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대학원 : 과학기술정책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60703 

정부의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메르스 확산 사례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Risk Communication Strategy of Korean Government : The Case Study on MERS Epidemic



 
저자 이승아
형태사항 v, 97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 부록 수록
             지도교수: 김태윤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87-94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과학기술정책학과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주제어 과학.기술
소장기관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사회학자 Ulrich Beck은 현대 사회를 ‘위험 사회’라고 정의했다. 과거 자연재해로 인한 위험이 인류가 맞닥뜨릴 수 있는 가장 큰 위험이었다면,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하고 이를 둘러싼 환경이 급변해 인류에게 닥칠 수 있는 재앙의 종류는 다양해졌다. 이런 ‘현대식 위험’이 더욱 혼란스러운 이유는 불확실성이 높고 위험 요인이 많아서다. 불확실성이 높은 위험 상황을 내포한 현대사회에서는 국민이 입을 수 있는 피해 정도를 예측하기 어렵고, 위험의 잠재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 시 그 파급력이 굉장히 크다.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 소재는 2015년 5월부터 한국 사회를 휩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 메르스)’ 확산 사태다. 메르스는 확산 속도가 빠르고 그 속도와 범위가 파괴적인 감염병이다. 메르스와 같은 신종 감염병은 바이러스를 통해 확산되는 병리학적 특성 상, 유사한 질병이어도 이전의 유행과는 파괴력이나 위험의 정도 등이 현저하게 다르다. 따라서 신종 감염병이라는 속성 자체가 진화하며 발생하는 현대 사회의 불확실성을 상징하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Petak(1985)은 이렇게 위험에 어떻게 대응하느냐를 다루는 관점은 위험 관리적 관점이라고 정의했다. 김형섭(2011)은 이를 위험 분석(risk analysis)의 과정이라고 정의했으며, 이 분석 과정에 위험 평가, 위험 관리, 위험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했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 관리의 요소 중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집중했다. 특히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여러 주체 중 관리당국의 커뮤니케이션에 중점을 두고, 기존의 이론 및 해외 유사 사례를 통해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틀을 재정의해 이를 통해 메르스 확산 사례에 있어서 관리 당국이 취한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분석 결과를 통해 국내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참고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연구의 목적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위험과 위험 커뮤니케이션
제1절 위험
1. 위험의 정의
2. 위험의 유형
제2절 위험 커뮤니케이션
1.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2.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목적 및 특성
제3절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실제
1. 해외 사례
1) 2003년 싱가포르 SARS
2) 2009년 영국 H1N1 판데믹
3) 2014년 미국 에볼라
2. 국내 사례
1) 2008년 광우병
2) 국내 위험 커뮤니케이션 매뉴얼

제3장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
제1절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전략
1. 이미지 회복 전략
2. 상황적 위험 커뮤니케이션 이론(SCCT)
제2절 실제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음미 : 제2장 3절을 중심으로
제3절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 분석의 틀의 재구성

제4장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 분석 : 메르스 사례를 중심으로
제1절 개요
제2절 분석 대상 및 방법
1. 분석대상
2. 분석방법
제3절 분석 결과

제5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연구의 요약
제2절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09 9 보건의료 감염예방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WHO의 가이드라인 소개 / 김준영 2018  60
108 9 보건의료 충북지역 장애인 치과의료서비스 환경실태 및 개선방향 / 김선주 2018  60
107 9 보건의료 지능형 헬스케어 플랫폼 산업 및 국제 표준화 동향 / 김양중 2017  60
106 9 보건의료 의료수가결정과 변화에 대한 사이버네틱스 접근방법에 의한 연구 / 김주환 2010  59
105 9 보건의료 대사증후군기반 의료 빅데이터 표준화 시스템의 설계 / 김지언 2017  59
104 9 보건의료 일차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접근 방향 / 황나미 2013  59
103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우리나라 암환자 완화의료기관의 이용현황 / 신동욱 외 2010  59
102 9 보건의료 국내 재난 시 인명피해 대비 보건의료 교육 현황 / 유학인 외 2018  59
101 9 보건의료 불법의료기관 근절 대책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 연구 / 안덕선 외 2018  59
100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 구현을 위한 문제 중심의 시계열 EHR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 김종호 2017  58
99 9 보건의료 제네릭의 약품의 생물학적동등성 인정 현황과 정책과제 / 이의경 2004  58
98 9 보건의료 정밀의료실현을 위한 보건의료정보 보호모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배상호 외 2016  58
97 9 보건의료 재난적 의료비와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패널분석 / 김선제 외 2017  58
96 9 보건의료 윤리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 보건의료정책 변화의 고찰 / 이동현 외 2018  58
95 9 보건의료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정책이 의료비에 미친 영향: 본인부담금을 중심으로 / 김관옥 2017  57
94 9 보건의료 보건사업의 바람직한 방향/이무식 2018  57
93 9 보건의료 유방암 치료에 대한 한의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이남헌 외 2016  57
92 9 보건의료 미래의료와 환자안전 / 김소윤 2018  57
91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타 추진 방향의 몇 가지 문제들 / 변혜진 2017  57
90 9 보건의료 소아환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맞춤형 치료정보 제공 서비스 연구 / 양준모 채옥삼 2018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