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656320 
안락사에 관한 형사책임과 입법적 고찰 = (A) Study on the Criminal Responsibility in Euthanasia

            

http://www.riss.kr/link?id=T10656320         

  • 저자

    최은희                                       

  • 형태사항

    74 p. ; 26 cm.

  • 일반주기

    참고문헌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충북대학교 법무대학원 : 형사법무 전공 2006. 8

  • KDC

    364.005 4

  • 발행국

    충청북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6

초록 (Abstract)

  • Euthanasia means comfortable death and fine death in itself. Considering economic aspect as to if it is rational to spend much expense likely to be meaningless despite principal's or assumed intention of the patients in brain-dead, vegetable, aging an...
  • Euthanasia means comfortable death and fine death in itself. Considering economic aspect as to if it is rational to spend much expense likely to be meaningless despite principal's or assumed intention of the patients in brain-dead, vegetable, aging and serious disease, and terminal state, implicit emotions of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anting no more bad relation, we are apt to hit upon euthanasia. It brings up a constituent informed and approved murder or penal murder criminal to all actions to advance natural death period in order to alleviate or remove the pain of the dying or incurable patient if the patient's principal sincerely requests it.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1. 연구의 범위 2
  • 2. 연구의 방법 3
  • 제2장 안락사에 관한 일반이론 4
  • 제1절 안락사의 의의와 역사적 전개과정 4
  • 1. 안락사의 의의 4
  • 2. 안락사의 연원과 전개과정 5
  • 가. 고대와 중세의 안락사 인식 6
  • 나. 근대와 현대의 안락사 인식 6
  • 제2절 안락사의 유형과 주요 논점 9
  • 1. 개념에 따른 구분 9
  • 가. 이론적 배경 9
  • 나. 안락사의 유형과 고려대상 11
  • 2. 주요 논점 16
  • 가. 존엄사와의 관계 17
  • 나. 환자의 자기결정권 21
  • 제3장 안락사에 관한 입법례와 판례 23
  • 제1절 외국의 입법례와 판례 23
  • 1. 미국 23
  • 가. 입법례 23
  • 나. 판례 24
  • 다. 검토 27
  • 2. 독일 27
  • 가. 입법례 27
  • 나. 판례 29
  • 다. 검토 32
  • 3. 일본 32
  • 가. 입법례 32
  • 나. 판례 33
  • 다. 검토 34
  • 4. 호주 35
  • 5. 네덜란드 35
  • 제2절. 우리나라 37
  • 1. 보라매병원 판결 37
  • 2. 검토 38
  • 제4장 안락사에 대한 형사책임상의 문제점과 입법론 41
  • 제1절 형사책임상의 문제점 41
  • 1. 의사의 형사책임 41
  • 가. 의사의 치료유지 의무 41
  • 나. 치료중단과 사망사이 관계 41
  • 다. 살인의 고의 42
  • 2. 가족 등의 형사책임 44
  • 가. 환자의 요청에 따른 치료 중단 44
  • 나. 환자가 의식불명인 경우 치료중단 45
  • 제2절 입법상의 문제점과 입법 방향 46
  • 1. 안락사의 형법상 정당화 논거 47
  • 가. 법적 정당화의 일반적 구조 47
  • 나. 법적 정당화 근거에 대한 견해 48
  • 2.안락사에 대한 형법적 취급 및 입장 50
  • 가. 적극적 안락사 50
  • 나. 소극적 안락사 52
  • 다. 간접적 안락사 54
  • 라. 의사조력자살 54
  • 제3절 안락사 입법화 방향과 문제점 57
  • 1. 안락사의 입법화를 추진하는 논거 57
  • 2. 안락사 입법화의 문제점 59
  • 가. 안락사 허용상황 판단상 어려움과 남용의 우려 60
  • 나. 환자의 진정한 의사 파악의 곤란 62
  • 다. 생명 경시 풍조 조장의 우려 63
  • 3. 안락사 입법화에 대한 과제와 전망 64
  • 제5장 결론 67
  • 참고문헌 7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908 1 윤리학 구조행위자에 대한 지원방안으로서 선한 사마리아인법 / 김병수 2017  152
2907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 장기이식 거버넌스의 변화 / 유정모 2018  152
2906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에서 통증 외 증상의 관리: 최신 NCCN(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eork) 권고안을 중심으로 / 이혜란 2013  152
2905 23 연구윤리 국내 의학·수의학 학술지에 실린 영어논문의 연구출판윤리 / 구영모 2016  152
290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팀의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결정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한수연 2019  152
2903 2 생명윤리 2014년 미국 생명윤리와 인문학 학회 컨퍼런스 참관기 / 김수정 2015  153
2902 1 윤리학 존재론적 생명윤리에 관한 연구 : 니콜라이 하르트만을 中心으로 / 김윤정 2005  153
2901 9 보건의료 의료감정(鑑定)에 있어 포괄성에 대한 고찰/윤성철 2014  153
2900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이용,제공 실태 및 입법적 개선방안 / 김기범 2016  153
2899 5 과학 기술 사회 가상 로봇의 학습 행동이 인공 진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최상호 2005  153
2898 20 죽음과 죽어감 일명 ‘웰다잉법’(존엄사법)의 시행에 따른 형사정책적 과제 / 박미숙, 강태경, 김현철 2016  153
2897 5 과학 기술 사회 SNS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변화 비교 분석/윤유동 외 2016  153
289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의료자원분배 / 장운혁, 정창록 2017  153
2895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의 역량 중심 전공의 수련과정 개발 / 견영기 외 2018  153
2894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소고 / 엄주희 2018  153
289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관련 판례 분석 / 박송이 2018  153
289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인간다운 죽음은 실현될 수 있는가? /이은영 2018  153
2891 2 생명윤리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의 생명 윤리 교육 / 이인재 2008  153
2890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와의 관계 / 정지현 2019  153
2889 1 윤리학 노년의 삶과 정체성 / 권수현 2019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