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글로벌사회복지연구(Global Social Welfare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47189 
디지털 헬스 케어산업 성장과 글로벌 보건 및 인력개발
= Global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with Growth of Digital Health Care Industry

                                    

  • 저자명

    최병목 ( Byoung Mohk Choi ), 김태림 ( Tae Rim Kim )                                              

  • 학술지명

    글로벌사회복지연구(Global Social Welfare Review)                           

  • 권호사항

    Vol.5 No.2 [2015]                                                         

  • 발행처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95-120(2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초록 (Abstract)

  • 디지털 헬스케어는 헬스케어 산업과 ICT가 융합되어 개인 건강 및 질환을 관리하는 산업영역을 말한다. 디지털 헬스케어산업은 기존의 의료기기시장과 함께 헬스케어시장의 외연 확대를 촉...
  • 디지털 헬스케어는 헬스케어 산업과 ICT가 융합되어 개인 건강 및 질환을 관리하는 산업영역을 말한다. 디지털 헬스케어산업은 기존의 의료기기시장과 함께 헬스케어시장의 외연 확대를 촉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언제, 어디서나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의 제공이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네트워크 기술과 디지털 의료기기의 개발로 의료기관을 벗어난 곳에서 진단이 가능하다.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변화는 첫째,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게중요해짐. 둘째, 진단 및 치료 중심에서 사전진단 및 예방으로 패러다임 변화, 셋째, 일상생활에서의 건강관리 확대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Well-Aging을 선호하게 되었다. 그리고 헬스케어 가치사슬의 변화를 가져왔다. 즉, [사전진단→ 사전치료→ 진단→ 치료→ 사후관리→ 건강유지]로 바뀌고 있다. 아울러 의료분야에도 Big Data 시대가 열렸다. 의료데이터가 벤처투자를 통한 제품혁신이 연계되면서 “의료혁신”이 가능해 지고 있다. 게놈 서열분석, 모바일, 센서 기술과 분석 소프트웨어 등의 발전으로 이제 개인의 체질과 주위 환경 등에 관한 방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첫째, 헬스케어산업의 패러다임은 질병치료의 시대에서 건강수명의 시대로 전환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헬스케어와 ICT 기술융합의 활용성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의 니즈가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ICT 기술과 헬스케어 산업의 융합은 의료서비스의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서비스 과정의 단순화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헬스케어와 ICT 기술의 융합으로 digital health가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 기기, 웨어러블 컴퓨팅 기기들과 모바일 기기들이 헬스케어의 도구로서 활용되기 시작했다. 디지털 헬스는 이러한 도구들을 이용하여 개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서 맞춤형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졌다. 셋째, 주요 IT기업들은 디지털 헬스 케어 생태계를 주도하기 위해 개인건강정보(PHI) 프랫폼 구축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애플, 구글, 등은 의료기관, EHR 시스템과의 연계 및 의료서비스와의 접목, 개인 피트니스데이터 활용 등을 시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건강정보측정 디바이스 플랫폼 심밴드(SimBand)와 개인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 SAMI를 발표하였다. 넷째, 다섯째, 그러나 인체에 적용되는 제품의 특성상 의료기기의 규제가 적용될 경우 발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요구에 대처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 변화하는 산업환경에 맞는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568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역분화줄기세포의 유전체 수준 비교 / 백진아 외 2013  139
1567 15 유전학 산전 세포유전진단 시행에 있어서 유전상담의 효과 / 송찬호 외 1992  139
156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절차 및 재원조달을 중심으로 / 김효영 2008  139
1565 23 연구윤리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 제안 / 윤국원, 강선준 2018  138
1564 12 낙태 낙태에 관한 인터넷 포럼에서의 플레이밍 현상 / 이성범 2018  138
1563 5 과학 기술 사회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 정책 동향 및 시사점 / 최해옥 2017  138
1562 19 장기 조직 이식 대학생의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실천의지에 관한 조사연구 / 이선옥 2017  138
1561 22 동물복지 체세포 복제견의 임신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강배 2016  138
1560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조윤경 2017  138
1559 15 유전학 한국인에서 약년 성인형 파킨슨병 환자들의 임상 양상 및 유전자 분석 / 정은주 2007  138
1558 9 보건의료 현행 혈액관리법령의 쟁점 / 전현희 2003  138
»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 케어산업 성장과 글로벌 보건 및 인력개발 / 최병목 2015  138
1556 14 재생산 기술 자연임신 및 보조생식술에 의한 병합임신 2예 / 윤혜정 2011  138
1555 18 인체실험 황우석 파문과 관련한 텔레비전 뉴스의 프레임 연구 : KBS, MBC, SBS, YTN 메인뉴스를 중심으로 / 정홍무 2006  138
1554 18 인체실험 임상 적용을 위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 환경에 관한 연구 동향 / 정주원 외 2015  138
1553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규제개혁을 위한 핵심 덩어리 규제의 식별 / 김성준 외 2016  138
155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과 유보 결정에 대한 한국 중환자 전담의사 인식과 실행/김소윤 외 2009  138
1551 19 장기 조직 이식 Extracorporeal Support for Organ Donation after Cardiac Death Effectively Expands the Donor Pool 2005  138
1550 9 보건의료 국내 보건의료 빅데이터 법제의 구축에 관한 고찰 / 이서형 2018  137
1549 9 보건의료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이 의약품 약가에 미치는 영향 / 구하영 2019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