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69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북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민사법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256155 

 

 

생명공학적 인공배아와 인체유래물의 민법상 지위

 

 = The Legal Status of the Artificial Embryo and the Human Material through the Biotechnological Process in Civil Law

 

 

저자 : 유지홍, 강태성
형태사항 : vi, 259 p. ; 26 cm
일반주기 : 지도교수: 강태성 , 참고문헌 수록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 (박사)-- 경북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민사법전공 2013. 8
DDC : 346.017 22
발행국 : 대구
언어 : 한국어
출판년 : 2013
주제어 : 생명공학, 인공배아, 인체유래물, 민법상 지위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원문신청 : lib@nibp.kr
 
 
 

-

  • 목 차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Ⅰ. 연구의 범위 3
  • Ⅱ. 연구의 방법 4
  • 제2장 생명공학의 발전과 생명윤리 5
  • 제1절 생명공학의 전개 5
  • Ⅰ. 생명과학의 발달 6
  • Ⅱ. 인간 유전자 연구의 발전 8
  • 1. 유전자 연구의 발전 8
  • 2. 유전자 재조합 8
  • 3. 인간유전체 연구사업(Human Genom Project, HGP) 11
  • 4. 포스트 게놈 12
  • 5. 유전자 치료 13
  • Ⅲ. 인공적 생식 15
  • 1. 자연 상태의 수정 17
  • 2. 인공수정(人工受精, artificial fertilization) 17
  • 3. 체외수정(體外受精, in vitro fertilization, IVF) 18
  • 4. 체외수정 후 발생한 위험성 19
  • Ⅳ. 생명복제기술의 발달 20
  • 1. 최초의 핵치환 복제 21
  • 2. 복제양 생성 21
  • 3. ‘유전자변형’ 복제와 ‘死後’ 복제 22
  • 4. 인간 복제의 시도 23
  • Ⅴ. 줄기세포연구의 진행 24
  • 1. 줄기세포의 개념 25
  • 2. 成體줄기세포(Adult Stem cell)의 활용 26
  • 3. 胚芽줄기세포(ES cell)의 발전과 사회적 논의 28
  • 4. 誘導萬能줄기세포(iPS cell)의 생성 29
  • 5. 줄기세포 연구 성과의 검토 31
  • 6. 황우석 줄기세포와 배아복제 32
  • Ⅵ. 生命의 定義에 대한 논의 33
  • 1. 생명공학의 입장 34
  • 2. 철학적 입장 34
  • 3. 종교적 입장 35
  • 4. 법의학적 입장 36
  • 5. 헌법재판소 결정 등에 나타난 입장 36
  • 6. 私見 37
  • 제2절 국제적 논의와 생명윤리법 39
  • Ⅰ. 생명윤리에 대한 국제적 입법상황 39
  • 1. 미국 39
  • 2. 영국 40
  • 3. 독일 42
  • 4. 프랑스 43
  • 5. 일본 44
  • Ⅱ.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검토 45
  • 1. 구체적 내용 46
  • 2. 생명윤리법의 개선방안 48
  • 제3장 체외 배아의 인격성 53
  • 제1절 인격성 검토의 필요성 53
  • 제2절 미출생 배아의 법적지위 56
  • Ⅰ. 수정란으로부터 배아줄기세포의 생성과정 56
  • Ⅱ. 배아의 인격성에 관한 사회적 논의 58
  • 1. 배아줄기세포 활용의 필요성 58
  • 2. 배아의 지위에 대한 입장 59
  • 3. 배아의 복제에 대한 논의 60
  • 4. 배아복제에 대한 철학적 입장 63
  • 5. 배아복제에 대한 공법적 입장 64
  • 6. 인격적 존엄성 검토 67
  • Ⅲ. 민법상 배아의 지위 69
  • 1. 문제의 제기 69
