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낙태규율의 원칙과 방법 / 김진

12 낙태 조회 수 306 추천 수 0 2016.12.09 15:41:13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518904 
낙태규율의 원칙과 방법

                               

  • 기타서명

    (The) principle and method of regulating abortion

  • 저자

    김진                                       

  • 형태사항

    109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하태훈
    참고문헌: p. 104-1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2011.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1

초록 (Abstract)

  • There have been confusions and conflicts in principle and method of regulating abortion between pro-life and pro-choice. In order to find principle we need to inquire deeply into the sphere of theology, ontology and the theory of criminal law. Thro...
  • There have been confusions and conflicts in principle and method of regulating abortion between pro-life and pro-choice. In order to find principle we need to inquire deeply into the sphere of theology, ontology and the theory of criminal law. Through the inquiry I concluded that human being is a stratification structure which has biological life as substructure and cultural life as superstructure and that biological life is the presupposition of cultural life. From that conclusion we can draw the two principles of regulating abortion. The first, the life of pregnant woman is essentially superior to the life of the fetus because fetus has only biological life. The second, the life of the fetus is essentially superior to the self-determination right of pregnant woman because biological life is the presupposition of cultural life. Therefore all the abortion, except that which is needed to save the life of pregnant woman is illegal and immoral. But whether we use criminal law(command) or counsel to regulate abortion is another problem. In the current situation that abortion has become mass phenomenon we need a soft and more effective method than criminal law. That is the method of counsel. But if the method of counsel is to be effective, the aim of counsel must be the protection of the life of the fetus. The method of counsel regulates abortion through the conscience of pregnant woman and I think this is the more wise and effective way than the method of punishment through criminal law. There is a paradox between the principle and method of regulating abortion because even though abortion is illegal there is no punishment except the pain of conscience. But I believe that abortion can be regulated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inner motive of conscience than the outer motive of law and punishment because human being is autonomous.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Ⅰ. 연구의 목적 1
  • 1. ‘낙태’를 둘러싼 분쟁들 1
  • 2. 낙태규율의 원칙과 방법에서의 혼란 4
  • Ⅱ. 연구의 내용 5
  • 1. 낙태규율의 원칙 5
  • 2. 낙태규율의 방법 6
  • Ⅲ. 논문의 구성 6
  • 제2장 낙태규율에 대한 견해대립 8
  • Ⅰ.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8
  • 1. 가톨릭교회의 주장 8
  • 2. 역사적 고찰 9
  • 3. 직접낙태와 간접적 치료낙태 11
  • 4. 영혼주입설의 문제점 13
  • Ⅱ. 네 가지 견해대립 14
  • 1. “매우 보수적인” 견해 14
  • 2. “온건 보수적인” 견해 15
  • 3. “온건 자유주의적인” 견해 17
  • 4. “매우 자유주의적인” 견해 18
  • 5. 소결 20
  • Ⅲ. 비교법적 고찰 20
  • 1. 우리나라 헌법 20
  • 가. 태아의 생명권 20
  • 나. 임부의 자기결정권 21
  • 다. 헌법 제10조의 내재적 갈등 22
  • 2. 낙태에 관한 미국판례의 입장 22
  • 가. 로우판결(Roe v. Wade) 23
  • 나. 웹스터판결(Webster v. Reproductive Health Service) 24
  • 다. 케이시판결 (Planned Parenthood of Southeastern Pennsylvania v. Casey) 25
  • 라. 정리 및 비판 26
  • 3. 낙태에 대한 독일판례의 입장 28
  • 가. 독일연방헌법재판소 제1차 낙태판결 〔BVerfGE 39,1(1975. 3. 25)〕 28
  • (1) 사건개요 28
  • (2) 판결요지 29
  • (3) 평가 30
  • 나. 독일연방헌법재판소 제2차 낙태판결 〔BVerfGE 88, 203(1993. 5. 28)〕 31
  • (1) 사건개요 31
  • (2) 판결요지 31
  • (3) 평가 34
  • 다. 소결 36
  • 4. 독일연방헌법재판소와 미연방대법원의 판례 비교 36
  • 제3장 낙태규율의 원칙 38
  • Ⅰ. 신학적 관점에서 본 낙태규율의 원칙 38
  • 1. 서론 38
  • 2. 유일신과 창조자로서의 신 38
  • 3. 운명 대 자유 40
  • 가. 펠라기우스 논쟁 41
  • 나. 유아세례(infant baptism) 43
