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대학원 : 의료법윤리학협동과정 의료윤리학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136283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에 대한 윤리적인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thical decision-making of the withdrawal of high-risk newborns


  • 저자 : 전효숙
  • 형태사항 : vi, 95 p. : 도표 ; 26 cm .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형철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료법윤리학협동과정 의료윤리학전공 2002. 2
  • KDC : 510.19 4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2
  • 주제어 :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 윤리적인 의사결정, 병원윤리위원회, high-risk newborn, withdrawal of the treatment, ethical decision making, the bioethics committee




초록 (Abstract)

  • 신생아에 관련된 의학기술과 치료방법의 발달은 다양한 윤리적, 법적 딜레마를 가져왔다. 그 중에서도 재태기간이 24주도 안 되는 초미숙아부터 심한 기형을 여러 개씩 동반한 채 태어나는 고위험 신생아들을 치료하는데 있어 치료를 시작해야 하는지 언제 중단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크다. 그들을 치료하는 과정이 길고 고통스러우며, 그 예후가 확실하지 않고 장애가 남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치료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치료적 의사결정에 있어서 실제 임상에서는 대부분 의사가 권유하는 대로 실시하거나 부모가 의사의 권유에 반하여 요구하는 경우는 부모의 의견을 따르는 것이 관행이었다. 그러나 최근 보라매병원 사건 의 영향이 더해져, 병원에서는 치료중단에 대해서 상당히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어 모든 환자들을 끝까지 치료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아기들은 물론 그들을 치료하고 있는 부모들과 의료진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위험 신생아 치료중단을 결정할 때 윤리적인 의사결정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의 자율성 원칙과 선행원칙에 의하여 그 정당성을 찾을 수 있다. 이는 구체적으로 아이의 최선의 이익기준, 무의미한 치료, 삶의 질,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라는 원칙들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고위험신생아 치료중단의 유형을 분류하여 위의 기준들을 가지고 정당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둘째, 본 논문에서는 분류된 유형과 4가지 원칙들을 토대로 고위험신생아 치료 중단을 결정하는데 있어 실제적으로 적용가능한 윤리적인 기준을 제시하였다.
    (1) 모든 가능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죽음이 불가피한 경우
    (2) 가능한 한 치료로 생명은 유지할 수 있으나 인간관계를 전혀 맺지 못하는 경우
    (3) 생명연장을 위한 고통(정신적, 육체적, 경제적)이 큰 경우
    (4) 고통이 수반된 치료에도 불구하고 생존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
    (5) 진행적이고 불가역적인 질환으로 아기와 가족의 삶의 질이 심하게 손상받을 경우
    셋째, 이러한 윤리적인 기준을 활용하고 결정하는 주체로서는 병원윤리위원회를 제시하고 있다. 병원윤리위원회의 집단의사결정 과정을 거치는 것이 당사자들의 법적 책임을 완화시켜주고 사회적으로 합리적이고 합당한 결정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줄 것이다. 병원윤리위원회가 이러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법적, 제도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고 새로운 조직 개편과 그에 따른 기능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오늘날 의료환경의 변화는 의료의 의무가 더 이상 생명을 유지하는 데에만 국한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생명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서 의료의 한계를 인정하고 보다 윤리적인 의사결정과정을 거쳐 치료중단을 고려해야만 한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548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10
    454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 / 김형숙 외 2014  2009
    4546 18 인체실험 Stem cell research policies around the world / Deepali Dhar and John Hsi-en Ho 2009  1997
    4545 9 보건의료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진장한 2016  1992
    4544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출산과 관련된 윤리적 법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김희수 2006  1986
    4543 9 보건의료 보건의료현장의 윤리적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 윤리 자문가를 중심으로 / 전효숙 2006  1958
    4542 19 장기 조직 이식 인공장기 이식과 개발에 관한 비판적 연구 / 박건일 2013  1884
    4541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 안상희 2016  1872
    4540 5 과학 기술 사회 AI(인공지능)과 IOT(사물인터넷)을 통한 Smart health Care Service 산업 활성화 방안 / 설민신 2016  1855
    4539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4
    4538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현희 2012  1755
    4537 22 동물복지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칸트의 입장 / 김학택 2018  1747
    453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섬망 발생 위험 요인 / 고혜진, 윤창호, 정승은, 김아솔, 김효민 2014  1716
    4535 10 성/젠더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양성평등교육 내용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 김혜진 2018  1713
    4534 19 장기 조직 이식 Tissue Procurement System in Japan: The Role of a Tissue Bank in Medical Center for Translational Research, Osaka University Hospital 2010  1697
    4533 5 과학 기술 사회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의 조건이란? -사이언스 픽션 영화에 재현된 복제인간의 정체성 문제 / 천현순 2018  1688
    4532 20 죽음과 죽어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정혜련 2007  1676
    4531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의 기대 역할에 기반 한 윤리 딜레마 해결 모형 / 안유정 2002  1675
    4530 4 보건의료 철학 생명(生命), 신체(身體), 정신(精神) / 정창록 2018  1644
    4529 12 낙태 낙태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의 제시 / 성중탁 2014  1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