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서울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159214 

현행 성폭력범죄 대책의 문제점과 보완방향


= The Countermeasures against Sexual Violence in South Korea – It’s Problems and Solutions –


  • 저자[authors] : 김태명(Kim, Taemyeo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 서울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 Vol.25No.4[2018]
  • 발행처[publisher]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 365-400
  • 언어[language] :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 2018
  • 주제어[descriptor] : 조두순 사건,성폭력범죄,전자발찌,신상정보공개,성폭력범죄대책,The Cho Doo-Soon Case,Sexual Violence,Electronic Ankle Bracelet,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Countermeasures against Sexual Violence


초록[abstracts]

[“미성년자 성폭행 형량을 올려주세요 종신형 원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와대 청원에 20만명이 훨씬 넘는 인원이 참여하는 등 성범죄자에 대한 선고형량이 낮으므로 성폭력범죄에 대한 양형기준을 대폭적으로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성폭력범죄가 사회적 문제로 등장한 이후 우리나라는 형법개정을 통해 법정형의 상한을 대폭적 확대하고 신상정보등록ㆍ공개ㆍ고지, 위치추적전자장치부착, 화학적 거세, 치료감호, 보호관찰 등 각종 성폭력범죄대책을 양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강력한 처벌에도 불구하고 성폭력범죄는 그다지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고, 특히 이중처벌, 과도한 인권침해 등의 논란에도 딛고 어렵사리 도립된 각종 보안처분은 그다지 효과를 펼쳐 보이지 않는다.    더 이상 형벌을 가중하기도 어렵도 새롭게 도입할만한 보안처분도 남아 있지 않은 이 상황에서, 우리는 그동안 도입ㆍ시행해 왔던 각종 성폭력범죄대책의 문제점을 점검ㆍ보완하는 방안을 찾지 않으면 안 된다. 성폭력범죄에 대한 형량을 현실에 맞게 조정하고, 현재 형선고시에 부과하도록 되어 있는 각종 보안처분은 형집행이 종료되거나 가석방되는 때에 별도로 부과하는 방향으로 개선하며, 보호관찰, 위치추적전자장치부착, 성충동약물치료 등 각종 보안처분을 실제 집행하고 있는 기관의 인력을 보강하여야 한다.    특히 현행 시스템대로라만 검찰과 법원은 형선고시에 신상정보공개ㆍ고지, 위치추적전자장치부착, 성충동약물치료 등의 처분을 함께 부과하면 족하고, 형집행기간 중에 제대로 치료와 개선이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형집행 종료 또는 가석방 후에 재범방지와 재사회화를 위해 실질적으로 어떠한 조치가 필요한지를 파악하여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가 없다. 성폭력범죄대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안처분을 선고ㆍ부과하는 시점을 형집행 종료 또는 가석방시로 변경해야 할 것이다.

In 2008 South Korea, a 58-year-old man, Doo-soon Cho brutally raped in a public bathroom an eight-year-old girl known by the alias Nayoung who lost 80 percent of her colon and genital organs. Cho was arrested and eventually sentenced to twelve years in prison with the order to the electronic ankle bracelet for 7 years and the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for 5 years.     Sexual violence against children and women has been serious problem in recent decades in South Korea. The chain of cases caught huge interest of mass media and people demanded the Korean government to take actions against sexual violence. Under the influence of public opinion korean government have taken a series of countermeasures, such as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use of electronic surveillance system(electronic ankle bracelet), and medical treatment for the pedophiles, and chemical castration for sex offenders.    But the effect of those measures has not taken notable effect until now. The assault rates are on the steady rise, and an updated data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hild sexual assault. And now, with only one year until Cho’s release, the prospect of the nationally despised criminals on the loose is resurfacing questions about sexual assault in South Korea.    Many people concerns about whether the electronic ankle bracelet and the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could prevent his recidivism and possible revenge upon Nayoung or her Family members. This paper will evaluate whether acts and measures for sexual violence is effective in practice and propose a reform plan to improve it’s effectiveness.]


목차

[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우리나라 성폭력범죄 대책의 현황과 문제점  Ⅲ. 성폭력범죄대책의 정비방향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72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의 중단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과 관련하여 / 석희태 2009  252
272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평가 중에 발생한 심장사 후 장기기증에 의한 신장이식: 단일기관 장기추적 결과 / 허나윤 외 2015  252
2726 1 윤리학 개인의료정보보호에 관한 법적 연구 / 박인경 2007  252
2725 9 보건의료 문재인정부 복지정책의 전망과 과제 - 한국 복지국가의 경로를 바꿀 것인가? - / 김연명 2018  251
2724 14 재생산 기술 산부인과 전문병원 내원환자의 난임 특성과 보조생식술 유형이 임신에 미치는 영향 / 김윤정 2016  251
2723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및 배아 이식 후 난관과 반대편 간질 부위에 동시에 생긴 복합성 자궁외 임신 1예 / 오예은 2009  251
272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적안녕 및 삶의 질과의 관계 / 박미영 2015  251
2721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장기와 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김주영 2003  251
2720 4 보건의료 철학 20세기 초 미국 의사들의 열대질병 연구와 상업적 후원 / 정세권 2015  251
2719 1 윤리학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하에서 디지털 포렌식 수사절차에 관한 연구 / 권양섭 2016  251
2718 8 환자 의사 관계 미검증 의료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정책학적 연구 / 채규현 2015  251
2717 15 유전학 CRISPR/Cas9 β-globin gene targeting in human haematopoietic stem cells 2016  251
2716 16 환경 나고야 의정서의 법적 쟁점과 우리나라 입장에 관한 제언/김명자, 손영현, 김혜영 2014  251
2715 9 보건의료 요양급여기준의 법적 성격과 요양급여기준을 벗어난 원외처방행위의 위법성 -대법원 2013. 3. 28. 선고 2009다78214 판결을 중심으로-/현두륜 2014  251
2714 18 인체실험 KAIRB의 IRB 평가분석을 통한 국내 피험자보호제도(HRPP) 개선방향 / 최병인 2012  251
271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 / 이경남, 이현주 2018  250
2712 19 장기 조직 이식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간이식 후 상담 및 교육 / 전경옥 2018  250
2711 9 보건의료 질병과 지역에 따른 소득분위별 의료이용 불평등도 추이 / 김윤주 2018  250
2710 14 재생산 기술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와 관련한 민사적 쟁점 -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신의칙에 근거한 알권리의 인정여부를 중심으로 - / 윤석찬 2018  250
» 5 과학 기술 사회 현행 성폭력범죄 대책의 문제점과 보완방향 / 김태명 2018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