  • 다. 소결 43
  • 4. 고통의 문제 44
  • 5. 성도덕의 문제 45
  • 6. 신학적 관점에서 본 낙태규율의 원칙 47
  • 가. 신과 원칙 47
  • 나. 낙태규율의 원칙 48
  • Ⅱ. 존재론적 관점에서 본 낙태규율의 원칙 50
  • 1. 신학과 존재론 50
  • 2. 하르트만의 존재론 51
  • 가. 새로운 존재론 51
  • 나. 낙태 문제에의 적용 53
  • (1) 태아의 생명과 임부의 생명이 충돌하는 경우, 53
  • (2) 태아의 생명과 임부의 선택권이 충돌하는 경우 53
  • 다. 벨첼의 비판 55
  • 3. 유전학의 문제 56
  • 가. 인간존재에 대한 구조분석 56
  • 나. 낙태문제에의 적용 58
  • 4. 소결 59
  • Ⅲ. 형법이론의 관점에서 본 낙태규율의 원칙 61
  • 1. 낙태는 정당행위? 61
  • 가. 법령에 의한 행위 61
  • 나. 사형의 경우 61
  • 다. 전쟁의 경우 62
  • 라. 소결 63
  • 2. 긴급피난으로서의 낙태 64
  • 가. 긴급피난규정의 연혁 64
  • 나. 형법 제22조(긴급피난)의 해석론 64
  • 다. 정당화적 긴급피난으로서의 낙태 65
  • 라. 면책적 긴급피난으로서의 낙태 66
  • 3. 초법규적 면책사유로서 기대가능성 66
  • 가. 문제점 66
  • 나. 기대가능성의 의의 67
  • 다. 기대가능성과 초법규적 면책사유 67
  • 라. 독일형법 제219조(긴급 및 갈등상황에 처한 임부에 대한 상담) 68
  • 제4장 낙태규율의 방법 70
  • Ⅰ. 서론 70
  • Ⅱ. 낙태죄의 입법론 71
  • 1. 낙태와 살인의 한계 71
  • 가. 문제의 제기 71
  • 나. 태아가 사람이 되는 시점 72
  • 다. 생존가능성 시점 72
  • 라. 소결 73
  • 2. 낙태예비죄의 입법 73
  • 가. 연혁 73
  • 나. 태아성감별금지조항의 법적 성질 74
  • 다. 형사정책적 검토 74
  • 라. 태아성감별규제의 방법 75
  • Ⅲ. 모자보건법의 문제점 75
  • 1. 모자보건법의 개정내용 75
  • 2. 인공임신중절의 허용시기 76
  • 가. 대한산부인과학회의 입장 76
  • 나. 평등정신의 실현 77
  • 다. 생존가능성 시점의 문제점 77
  • 라. 평등대우의 상대성 78
  • 마. 현실적 부작용 78
  • 3. 모자보건법 제14조의 정당화사유 79
  • 가. 본인이나 배우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우생학적(優生學的) 또는 유전학적 정신장애나 신체질환이 있는 경우(제1호) 79
  • (1) 문제점 79
  • (2)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과의 관계 80
  • (3) 대법원판례 81
  • (4) 태아의 장애를 이유로 하는 낙태에 관한 입법의 필요성 82
  • 나. 본인이나 배우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전염성 질환이 있는 경우(제2호) 83
  • 다. 강간 또는 준강간(準强姦)에 의하여 임신된 경우(제3호) 84
  • 라. 법률상 혼인할 수 없는 혈족 또는 인척간에 임신된 경우 (제4호) 84
  • 마. 임신의 지속이 보건의학적 이유로 모체의 건강을 심각하게 해치고 있거나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제5호) 85
  • 4. ‘잠재적 부(父)’의 권리 85
  • 5. 모자보건법의 함정 86
  • 가. 확인의사와 시술의사의 미분리 86
  • 나. 처벌규정의 부재 87
  • 6. 2008년 보건복지부의 모자보건법 제14조 개정안 87
  • 가. 개정안의 주요내용 87
  • 나. 생존불가능성 사유의 신설 88
  • 다. 상담제도의 도입 88
  • Ⅳ. 낙태규율의 방법으로서의 상담 89
  • 1. 형벌과 상담 89
  • 2.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제2차 낙태판결 90
  • 3. 구성요건과 위법성의 관계 90
  • 가. 개관 90
  • 나. 비형법적 낙태규율의 세 가지 방법 92
  • 4. 법으로부터 자유로운 영역 92
  • 5. 낙태규율의 방법으로서의 상담(Beratung, counsel) 93
  • 가. 명령과 권고 93
  • 나. 상담의 목표 94
  • 다. 상담모델은 규율의 포기? 95
  • 라. 보호관찰제도의 활용 96
  • 제5장 요약 및 결론 97
  • Ⅰ. 요약 97
  • Ⅱ. 결론 98
  • 1. 상담모델의 도입과 상담목표 98
  • 2. 상담모델의 한계와 공동체의 회복 101
  • 【참 고 문 헌】 10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4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 법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윤진숙 2012  678
43 12 낙태 착상전유전자진단과 산전유전자진단에 대한 형법적 제재의 정당성 / 이석배 2012  487
42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53
41 12 낙태 손상을 가진 태아의 산전 진단과 낙태에 대한 장애학적 논의 / 이지수 2012  159
40 12 낙태 낙태에 대한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2  160
39 12 낙태 낙태에 관한 규정의 현황과 모자보건법의 합리적 개정방안 / 주호노 2012  228
38 12 낙태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 관점에서 본 임신 중절의 문제 / 이미경 2011  2781
37 12 낙태 한국사회 낙태담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 : 재생산권을 중심으로 / 홍지수 2011  680
» 12 낙태 낙태규율의 원칙과 방법 / 김진 2011  306
35 12 낙태 낙태규제에 있어서 형법의 효용성 / 정현미 2011  122
34 12 낙태 낙태와 관련된 민사적 제 문제 / 윤부찬 2011  113
33 12 낙태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장애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이강선 2011  376
32 12 낙태 상담을 통한 낙태 결정방식의 헌법적 검토 / 정철 2011  93
31 12 낙태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비판 : 낙태문제(Abortion)를 중심으로 / 차영도 2011  1315
30 12 낙태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 양현아 2010  514
29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연구 / 이유리 2010  613
28 12 낙태 낙태와 헌법상의 근본가치 /김종세 2010  209
27 12 낙태 출산정책과 낙태규제법의 이념과 현실 / 이인영 2010  145
26 12 낙태 독일과 한국에서의 낙태의 규범적 평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김학태 2010  322
25 12 낙태 유럽 각국의 낙태 접근과 여성건강 : 한국 낙태논쟁에 대한 함의 / 정진주 2010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