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사회보장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38993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에 관한 소고
= A Study of Medical Benefits Programs under the Rare Diseases Act

                                   

  • 저자명

    최호영(崔浩永)                                             

  • 학술지명

    사회보장법연구                           

  • 권호사항

    Vol.5 No.2 [2016]                                                           

  • 발행처               

    서울대학교 사회보장법연구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09-145(3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주)누리미디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희귀질환은 조기진단이 어렵고 적절한 치료방법과 치료의약품이 개발되지 아니한 질환이다. 희귀질환은 환자와 그 가족들에게 경제적·정신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한편으로 희귀질환의 경�...
  • 희귀질환은 조기진단이 어렵고 적절한 치료방법과 치료의약품이 개발되지 아니한 질환이다. 희귀질환은 환자와 그 가족들에게 경제적·정신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한편으로 희귀질환의 경우 낮은 수익성으로 인해 이에 대한 연구와 투자가 다른 질환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보건복지부에서 지원하는 희귀질환에 관한 의료비 지원 사업이 보건복지부의 지침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지원대상자의 선정기준이 지속적·안정적이지 못하다. 또한, 희귀질환을 전문적으로 진료하는 의료진과 의료기관이 부족하여 희귀난치성질환의 예방·치료 및 관리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희귀질환은 공공부문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한 영역일 수밖에 없다.
    「희귀질환관리법」이 지난 해 12.29. 법률 제13667호로 제정·공포되어 올해 12.30. 시행된다. 동법은 의료비 지원의 대상·기준 및 방법 등에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대통령령으로 위임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부조의 법률적합성의 원리를 통한 사회적 기본권 신장의 측면에서 급부행정이라 하더라도 법률에서 위임의 조건인 위임의 목적, 내용, 범위를 규정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한편으로, 희귀질환을 비롯하여 암, 치매 등 다른 질환의 검사, 치료, 재활 등에 있어서의 확대된 공공부조의 내용과 범위 등이 우리나라 의료보장의 근간인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안으로 포섭이 되어야 한다. 의료비 지원 등 사회보장과 관련한 정책조정이 다양한 방식의 것이 될 수 있으나, 최종적으로 대상자와 운영자 모두에게 편리한 방향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건강보험과 의료급여의 보장성을 강화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다. 더 나아가서는 ‘의료급여’로 통합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건강보장의 대상, 보장의 내용, 비용의 분담 측면에서의 건강에서 접근성을 보장함으로써 보편적 의료보장을 달성하고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희귀질환 현황
  • Ⅲ.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의 사회보장 법적 의의
  • Ⅳ.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3
628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이식형 의료기기의 패키징을 위한 완전 밀폐 방법에 관한 연구 2017  80
627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자 진단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 최진일 2014  80
626 19 장기 조직 이식 미성년 장기제공자의 법적 보호/송영민, 손계수 2017  80
625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템플릿 비트분할 분산 저장기법을 통한 생체인증 시스템 설계 / 홍윤기 2017  80
624 20 죽음과 죽어감 세션 3-3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화를 위한 선결과제 - 정부와 보험자의 역할 :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국민인식도 및 현황/최영순 2014  80
623 9 보건의료 지구화된 의료시장에서 연구자와 환자의 정체성 / 한광희 2019  79
622 9 보건의료 감염방지의무위반에 따른 민사상의 책임과 한계 : 독일의 판례와 증명책임완화규정을 중심으로 / 김기영 2018  79
621 9 보건의료 국내외 치매관리 동향과 시사점 / 박종연 외 2018  79
62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과 보험회사 종사자의 의료정보보호 인식도 및 실천도 분석 / 이효연 2019  79
61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존중의식, 공감, 회복탄력성과 생명의료윤리의식과의 관계 / 김은희 외 2018  79
618 5 과학 기술 사회 생체 인증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 /박희진, 이윤호 2018  79
617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의료인의 태도 / 남미영 외 1995  79
616 9 보건의료 인공지능로봇의료의 도덕형이상학적 모색: 의료적 전자인간의 책임가능성 / 정창록 2018  79
615 4 보건의료 철학 내과 의사가 알아야 할 법률 2017  79
614 9 보건의료 한의의료행위와 법적 문제 / 김형선 2018  79
613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 조혈모세포의 체외확장에 냉동보존이 미치는 영향 2002  79
612 18 인체실험 GLP 국제 상호인정을 위한 GLP 지침연구 / 김영옥 2006  79
611 1 윤리학 제도적 위험과 규범적 자율성 / 신동일 2017  79
» 9 보건의료 「희귀질환관리법」상 의료비 지원 사업에 관한 소고 / 최호영 2016  79
609 17 신경과학 정신건강 분야에서의 모바일 헬스(mobile health) / 장재순 2016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