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532858 
신장 이식 환자의 자기 효능감, 대처 행동, 치료지시 이행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13532858

  • 저자

    이정란

  • 형태사항

    vi, 74 p. .

  • 일반주기

    지도교수: 박효정
    참고문헌: p. 48-5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과학과 2014. 8. 졸업

  • DDC

    600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4

초록 (Abstract)

  • 말기 신부전의 증가로 신장 이식은 증가 되고 있으며 ABO 혈액형 부적합 및 고령 환자의 이식, 이식 신장의 생존율 증가 등 이식과 관련된 환자의 특성은 변화되고 감염 관리 등 치료지시 이...
  • 말기 신부전의 증가로 신장 이식은 증가 되고 있으며 ABO 혈액형 부적합 및 고령 환자의 이식, 이식 신장의 생존율 증가 등 이식과 관련된 환자의 특성은 변화되고 감염 관리 등 치료지시 이행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장 이식 환자의 자기 효능감 및 대처 행동, 치료지시 이행을 살펴보고 이식과 관련된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신장 이식 환자의 특성에 따른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하는 일개 상급 종합병원에서 신장 이식을 받고 외래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2013년 10월 29일부터 2014년 1월 16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직접 기입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자기 효능감은 안재현(2000)이 신장 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도구를, 대처 행동은 The Jalowiec Coping Scale을 황영옥(2004)이 수정한 도구를, 치료지시 이행은 류정하, 김명희, 강인순(2003)이 신장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사후 검증은 Scheffe's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1
  • B. 연구의 목적 3
  • C. 용어 정의 4
  • II. 문헌 고찰 6
  • A. 신장 이식 6
  • B. 신장 이식과 자기 효능감 10
  • C. 신장 이식과 대처 행동 12
  • D. 신장이식과 치료지시 이행 14
  • III. 연구 방법 17
  • A. 연구 설계 17
  • B. 연구 대상 17
  • C. 연구 도구 18
  • D. 자료 수집 및 방법 20
  • E. 자료 분석 방법 20
  • F.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21
  • G. 연구의 제한점 22
  • IV. 연구 결과 및 논의 23
  •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3
  • B. 대상자의 이식과 관련된 특성 25
  • C. 대상자의 자기 효능감,대처 행동,치료지시 이행 27
  • D. 일반적 특성 및 이식과 관련된 특성에 따른 자기 효능감,대처행동, 치료지시 이행 35
  • E.자기 효능감,대처 행동,치료지시 이행간의 관계 41
  • V. 결론 및 제언 43
  • A. 결론 43
  • B. 제언 46
  • 참고문헌 48
  • 부록 56
  • Abstract 7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8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 김옥현 2001  343
187 19 장기 조직 이식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 수술 후 출혈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김미형 2015  335
18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촉진을 위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전략 분석 / 이현선 2015  333
185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생체 신장 제공자의 수술 후 장기 추적 결과 / 이호균, 박종훈, 정상영, 최수진나 2012  333
184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임준석 2007  333
18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간이식 수술에서 이식간 재관류 후 급성 저체온기 동안의 심실부정맥의 심전도상 징후 변화 / 박수경 2015  329
18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의료법적 연구 / 이승희 2008  328
181 19 장기 조직 이식 부산시민의 장기기증의사에 관련된 요인 / 황병덕, 임복희, 정웅재 2011  328
180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대처행동 연구 : 스트레스, 대처행동, 삶의 질의 관계중심으로 / 황영옥 2004  324
17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직후부터 실시한 매일 운동프로그램이 근력과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권경혜 2013  323
17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이진아 2008  321
17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 예측모형 / 김은만 2004  317
176 19 장기 조직 이식 연구논문(硏究論文) : 장기이식에 관련한 법적,현실적 문제와 그 해결방안 2011  315
17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2005  306
174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간이식 받은 환자 351명의 장기 성적 : 서울대학교병원의 경험 2008  304
173 19 장기 조직 이식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에 등록한 시신기증인들의 사회적 특성 / 황선종, 이은영, 허영도, 허석열, 손현준 2012  303
172 19 장기 조직 이식 Long-term medical risks to the living kidney donor 2015  301
171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장기이식의 현황과 법률문제 / 문성제 2006  299
17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법상 장기기증자 지원 제도에 관한 고찰 / 김현철 2016  297
16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 전미경 2016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