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 상담복지학과 사회복지학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46850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저자 김동성
형태사항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임우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 상담복지학과 사회복지학전공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도서관


 
초록
우리나라의 저출산·고령화 추세로 인한 인구 감소문제로 최근 들어 출산장려정책 및 외국인 인력 유치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10년간 120조원을 투입하여 정부 차원에서 실시된 2차례의 저출산 대책은 많은 예산을 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책 시행 효과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대안이 될 수 있는 외국의 이민 인력 유치문제는 상대적으로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으나 단일민족에 대한 정서가 강한 우리나라의 특성상 그동안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외국 이민 인력 유치를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제반 법적, 사회적 환경이 외국인이 이주하여 정착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하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외국인 이민정책은 지원보다는 규제가 우선되는 방향으로 정책이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2015년 8월 현재 우리나라에 상주하고 있는 체류 외국인의 규모가 180만 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3.6%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에 제정, 시행된 『다문화가족지원법』에 의해 전체 체류 외국인의 17%인 30만명의 ‘다문화가족’만이 『다문화가족지원법』에 의한 정책적 지원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현행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정책적 지원을 받고 있는 다문화가족에 대한 법과 정책 내용을 검토해보고 추가적으로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의 적용을 받고 있는 체류 외국인 전체에 대한 현황 및 정책적 개선 방안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다문화가족에 관한 이론과 모형 검토, 외국의 다문화가족 정책 사례 검토,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현황, 법 및 정책 검토를 진행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에 대한 시사점 및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100여년 이상의 이민 역사를 가진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초기에는 사회 전반적인 개발 중심의 인력유입과 동화주의 위주의 이민 정책을 시행하다가 궁극적으로 다원주의적 다문화가족 정책을 통해 안정적인 사회발전과 사회적 통합을 이루어 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도 1990년대 말 이후 외국인 노동자와 결혼 이민자 급증에 따른 인력정책 위주의 초기 정책 단계에서 2000년대 이후에는 체류 외국인에 대한 사회통합정책으로의 전환을 이루어 나가고 있는 과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 정책을 효율화하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족 정책대상 확대, 민간단체 참여확대를 통한 안정적 예산 확보 및 지원채널 확대, 우리나라 국민들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 개선, 중·장기적이며 체계적인 이민정책의 수립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 이미 상주하고 있는 체류 외국인들에 대한 지원 확대 및 정책소외계층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는 사회통합차원의 다문화가족 정책 개선방안에 대한 새로운 논의의 기반이 구축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목차
제1장 서 론 ···································································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1. 연구의 범위 ··························································· 3
2. 연구의 방법 ··························································· 3
제2장 다문화가족에 관한 이론적 검토 ···································· 7
제1절 다문화가족 정의 및 다문화가족 정책 ··························· 7
1. 다문화가족 정의 ····················································· 7
2. 다문화가족 정책 ····················································· 8
3. 다문화가족정책 전개과정 ··········································· 10
제2절 다문화가족 이론과 정책모형 ······································ 11
1. 다문화가족 적응이론 ················································· 11
2. 다문화가족 정책모형 ················································· 13
제3절 선행연구 검토 ······················································· 15
제3장 외국의 다문화가족 정책 사례 ······································· 18
제1절 다민족 국가형(미국, 캐나다) 다문화가족 정책 ··················· 18
1. 미국의 다문화 가족 정책············································· 18
2. 캐나다의 다문화가족 정책 ··········································· 19
제2절 산업화 이주형(독일, 프랑스) 다문화가족 정책 ················· 21
1. 독일의 다문화가족 정책 ············································· 21
2. 프랑스의 다문화가족 정책 ·········································· 22
제3절 혼인 이주형(일본, 대만) 다문화가족 정책 ······················ 22
1. 일본의 다문화가족 정책 ············································· 23
2. 대만의 다문화가족 정책 ············································· 25
제4절 외국의 다문화가족 정책 시사점 ·································· 27
제4장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 ·································· 30
제1절 우리나라 다문화가족의 현황 ···································· 30
1.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현황 ········································· 30
2.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특징 및 문제점 ···························· 44
제2절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관련법과 지원정책 동향 ················· 48
1. 다문화가족 관련법 및 지원정책 ··································· 48
2. 다문화가족 관련 지원정책 동향 ··································· 55
제3절 우리나라 외국인 정책 현황 ······································· 66
1. 외국인 이민정책 ····················································· 66
2. 외국인 이민정책의 필요성 ········································· 67
3. 외국인 이민정책의 향후 전개 방향 ······························· 68
제4절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문제점 ······················· 69
제5장 연구의 함의 및 정책적 시사점 ····································· 72
제1절 연구결과 요약 ······················································ 72
제2절 연구의 함의 및 정책적 시사점 ··································· 74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 77
참고문헌 ······································································· 80
ABSTRACT ·································································· 83


주제어
다문화가족, 다문화 가족지원정책, 이민정책, 다문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1
4568 7 의료사회학 임상간호사의 동료 간 갈등극복 경험 / 배주영 2016  2379
4567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아기시술에 관한 생명윤리적 쟁점에 대한 연구 / 신미향 2013  2364
4566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5
4565 15 유전학 [번역문] 유전자 형질변환 식품의 실험에 대한 철학적 견해 / Andrew Woodfield 2015  2312
4564 13 인구 저출산 정책과 해결방안 연구 / 최문숙 2007  2286
4563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2016  2264
4562 2 생명윤리 사형제도의 윤리적 정당성 : 사형에 대한 응보론적 논증을 중심으로 / 이윤복 2018  2217
4561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과 간호 인적자원의 개발 / 김광점 외 2018  2210
4560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조직과 기능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김중호, 한성숙, 엄영란, 구인회, 서철, 홍석영 2004  2207
» 13 인구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동성 2016  2196
4558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산업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 비상업적 대리모의 법적 보호를 중심으로 / 권은지 2015  2165
4557 1 윤리학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최보희 2018  2149
4556 1 윤리학 도덕철학에서 왜 다시 덕이 문제인가 : 아리스토텔레스와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김지윤 2015  2125
4555 23 연구윤리 연구 윤리와 위반사례 예시 / 윤영훈 2018  2101
4554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088
4553 1 윤리학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장영수 2017  2065
4552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교정 및 유전자치료 / 김형범, 김희권 2015  2047
4551 5 과학 기술 사회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 김진형 2016  2039
4550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11
454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 / 김형숙 외 2014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