  • 2. 배아의 법적지위의 입장에 대한 분류 70
  • 3. 태아와 배아의 구별 74
  • 4. 배아로 인한 민사책임 문제 83
  • 제3절 복제자와 태아의 민법상 지위 92
  • Ⅰ. 인간복제에 대한 법적 규제 92
  • 1. 생명복제 기술의 전개 92
  • 2. 생명복제에 대한 허용여부 93
  • Ⅱ. 복제자의 친족관계 94
  • 1. 복제자의 親生子 推定 95
  • 2. 복제자의 母의 결정 97
  • 3. 복제자의 부양권과 상속권 98
  • 4. 복제자 친족관계에 대한 사회적 접근 98
  • Ⅲ. 태아의 권리능력에 대한 재검토 100
  • 1. 태아의 보호입법 100
  • 2. 출생의제에 대한 현행법의 적용범위 101
  • 3. 과학 발전 등에 따른 새로운 논의의 필요성 107
  • 4. 태아의 보호에 대한 재해석과 입법론 110
  • 제4장 인체유래물의 물건성 113
  • 제1절 인체유래물의 개념 114
  • Ⅰ. 용어와 범위 114
  • Ⅱ.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재검토 필요성 115
  • 제2절 인체유래물의 소유권 117
  • Ⅰ. 판결에 나타난 세포․조직 등의 물건성 117
  • 1. Moore v. Regents of University of California 117
  • 2. Cornelio v. Stamford Hospital 118
  • 3. 판례에 나타난 물건성에 대한 입장 119
  • Ⅱ. 물건성에 대한 전통적 견해 120
  • Ⅲ. 환경변화에 따른 새로운 이론 122
  • 1. 인격권과 인체소유권에 대한 재논의 122
  • 2. 소유권 인정여부에 대한 현실적 논거 125
  • 3. 새로운 접근에 대한 입장 127
  • Ⅳ. 개별 법률에 나타난 입장의 검토 131
  • 1.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131
  • 2. 「인체조직안전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133
  • 3. 「재대혈 관리 및 연구에 관한 법률」 135
  • 4. 「혈액관리법」 136
  • 5. 「시체해부 및 보존에 관한 법률」 138
  • 6. 개별 법률들의 공통된 특성 139
  • 7. 인체 유래물의 ‘무상기증’과 민법상 ‘증여’의 비교 140
  • Ⅴ. 물건성 인정의 타당성 검토 143
  • 제3절 인체유래물의 활용 145
  • Ⅰ. 인체유래물의 가공 145
  • 1. 수증자의 가공과 설명의무 147
  • 2. 가공된 유래물의 소유권 귀속 148
  • 3. ‘가공’ 법리 적용에 대한 검토 150
  • Ⅱ. 인체실험계약 152
  • 1. 실험의학의 필요성 153
  • 2. 국제규범의 전개 154
  • 3. 헬싱키 선언에서의 인체실험 156
  • 4. 정리 161
  • 제4절 인체유래물의 훼손과 인격권 침해 163
  • Ⅰ. 분리 보관 중인 ‘생식세포’ 훼손 사례 163
  • 1. 사건의 개요 163
  • 2. 독일 법원의 판단 164
  • 3. 독일 판례에 대한 평가 166
  • Ⅱ. 신체훼손과 인격권 침해 167
  • 1. 분리된 신체에 대한 평가 167
  • 2. 독일에서의 신체훼손과 인격권 침해 168
  • 3. 우리민법에서의 신체훼손과 인격권 침해 169
  • 4. 과학적 침해와 구제방안 171
  • 제5절 인체유래물의 법률관계에 대한 전망 174
  • 제5장 인체 유래물의 治療方法으로서의 보호 176
  • 제1절 생명과학의 발전에 따른 재검토 필요성 176
  • 제2절 인체 유래물과 ‘物件’의 발명 180
  • Ⅰ. 질병유전자 분석과 보호방안 180
  • Ⅱ. 인간 유전자의 ‘民法上 物件性’ 검토 182
  • Ⅲ. ‘화학물질 발명’과 ‘유전자 용도확인’의 본질 184
  • Ⅳ. ‘화학물질’과 ‘유전자’의 효력범위 188
  • Ⅴ. 정리 191
  • 제3절 치료방법에 대한 제도적 운용방안 195
  • Ⅰ. 치료방법 보호에 대한 논의 195
  • 1. 인체 유래물과 치료방법 특허 195
  • 2. 치료방법 특허성 부정의 논거 196
  • Ⅱ. 치료방법 특허성 인정에 대한 각국의 입장 197
  • 1. 미국 197
  • 2. 유럽 201
  • 3. 일본 203
  • 4. 우리나라 205
  • Ⅲ. 치료방법에 대한 기존 제도의 검토 206
