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 신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251266 

안락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Considering a Christian Ethical Perspective on Euthanasia


  • 저자 : 장동춘
  • 형태사항 : 11, 91 p. ; 26cm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 신학과 2010. 8
  • 발행국 : 경기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0
  • 주제어 : 안락사, 죽음, 호스피스, 기독교윤리



초록 ( Abstract )

  • 세상의 창조부터 관계는 시작되었다. 관계는 모든 영역에서 관여한다. 생명의 시작도 하나님과의 관계가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 무엇이든 처음의 시작은 하나님만이 관계를 가진다. 하지...
  •   세상의 창조부터 관계는 시작되었다. 관계는 모든 영역에서 관여한다. 생명의 시작도 하나님과의 관계가 없이는 이루어질 수 없다. 무엇이든 처음의 시작은 하나님만이 관계를 가진다. 하지만 그 후로는 여러 형태의 관계가 복사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하나님과의 관계, 나와의 관계, 너와의 관계로 나뉘어 관계를 가진다. 삶이 그렇고 죽음도 그렇다. 하나님과의 관계 이외에 나와의 관계와 너와의 관계는 사람에 의해 형성되고 이루어가는 것이기에 불완전하다. 죽음에 대해서도 하나님과 죽음의 관계를 제외하고는 모든 죽음은 불완전하다. 하나님과의 관계에서의 죽음이 자연사이고 천수이다. 나와의 관계로의 죽음은 자살의 형태를 가지고, 너와의 관계에서의 죽음은 살인의 형태를 가진다.
      그럼 안락사는 어떤 관계의 죽음인가? 안락사는 자의적이냐? 비자의적이냐? 반자의적이냐? 능동적이냐? 수동적이냐? 직접적이냐? 간접적이냐?를 가지고 논리적으로 조합하여 구성하면 12가지로 형태를 나눌 수 있다. 그 12가지 중 어느 하나라도 하나님과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안락사의 형태는 찾을 수 없다.
      그렇다면 실제 일어날 수 없는 상황까지 고려한 논리적 접근으로의 안락사는 아무리 합리화 하더라도 자살이거나 살인뿐이다. 라는 결론을 어느 누구라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안락사와 관계된 그 어떠한 경우라도 자살과 살인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다.
      안락사 논쟁에서 가장 뜨거운 감자라 할 수 있는 것이 존엄사이다. 존엄사를 생각하는 이유는 모두가 고통에서의 해방이다. 당사자의 고통, 남은 가족의 경제적 고통에서의 해방이다. 희생과 구분되는 자살이 당사자가 겪고 있는 육체적 고통을 포함한 또 다른 고통에서의 탈출구로 선택된 죽음이 대부분이다.
      이렇듯 안락사는 어떠한 돌파구도 없는 윤리적 한계상황이다. 다행히도 성서는 안락사의 문제를 본질적인 관점에서 풀어나갈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성경이 죽음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사도 바울은 인간의 죽음을 끝이 아닌 ‘과정’으로 묘사하고 있다(고전 13:12). 바울에게 삶과 죽음은 나누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죽음은 단지 생명의 마감이 아니라, 진정한 생명으로 들어가는 관문인 것이다. 그러므로 죽음을 맹목적으로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인간에게 죽음은 단지 세상과의 관계의 끝일뿐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우리는 안락사 문제에 접근하기 전에 먼저 우리 안에서 깨어지고 왜곡된 생명의식부터 회복해야한다. 생명을 무가치하게 여기거나 자신의 소유물로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태도이다. 인간은 하나님으로부터 생명을 부여받아 지켜가야 하는 '생명의 청지기' 이다. 또 그 생명은 하나님에게 속한 것이기에 가치 있고 소중한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환자의 생명권과 자율성을 근거로 안락사를 인정하는 것은 기독교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
      현재 안락사를 법제화하여 죽음의 자유를 부여한다고 시도하지만 그것은 역으로 죽음에 구속시키는 것이 될 것이다. 안락사 자체의 입법화가 아니라 임종과 관련한 의료제도의 확립이 먼저 필요하다. 보라매 병원의 경우와 같이 회생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는 의료적인 문제라기보다는 사회보장제도와 복지제도의 문제로 접근해야 될 것이다. 회생가능성과 연명가능성 모두 희박한 환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대상이 되는 환자들이다.
      점차 심화되고 있는 안락사에 대한 논쟁중임에도 호스피스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하루라도 빨리 민관합동으로 호스피스를 제도화함과 동시에 공감대를 형성하여 호스피스 참여자를 양성해야 하고 그 일에 기독교가 적극적으로 앞장섬으로서 이제 완치 불가능한 말기상태의 환자는 적절한 시점에서 하나님의 섭리를 받아들이는 평화 속에서 ‘호스피스 완화의료’로 전환하여 전인적인 돌봄을 받으며 남은 시간을 충실하게 살 수 있어야 하고, 삶의 질 향상, 인간성 회복, 자연스러운 죽음 등의 혜택 속에서 세상과의 아름다운 이별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목차 ( Index )

