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대학원 : 과학기술정책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60703 

정부의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메르스 확산 사례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Risk Communication Strategy of Korean Government : The Case Study on MERS Epidemic



 
저자 이승아
형태사항 v, 97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 부록 수록
             지도교수: 김태윤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87-94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과학기술정책학과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주제어 과학.기술
소장기관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사회학자 Ulrich Beck은 현대 사회를 ‘위험 사회’라고 정의했다. 과거 자연재해로 인한 위험이 인류가 맞닥뜨릴 수 있는 가장 큰 위험이었다면,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하고 이를 둘러싼 환경이 급변해 인류에게 닥칠 수 있는 재앙의 종류는 다양해졌다. 이런 ‘현대식 위험’이 더욱 혼란스러운 이유는 불확실성이 높고 위험 요인이 많아서다. 불확실성이 높은 위험 상황을 내포한 현대사회에서는 국민이 입을 수 있는 피해 정도를 예측하기 어렵고, 위험의 잠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 시 그 파급력이 굉장히 크다.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 소재는 2015년 5월부터 한국 사회를 휩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 메르스)’ 확산 사태다. 메르스는 확산 속도가 빠르고 그 속도와 범위가 파괴적인 감염병이다. 메르스와 같은 신종 감염병은 바이러스를 통해 확산되는 병리학적 특성 상, 유사한 질병이어도 이전의 유행과는 파괴력이나 위험의 정도 등이 현저하게 다르다. 따라서 신종 감염병이라는 속성 자체가 진화하며 발생하는 현대 사회의 불확실성을 상징하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Petak(1985)은 이렇게 위험에 어떻게 대응하느냐를 다루는 관점은 위험 관리적 관점이라고 정의했다. 김형섭(2011)은 이를 위험 분석(risk analysis)의 과정이라고 정의했으며, 이 분석 과정에 위험 평가, 위험 관리, 위험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했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 관리의 요소 중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집중했다. 특히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여러 주체 중 관리당국의 커뮤니케이션에 중점을 두고, 기존의 이론 및 해외 유사 사례를 통해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틀을 재정의해 이를 통해 메르스 확산 사례에 있어서 관리 당국이 취한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분석 결과를 통해 국내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참고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연구의 목적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위험과 위험 커뮤니케이션
제1절 위험
1. 위험의 정의
2. 위험의 유형
제2절 위험 커뮤니케이션
1.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2.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목적 및 특성
제3절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실제
1. 해외 사례
1) 2003년 싱가포르 SARS
2) 2009년 영국 H1N1 판데믹
3) 2014년 미국 에볼라
2. 국내 사례
1) 2008년 광우병
2) 국내 위험 커뮤니케이션 매뉴얼

제3장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
제1절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전략
1. 이미지 회복 전략
2. 상황적 위험 커뮤니케이션 이론(SCCT)
제2절 실제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음미 : 제2장 3절을 중심으로
제3절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 분석의 틀의 재구성

제4장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 분석 : 메르스 사례를 중심으로
제1절 개요
제2절 분석 대상 및 방법
1. 분석대상
2. 분석방법
제3절 분석 결과

제5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연구의 요약
제2절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1308 9 보건의료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장경은 외 2016  167
1307 9 보건의료 메르스 확산에 따른 정부의 위기 대응 메시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 이미나 외 2016  179
1306 9 보건의료 미디어의 메르스 보도 프레임 비교 / 권신혜 2016  219
1305 9 보건의료 신종 감염병 대응에 대한 의료인의 윤리인식 : 메르스 대응을 중심으로 / 박혜자 2016  610
» 9 보건의료 정부의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메르스 확산 사례를 중심으로 / 이승아 2016  384
1303 9 보건의료 메르스와 지카바이러스의 대응을 바탕으로 해외유입 신종 감염병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 / 김자영 2016  487
1302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 유성이 2016  272
130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김수진 2016  609
1300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환자와 가족이 경험한 가정호스피스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형숙 2016  381
129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영적 고통 측정 간이 도구’의 구성 타당도 중심의 검증 / 윤석준 2016  434
129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가 말기암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주연 2016  183
1297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5
1296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DNR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태도 및 임종간호 수행 / 김미향 2016  1000
1295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129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의료 환경에서 수행되는 음악치료 현황과 관련 의료인의 인식 조사 연구 / 정지연 외 2016  321
129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 말기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김계숙 2016  483
129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봉사경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 - 질적 사례 연구 - / 심세화 2016  362
129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5
129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철학에서 에디트 슈타인 사상의 의미 연구 - 죽음과 죽어감 그리고 사랑과 비움의 영성을 중심으로 - / 이은영 2015  562
1289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남금희 외 2016  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