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7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논총 Vol.69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256312 

뇌사판정과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 = The Ethical Problems on Defining Brain Death and Organ Transplantation




초록 ( Abstract )

  • 뇌사 판정과 장기이식과 연관된 사례들을 소개하면서, 뇌사판정과 연관된 윤리적 논점들을 검토하고, 장기이식을 위해서는 뇌사판정이 어떠한 조건들을 충족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고찰하...
  • 뇌사 판정과 장기이식과 연관된 사례들을 소개하면서, 뇌사판정과 연관된 윤리적 논점들을 검토하고, 장기이식을 위해서는 뇌사판정이 어떠한 조건들을 충족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심장과 폐의 기능을 근거로 호흡이 중단되고 맥박이 멈추게 되면 사망으로 판단하였다. 하지만 최근 첨단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뇌사가 심폐사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제시되었다. 뇌사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그어야 하는 현실적인 이유에서 제기되었다. 환자가 뇌사상태에 빠져 회복 불가능한 상태로 무의미한 생명 연명 치료를 지속하고 있는 경우에, 어느 시점에서는 치료를 중단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뇌사에서 심장정지까지 이르는 기간 동안 소용되는 막대한 치료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환자 보호자의 경제적 정신적 고통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뇌사는 뇌 기능의 상실 정도에 따라 전뇌사, 뇌간사, 대뇌사로 나뉜다. 전뇌사는 뇌 전체의 기능이 상실된 상태를 말하며, 뇌간사는 호흡, 순환, 대사기능과 체온조절 등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뇌간의 기능이 상실된 상태를 말하고, 대뇌사는 대뇌의 기능이 상실되었을 경우 사망으로 인정하자는 주장이다. 뇌사는 장기의식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수많은 사람들이 장기 이식을 기다리다가 죽어가는 현실을 직시한다면 심폐사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뇌사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뇌기능의 정지로 인하여 죽음이 머지않아 어차피 초래되는 것이라면 그 죽음을 예측하여 사망선고를 내리고, 그 사체의 장기를 적출하여 이식할 경우, 이식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뇌사자는 자신의 장기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불치병의 환자들에게 새로운 생명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자발적 동의에 의한 장기이식은 자기희생을 통해 사랑이나 자비와 같은 인류애의 보편적 가치를 실현하는 방편이 된다. 장기이식의 긍정적 측면은 첫째, 인간의 장기와 같이 가치있는 자원을 재활용한다는 것은 도덕적으로 정당하다는 것이다. 둘째, 장기의 기증자와 수혜자가 반드시 일방적으로 구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장기이식은 공동체 의식을 고양시키고, 사회의 연대감을 강화시키는 여건을 제공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따라서 자발적인 의사를 근거로 한 뇌사자의 장기제공은 새로운 건강과 행복을 되찾게 되는 불치병의 환자에게는 생명의 자발적인 희생을 대가로 주어진 존엄한 선물로 해석될 수 있다. 뇌사판정의 정확성과 합리성을 객관적으로 확립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전체 뇌 기능의 상실로 제안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인간 생명에 대한 경외심을 갖고 뇌사 판정에 신중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차 ( Index )

    한글 요약

    1. 들어가는 말 - 뇌사, 무엇이 문제인가?

    2. 뇌사의 종류

    3. 뇌사의 윤리적 문제

    4. 뇌사와 장기이식

    5. 장기이식을 위한 뇌사판정의 전제조건

    6. 나오는 말 - 생명 존엄의 가치 정립을 위하여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18240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에 관한 연구 / 이태관

    발행년 2003 

    • 조회 수 723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판정과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발행년 2012 

    • 조회 수 417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 김현숙

    발행년 2007 

    • 조회 수 124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서의 RNA간섭 치료법의 전망 / 김재영

    발행년 2015 

    • 조회 수 1225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김상섭

    발행년 2001 

    • 조회 수 89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 / 김진모

    발행년 2007 

    • 조회 수 789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이식의 최신지견 / 윤익진

    발행년 2016 

    • 조회 수 78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ㆍ완화의료와 윤리적 쟁점 / 조유향

    발행년 2015 

    • 조회 수 731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생체장기 기증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명희

    발행년 2004 

    • 조회 수 715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이해 / 박희찬

    발행년 1998 

    • 조회 수 485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최행식, 송영민

    발행년 2011 

    • 조회 수 46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수혜자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윤혜진,김금순

    발행년 2013 

    • 조회 수 441

    19 장기 조직 이식 수술실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가 간호 윤리 가치에 미치는 영향 / 서형은

    발행년 2016 

    • 조회 수 421

    19 장기 조직 이식 사후(死後) 장기기증 : 증여와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 박정호

    발행년 2011 

    • 조회 수 420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 장기이식제도의 쟁점과 대안 / 김현철, 김휘원

    발행년 2013 

    • 조회 수 41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과 장기기증 문화에 대한 검토 / 정화성

    발행년 2013 

    • 조회 수 39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형사정책적 연구 / 윤영수

    발행년 2002 

    • 조회 수 38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의 윤리성에 대한 태도연구 : Q방법론적 접근 / 조민정

    발행년 1998 

    • 조회 수 387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병원 직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태도와 교육요구 / 김미림

    발행년 2016 

    • 조회 수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