     감사의 글

    국문초록

    제 1 장 서 론

    1. 문제제기 1

    2. 연구범위와 방법 2

    제 2 장 죽 음

    1. 죽음의 정의 5

    (1) 신학에서의 죽음의 정의 5

    (2) 임상의학에서의 죽음의 정의 7

    2. 동양종교의 죽음의 이해 11

    (1) 죽음을 바라보는 보편적 이해 11

    (2) 유교, 불교, 도교의 죽음의 이해 14

    3. 한국인의 죽음의 이해 16

    4. 안락사 문제와 죽음과의 관계성 19

    제 3 장 안 락 사

    1. 역사 속에 나타난 안락사 22

    2. 안락사의 정의 26

    (1) 안락사의 12가지 유형 27

    (2) 안락사와 자살의 구분 30

    (3) 형법에서의 안락사 구분 32

    3. 안락사의 유형별 사례 36

    (1) 적극적 안락사형 사례 36

    가. 미국 - 다니엔 사건, 케보르키안 사건

    나. 네델란드 - Brongersma 사건

    다. 독일 - Hackethal 교수 사건

    라. 일본 - 교토경북병원 사건

    (2) 소극적 안락사형 사례 39

    가. 미국 - 퀸란 사건, 크루잔 사건

    나. 한국 - 보라매병원 사건

    4. 상반된 의견의 대립 구도 42

    (1) 인간중심적 의견 42

    (2) 기독교 생명윤리적 의견 45

    5. 설문조사로 알아 본 한국인의 안락사에 대한 인식도 49

    (1) 일반인들의 인식도 49

    (2) 의과대생과 전공의들의 인식도 50

    제 4 장 안락사에 대한 이해와 반성

    1. 형법적 이해와 반성 51

    (1) 위법하다는 견해 51

    (2) 위법성이 조각된다는 견해 54

    2. 생명의료윤리학적 이해와 반성 59

    (1) 안락사와 연명치료 중단의 차이 60

    (2) 헬싱키 선언 - 안락사에 대한 결의 60

    3. 신, 구약의 안락사 62

    (1) 창세기와 기독교 생명이해 62

    (2) 아비멜렉과 사울의 죽음 해석 64

    (3) 욥기 2장 9∼10절에의 고통 이해 66

    (4) 노아사건으로 해석되는 안락사 이해 67

    4. 기독교 윤리적 입장 68

    (1) 창조-타락-구속적 세계관으로 비판 68

    (2) 기독교 생명윤리적 비판 72

    (3) 변증적 방법으로의 안락사 이해 75

    제 5 장 결 론 80

    ■ 참고문헌 85

    ■ ABSTRACT 8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2
    712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 한국인의 죽음에 관한 인식과 태도 / 김희경 2003  2497
    71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섬망 발생 위험 요인 / 고혜진, 윤창호, 정승은, 김아솔, 김효민 2014  1713
    710 20 죽음과 죽어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정혜련 2007  1642
    709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 윤리에 대한 종교적 대응 태도 연구 :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형창 2004  1612
    708 20 죽음과 죽어감 Safety and Efficacy of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Single Institute Experience / 박권오, 임형근, 홍지연, 송헌호 2014  1560
    707 20 죽음과 죽어감 적극적 안락사와 관련한 법적 논쟁 2007  1553
    706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 최은숙 2015  1529
    705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사회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및 연명의료계획서 적용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홍준표 2018  1502
    704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 정운경 2015  1467
    703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법의 시행을 둘러싼 제 문제 / 김민우 2019  1383
    702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2
    701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임종간호태도와의 관계 / 김경숙 2016  1354
    700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자기 결정에 대한 말기 암 환자, 가족 및 의료진의 태도 / 김은숙 2011  1334
    69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의 영향요인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안숙희 2015  1318
    »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장동춘 2010  1309
    69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허용한계 : 치료중단과 적극적 살해에 의한 안락사를 중심으로/이강민 2003  1301
    69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마약성 진통제 사용현황 및 사망 이후 미사용 잔여량 추정 : 국민건강보험공단자료를 근거로 / 하정은 2018  1249
    695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비실시(DNR)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암환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 강영순 2006  1241
    694 20 죽음과 죽어감 국가별 사전의료의향서 서식 분석 및 사전의료의향서 표준 서식 제안/이은영 외 2011  1232
    693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의 안락사 문제 / 김태경 2019  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