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대학원 : 과학기술정책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60703 

정부의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메르스 확산 사례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Risk Communication Strategy of Korean Government : The Case Study on MERS Epidemic



 
저자 이승아
형태사항 v, 97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 부록 수록
             지도교수: 김태윤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87-94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과학기술정책학과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주제어 과학.기술
소장기관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사회학자 Ulrich Beck은 현대 사회를 ‘위험 사회’라고 정의했다. 과거 자연재해로 인한 위험이 인류가 맞닥뜨릴 수 있는 가장 큰 위험이었다면,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하고 이를 둘러싼 환경이 급변해 인류에게 닥칠 수 있는 재앙의 종류는 다양해졌다. 이런 ‘현대식 위험’이 더욱 혼란스러운 이유는 불확실성이 높고 위험 요인이 많아서다. 불확실성이 높은 위험 상황을 내포한 현대사회에서는 국민이 입을 수 있는 피해 정도를 예측하기 어렵고, 위험의 잠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 시 그 파급력이 굉장히 크다.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 소재는 2015년 5월부터 한국 사회를 휩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 메르스)’ 확산 사태다. 메르스는 확산 속도가 빠르고 그 속도와 범위가 파괴적인 감염병이다. 메르스와 같은 신종 감염병은 바이러스를 통해 확산되는 병리학적 특성 상, 유사한 질병이어도 이전의 유행과는 파괴력이나 위험의 정도 등이 현저하게 다르다. 따라서 신종 감염병이라는 속성 자체가 진화하며 발생하는 현대 사회의 불확실성을 상징하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Petak(1985)은 이렇게 위험에 어떻게 대응하느냐를 다루는 관점은 위험 관리적 관점이라고 정의했다. 김형섭(2011)은 이를 위험 분석(risk analysis)의 과정이라고 정의했으며, 이 분석 과정에 위험 평가, 위험 관리, 위험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했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 관리의 요소 중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집중했다. 특히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여러 주체 중 관리당국의 커뮤니케이션에 중점을 두고, 기존의 이론 및 해외 유사 사례를 통해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틀을 재정의해 이를 통해 메르스 확산 사례에 있어서 관리 당국이 취한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분석 결과를 통해 국내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참고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연구의 목적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위험과 위험 커뮤니케이션
제1절 위험
1. 위험의 정의
2. 위험의 유형
제2절 위험 커뮤니케이션
1.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2.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목적 및 특성
제3절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실제
1. 해외 사례
1) 2003년 싱가포르 SARS
2) 2009년 영국 H1N1 판데믹
3) 2014년 미국 에볼라
2. 국내 사례
1) 2008년 광우병
2) 국내 위험 커뮤니케이션 매뉴얼

제3장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
제1절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전략
1. 이미지 회복 전략
2. 상황적 위험 커뮤니케이션 이론(SCCT)
제2절 실제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음미 : 제2장 3절을 중심으로
제3절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 분석의 틀의 재구성

제4장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 분석 : 메르스 사례를 중심으로
제1절 개요
제2절 분석 대상 및 방법
1. 분석대상
2. 분석방법
제3절 분석 결과

제5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연구의 요약
제2절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268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대리모제도 : 그 입법론적 연구 / 박동진 2010  772
4267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한국과 일본의 간호사가 경험하는윤리적 딜레마와 대처유형의 비교연구 / 콘도 에미 2012  769
4266 12 낙태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본 낙태의 윤리적문제 고찰 / 류인자 2010  768
4265 2 생명윤리 ';4원칙주의 생명의료 윤리'와 칸트 도덕철학=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and Kant`s Moral Philosophy / 김종국 2016  767
426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심폐소생술 비 시행(DNR)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 일부종합병원 중심으로 / 전명희 2008  763
4263 12 낙태 독일과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낙태문제 / 메르베지벨렉 2018  759
4262 14 재생산 기술 한스 요나스의 인간복제 비판 연구 / 유석만 2007  759
4261 2 생명윤리 중등 교육 과정에서의 생명 존중 교육에 관한 연구 : 도덕·윤리 교과를 중심으로 / 장정훈 2002  759
4260 14 재생산 기술 헌법상 배아의 인간존엄성과 생명권에 관한 연구 / 김용범 2010  758
4259 5 과학 기술 사회 뇌졸중 환자의 엄지손가락 재활운동을 위한 직교형 엄지손가락 재활로봇 개발/김현민 외 2012  758
4258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강선미 2016  756
4257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후 1개월내 총빌리루빈 재상승 환자에서 Biliary Canalicular Transporter 유전자 mRNA 발현 / 최종영, 조세현, 윤승규, 양진모, 한준열, 안병민, 이영석, 이창돈, 차상복, 정규원, 선희식, 김소연, 김동구 2003  756
425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의사결정과정의 구체적 쟁점 / 이재경 2013  754
4255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일당정액수가제 시행에 따른 진료비와 진료행태의 변화 / 임문남 외 2019  753
4254 9 보건의료 의료에 있어서 미성년자의 자기결정권 / 김상찬 2011  752
425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연명의료중단 / 장병주 2017  751
4252 15 유전학 CRISPR-Cas9 사용이 제기하는 윤리적 질문들 / 전방욱 2016  747
4251 9 보건의료 "핀핀코로리(ぴんぴんころり)의 비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서의 생명정치와 노년의 자기윤리 / 김희경 2015  744
4250 2 생명윤리 생명권과 생명가치에 대한 연구 :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휘원 2010  743
4249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연구 / 안모원 2018  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