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26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352926 
보조생식술 규제 입법에 대한 각국의 현황과 그 영향
= The Effects of Legislation on the Regulation of ART: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a Registry and Reducing the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 저자명

    하정옥(Jung-Ok Ha)                                                

  • 학술지명

    생명윤리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9 No.3 [2016]                                                          

  •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03-131(29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이 논문은 체외수정 시술을 비롯한 보조생식술의 규제에 입법이 미치는 영향을 기록부의 확립과 이식 배아 수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그동안 국내에서 보조생식술 관련 입법 논의는 특...
  • 이 논문은 체외수정 시술을 비롯한 보조생식술의 규제에 입법이 미치는 영향을 기록부의 확립과 이식 배아 수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그동안 국내에서 보조생식술 관련 입법 논의는 특정 시술이나 기법의 허용 여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 었을 뿐 기록부나 이식 배아 수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된 바 없다. 기록부는 보조생식술의 기본 현황을 파악하는 출발점이며, 이식 배아 수는 보조생식술의 대표적인 부작용인 다태 임신과 출산을 제어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정책 개입 지점이다. 유럽과 북미의 여러 국가는 보조생식술의 시행과 함께 일찌감치 기록부를 확립하고 이식 배아 수를 줄이는 규제를 도입한 바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여러 국가는, 일본을 제외하고는, 기록부가 확립되어 있지 못하 고, 특히 한국과 대만은 세계 기록 수합에서 가장 많은 배아를 이식하는 국가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록부의 확립과 이식 배아 수의 감소는 입법으로 규제될 때 가장 확실한 효과를 가져왔다. 그리고 이것이 전문가 단체의 자율 규제및 보험 보장 확대와 연동될 때 시술을 시행하는 전문가들이나 당사자들의 동의 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한국의 보조생식술의 역사가 30년이 된 지금 보조생식술의 취약한 거버넌스를 보완하는 데 이러한 선례가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며
  • II. 기록부 확립에 미치는 입법의 효과
  • 1. 세계 각국의 상황
  • 2. 세계 기록 수합 및 비교 보고에서 아시아 국가의 상황
  • Ⅲ. 이식 배아 수 규제에 미치는 입법의 효과
  • 1. 다태아 임신 및 출생의 위험과 이식 배아 수 규제
  • 2. 이식 배아 수 변화에 미치는 입법 및 행정 규제의 영향
  • IV. 결론: 요약과 전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제도의 법적 문제 / 박동진

발행년 2005 

  • 조회 수 370

14 재생산 기술 동물 권리론으로 본 동물 복제 / 김성한

발행년 2014 

  • 조회 수 369

14 재생산 기술 난포의 크기와 난황의 첨가가 초자화동결소 미성숙난포란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 연승은

발행년 2001 

  • 조회 수 36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에 관한 연구 / 이봉림

발행년 2008 

  • 조회 수 360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발행년 2007 

  • 조회 수 355

14 재생산 기술 체외 수정 시술을 시행하는 여성에서 항인지질 항체가 체외 수정 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

발행년 2001 

  • 조회 수 353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발행년 2006 

  • 조회 수 350

14 재생산 기술 포유동물 초기배아의 체외성숙과 체외발달 및 이종간의 체외수정에 대한 연구 / 김영훈

발행년 2010 

  • 조회 수 350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소책자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동영상 교육의 효과 : 시험관아기 시술과정을 중심으로 / 서은희

발행년 2017 

  • 조회 수 345

14 재생산 기술 푸코로 읽는 영화 〈네버 렛 미 고〉의 휴머니즘/ 최영미, 조이운

발행년 2018 

  • 조회 수 344

14 재생산 기술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 이진규

발행년 2010 

  • 조회 수 33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대한 공적 규제 및 지원·감독 체계에 관한 연구 / 김은애

발행년 2014 

  • 조회 수 334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이영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327

14 재생산 기술 생명과학기술사회에서 여성의 생식권에 관한 연구 / 윤계형

발행년 2009 

  • 조회 수 324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발행년 2015 

  • 조회 수 324

14 재생산 기술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양인석

발행년 2013 

  • 조회 수 322

14 재생산 기술 인공임신을 통한 대리모계약의 유효론과 제반쟁점 / 윤석찬

발행년 2017 

  • 조회 수 320

14 재생산 기술 불임여성의 몸을 통해 본 재생산 기술의 정치학 : 시험관 아기 기술을 중심으로 / 박용운

발행년 2002 

  • 조회 수 319

14 재생산 기술 영아의 생명권을 위한 규범적 고찰 / 엄주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31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의 법적 문제점과 입법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나은지

발행년 2015 

  • 조회 수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