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江原法學(Kangwon law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016637 
사물인터넷(IoT) 헬스케어 서비스 법제도 개선 방향
= The Improvement Plans of Legal Framework and Regulations of IoT Healthcare Service

                               


  • 저자명

    주지홍(Joo Ji Hong)                                              

  • 학술지명

    江原法學(Kangwon law review)                           

  • 권호사항

    Vol.50 No.- [2017]                                                            

  • 발행처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801-837(3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학자들은 미래 사회를 급격하게 변화시킬 세 가지 요소로,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 생명공학을 들고 있다. 빅데이터는 필연적으로 데이터의 측정 및 수집, 전송, 관리, 분석이 필요한데, ...
  • 학자들은 미래 사회를 급격하게 변화시킬 세 가지 요소로,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 생명공학을 들고 있다. 빅데이터는 필연적으로 데이터의 측정 및 수집, 전송, 관리, 분석이 필요한데, 이 과정에서 사물에 설치한 센서가 측정한 데이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때 센서가 설치된 물건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전송 및 보관, 가공하는 것을 통틀어, IoT(Internet of Things, 事物인터넷 이하 IoT로 표기)라고 한다. 즉, IoT라 함은 ‘事物인터넷’ 또는 ‘萬物인터넷’으로 번역되는데, 모든 물건에 센서를 설치해서 이들 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시스코는 ‘사물인터넷’을 ‘사물헬스케어(Healthcare of Things)로 바꿔 부르면서 IoT시대를 여는 것은 헬스케어가 될 것이라 주장하였다. 왜냐하면 사물인터넷이 근시일내에 가장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분야가 헬스케어분야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헬스케어는 더 나은 의료 및 건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왜냐하면 과거 ICT가 발전되지 않았던 의료환경 하에서 의사와 환자간 1:1 면대면 진료를 전제로 의료법 및 관련 법규정이 만들어졌기 때문에, 현재의 발달된 기술에 적합하지 않아 새로운 서비스들이 불법으로 되어 허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생명과 신체의 안전성 보호를 위한 규제는 유지해야 하겠지만, 의료기술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통신기술 이하 ICT로 표기) 발전에 따라 맞지 않는 규제는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주목하여, ICT발전에 따라 변화되는 미래보건의료 상황에 장애가 되는 법제도 요소에 대해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의료분야에도 개념적 혁명을 맞이하는 시대에 대비하여 대략적인 전체적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ICT 발전에 따른 의료분야의 긍정적 변화
  • Ⅲ. 현황 및 문제점
  • Ⅳ. 개선방안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248 24 기타 PubMed를 중심으로 비교한 국내 의학데이터베이스의 실태조사 및 분석 연구 / 김현지, 남서진 2018  116
1247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이용과 형사법적 규제 / 최민영 2018  116
1246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정보 활용 서비스 현황 및 GDPR 사례를 통한 바이오정보보호 법제 개선방안 / 정부금 외 2018  116
1245 15 유전학 한국과 프랑스 생명과학교사들이 가지는 사람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전자 결정론적 인식의 차이/서혜애 외 2018  116
1244 1 윤리학 여성 보건의료인 대상 성희롱 실태 / 김규연 2018  116
1243 1 윤리학 고령화시대 정책과제와 정책 거버넌스 평가 / 최창용 2018  116
1242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을 위한 완화의료와 호스피스/최재필 2017  116
1241 13 인구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보라 2018  116
1240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자 및 임종을 앞둔 환자를 위한 존엄치료 / 김유숙 2017  116
1239 1 윤리학 의료인 성범죄 사건에 관한 판례 고찰 / 전병주 2017  116
1238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의 과실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 임미영 2012  116
1237 12 낙태 형법상 낙태죄 처벌규정의 위헌성에 대한 재조명 / 남정아, 이상경 2017  116
1236 9 보건의료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과 발전방향 / 김성천 2009  116
1235 9 보건의료 의료정보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방형 서비스플랫폼 구축방안 연구 / 이현직 2016  116
1234 14 재생산 기술 초급속 동결보존한 체외수정란 유래의 형질전환 마우스 생산효율성 검토 / 김현, 최창용, 성환후 2015  116
» 9 보건의료 사물인터넷(IoT) 헬스케어 서비스 법제도 개선 방향 / 주지홍 2017  116
1232 15 유전학 유전자변형생명체 안전관리의 제도적 보장 - 식용 GMO의 동물투여 독성시험 현황과 논란을 중심으로 / 김훈기 2016  116
123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가 지각한 임상연구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서비스 만족도 / 서미선, 박영임 2016  116
1230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핵심, 산업인터넷 / 김병운 2016  116
122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산업활성화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언 / 이종용, 조병선 2016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