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03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논총 Vol.69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256312 

뇌사판정과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 = The Ethical Problems on Defining Brain Death and Organ Transplantation




초록 ( Abstract )

  • 뇌사 판정과 장기이식과 연관된 사례들을 소개하면서, 뇌사판정과 연관된 윤리적 논점들을 검토하고, 장기이식을 위해서는 뇌사판정이 어떠한 조건들을 충족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고찰하...
  • 뇌사 판정과 장기이식과 연관된 사례들을 소개하면서, 뇌사판정과 연관된 윤리적 논점들을 검토하고, 장기이식을 위해서는 뇌사판정이 어떠한 조건들을 충족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심장과 폐의 기능을 근거로 호흡이 중단되고 맥박이 멈추게 되면 사망으로 판단하였다. 하지만 최근 첨단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뇌사가 심폐사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제시되었다. 뇌사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그어야 하는 현실적인 이유에서 제기되었다. 환자가 뇌사상태에 빠져 회복 불가능한 상태로 무의미한 생명 연명 치료를 지속하고 있는 경우에, 어느 시점에서는 치료를 중단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뇌사에서 심장정지까지 이르는 기간 동안 소용되는 막대한 치료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환자 보호자의 경제적 정신적 고통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뇌사는 뇌 기능의 상실 정도에 따라 전뇌사, 뇌간사, 대뇌사로 나뉜다. 전뇌사는 뇌 전체의 기능이 상실된 상태를 말하며, 뇌간사는 호흡, 순환, 대사기능과 체온조절 등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뇌간의 기능이 상실된 상태를 말하고, 대뇌사는 대뇌의 기능이 상실되었을 경우 사망으로 인정하자는 주장이다. 뇌사는 장기의식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수많은 사람들이 장기 이식을 기다리다가 죽어가는 현실을 직시한다면 심폐사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뇌사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뇌기능의 정지로 인하여 죽음이 머지않아 어차피 초래되는 것이라면 그 죽음을 예측하여 사망선고를 내리고, 그 사체의 장기를 적출하여 이식할 경우, 이식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뇌사자는 자신의 장기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불치병의 환자들에게 새로운 생명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자발적 동의에 의한 장기이식은 자기희생을 통해 사랑이나 자비와 같은 인류애의 보편적 가치를 실현하는 방편이 된다. 장기이식의 긍정적 측면은 첫째, 인간의 장기와 같이 가치있는 자원을 재활용한다는 것은 도덕적으로 정당하다는 것이다. 둘째, 장기의 기증자와 수혜자가 반드시 일방적으로 구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장기이식은 공동체 의식을 고양시키고, 사회의 연대감을 강화시키는 여건을 제공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따라서 자발적인 의사를 근거로 한 뇌사자의 장기제공은 새로운 건강과 행복을 되찾게 되는 불치병의 환자에게는 생명의 자발적인 희생을 대가로 주어진 존엄한 선물로 해석될 수 있다. 뇌사판정의 정확성과 합리성을 객관적으로 확립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전체 뇌 기능의 상실로 제안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인간 생명에 대한 경외심을 갖고 뇌사 판정에 신중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차 ( Index )

    한글 요약

    1. 들어가는 말 - 뇌사, 무엇이 문제인가?

    2. 뇌사의 종류

    3. 뇌사의 윤리적 문제

    4. 뇌사와 장기이식

    5. 장기이식을 위한 뇌사판정의 전제조건

    6. 나오는 말 - 생명 존엄의 가치 정립을 위하여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0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0
    10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에 관한 연구 / 이태관 2003  7224
    »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판정과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2  4167
    100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후 경과기간별 환자의 자가간호이행 / 배수정 2015  1363
    9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 합병증: 장기 추적 성적 / 구태연 2008  1287
    9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
    9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 김현숙 2007  1248
    9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서의 RNA간섭 치료법의 전망 / 김재영 2015  1225
    9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2008  910
    94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2007  905
    9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김상섭 2001  891
    9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진모 2007  786
    91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이식의 최신지견 / 윤익진 2016  778
    90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수여자에서 발생한 유방 병변의 영상 및 병리소견의 연관성 : 일반적인 섬유선종과 다른점 / 손은주 2001  776
    8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후 1개월내 총빌리루빈 재상승 환자에서 Biliary Canalicular Transporter 유전자 mRNA 발현 / 최종영, 조세현, 윤승규, 양진모, 한준열, 안병민, 이영석, 이창돈, 차상복, 정규원, 선희식, 김소연, 김동구 2003  756
    88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생체장기 기증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명희 2004  715
    8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윤리적 쟁점 / 조유향 2015  713
    8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2
    8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기효능증진과 운동훈련 프로그램 효과 / 안재현 2000  634
    8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후 발생되는 문제점과 대책 : 간이식후 간암의 재발에 대한 대책 / 김동구 2003  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