 
인간배아복제의 허용여부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 Legal Issues and Tasks on the Acception and Rejection of Human Embryo Cloning

   

http://www.riss.kr/link?id=A76500691    

  • 저자명

    김수갑(Kim Su-Kab)                                                              

  • 학술지명

    法學硏究(LAW JOURNAL)               

  • 권호사항

    Vol.20 No.1 [2009]                    

  • 발행처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LAW RESEARCH INSTITUT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33(33쪽)                                                                                    

  • 발행년도

    2009년

초록 (Abstract)

  • The development of life science technologies have created the potential for an entirely different set of legal issues. At the same time the public debate over embryos that has recently arisen in context of stem cell research has revealed deeply divide...
  • The development of life science technologies have created the potential for an entirely different set of legal issues. At the same time the public debate over embryos that has recently arisen in context of stem cell research has revealed deeply divided political, religious, ethical and policy differences. This article deals with legal issues on the acception and rejection of human embryo cloning and suggest the improvement plans of 'the Law on Bioethics and Biosafety' in Korea. This is the right approach for us to allow human embryo cloning under very strict conditions with the exceptional case in terms of a human dignity and embryo' right to life. Therefore the current policy which do not allow in principle and allow the exceptional case only should be maintained. With this approach, it’s required for u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research on adult stem cell which is less debatable.
  •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인간배아복제의 개념과 관련기술
    • III. 인간배아복제의 허용여부를 둘러싼 쟁점
    • IV. 우리나라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588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 임학빈 2005  425
    1587 14 재생산 기술 동물 권리론으로 본 동물 복제 / 김성한 2014  358
    1586 2 생명윤리 생명을 둘러싼 헌법적 문제 (상) / 김학성 2014  98
    1585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국내외의 입법의 규제동향 / 윤명석 2010  200
    1584 1 윤리학 불교에서 보는 생명의 탄생과 죽음의 문제/ 하유진 2009  258
    »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의 허용여부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 김수갑 2009  147
    1582 2 생명윤리 대학교육현장에서의 생명윤리교육 / 양재섭, 구미정 2009  100
    1581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관한 법규범력 확보와 그 한계 / 황만성 2011  49
    158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유형별 기증 희망등록의도 및 가족 동의획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차동필 2010  106
    1579 19 장기 조직 이식 형법에 있어서 죽음의 개념 / 이재석 1999  195
    157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찬반론에 대한 고찰 / 구인회 2003  1075
    1577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심장이식 현황 / 박국양 1999  285
    1576 19 장기 조직 이식 난자를 생명공학연구에 사용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엄영란 2004  181
    157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을 위한 신적출 후 기증자 신기능의 장기적인 변화 / 장혜경 2007  522
    1574 19 장기 조직 이식 설문조사를 통한 생체 신장 공여자의 기증 후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생활방식 / 남민경, 이두인, 권오정 2014  583
    157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복춘희 2004  365
    157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에 있어서 Cyclosporine 사용시 이식신의 생종율 및 신장기증의 변화 / 성건형 ,강경원 ,박찬현 ,강종명 ,박한철 1991  237
    1571 19 장기 조직 이식 생존간기증: 내과 의사의 견해 / 신동현 2016  1180
    1570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방안 / 조원현 2009  243
    1569 19 장기 조직 이식 새로운 미디어 공공 캠페인으로서 교육적-오락물의 설득 효과에 대한 탐구 / 이병관, 최명일 2008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