  • 1. 특허성 부정의 타당성 재검토 206
  • 2. 기존입장에 대한 제도적 검토 208
  • 제4절 치료목적의 강제실시 217
  • Ⅰ. 의료분야와 강제실시권 217
  • Ⅱ. 의약품 강제실시의 비교법적 검토 218
  • 1. 국제적 배경 218
  • 2. 유럽에서의 강제실시권 220
  • 3. 미국에서의 강제실시권 221
  • Ⅲ. 국제적 갈등과 도하선언(Doha Declaration) 223
  • 1. 의약품을 둘러싼 국제적 갈등 223
  • 2. WTO 각료회의 도하특별선언문과 WTO 일반이사회 결정문 225
  • Ⅳ. 우리나라에서의 강제실시권 개정 227
  • Ⅴ. 치료방법에 대한 강제실시 활용전망 229
  • 제6장 결론 232
  • 참고문헌 241
  • 영문초록 25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69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가 전통지식보호에 미치는 영향과 그 대응책 -한의약에 관한 전통지식을 중심으로-/고광국 2013  4350
    368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와 치료에 대한 윤리적 문제 고찰 / 박태정 2006  4284
    367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윤리·법·사회 문제 해결방안 / 이수빈 2019  4174
    366 15 유전학 생명공학 시대의 유전자 조작 기술과 인간중심주의 비판 / 김광연 2016  3761
    365 15 유전학 GMO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4  2575
    364 15 유전학 갈락토스혈증의 신생아 선별검사 후 진단 알고리즘 / 손영배 2015  2515
    363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5
    362 15 유전학 [번역문] 유전자 형질변환 식품의 실험에 대한 철학적 견해 / Andrew Woodfield 2015  2313
    361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교정 및 유전자치료 / 김형범, 김희권 2015  2062
    360 15 유전학 형사절차상 유전자정보의 획득 및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정념 2009  1584
    » 15 유전학 생명공학적 인공배아와 인체유래물의 민법상 지위 / 유지홍, 강태성 2013  1321
    358 15 유전학 LMO의 최근 동향과 문제점/문상혁 2011  1238
    357 15 유전학 人體(인체)와 그 부분의 私法的(사법적) 地位(지위) -대법원 2008.11.20. 선고 2007다27670 판결 평석을 겸하여 / 성중모 2013  1167
    356 15 유전학 독일에서의 유전자정보 활용에 관한 입법 동향 및 최근의 논의 · 그 시사점 : 유전자정보 활용 대상범위의 측면에서 / 이정념 2014  1150
    355 15 유전학 형사법상 유전자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연구 / 김낙현 2013  1137
    354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2019  1118
    353 15 유전학 유전자편집기술에 관한 미국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 장인호 2019  1037
    352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에 관한 규제 현황과 미비점에 관한 고찰 / 백수진 2014  1034
    351 15 유전학 인간게놈연구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 김용성 2003  1022
    350 15 유전학 현대 키메라(Chimera)'의 학제적 접근을 위한 고찰 / 김인경, 장매희 2012  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