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2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63055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Well-Dying on Leisur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http://www.riss.kr/link?id=T13863055

저자  : 최은주

형태사항 :  vii, 93 p.: 삽도; 26 cm.

일반주기 :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곽한병
                참고문헌 : p.72-85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레저스포츠학과 2015. 8

발행국  : 서울

언어 : 한국어

출판년 : 2015

주제어 :  웰다잉(Well-dying), 죽음준비교육, 여가태도, 삶의 질




[ 초록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 하였다. 첫째,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여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
연구 문제의 결과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소재한 네 곳의 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한 100명과 비참여자 150명, 모두 250명을 선정하였다.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선행 연구된 죽음준비교육 내용을 참고하여 재구성하고 주2회, 회기 당 90분씩, 8회기에 걸쳐서 본 연구자의 교육으로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Beard와 Ragheb(1982)가 개발한 여가태도척도(LAS)를 사용하였고, 삶의 질 척도는 최성재(1986)에 의해 개발된 ‘노인생활만족도 척도‘를 신상식(2010)이 재구성하고 임송자(2012)가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등의 통계량,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여가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여가태도에 대해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가태도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에서는 여자보다 남자가 높게 나타나고, 정의적 영역에서는 남자보다 여자가 여가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영역에서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행동적 영역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여가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삶의 만족에 대해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과거차원만족도에서는 성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는데 남자보다 여자가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현재차원만족도에 대해서는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연령이 많을수록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미래차원만족도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전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남자보다 여자가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연령이 많을수록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죽음준비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여가태도에 대해 차이를 검증한 결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여가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여가태도의 하위영역으로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죽음준비교육에 참여 여부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의 하위 영역으로 살펴보면 과거차원만족도와 미래차원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여가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과거차원만족도, 현재차원만족도, 미래차원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요인 영역으로 살펴보면 과거차원만족도에 대한 여가태도의 영향력을 보면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하였고,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차원의 만족도에 대한 여가태도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하였고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차원의 만족도에 대한 여가태도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는 인지적 영역, 정서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하였고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남은 삶의 대부분이 여가시간인 노인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치료적 접근의 여가교육으로 삶의 연장선에서 죽음을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과거의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시켜 남은 인생을 설계함에 있어 여가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여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제안할 수 있다.



[목차]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 3

  • 제3절 연구의 가설 4

  • 제4절 용어의 정의 5

  • 제5절 연구의 제한점 6

  • 제2장 이론적 배경 7

  • 제1절 웰다잉(Well-dying) 7

  • 제2절 죽음준비교육 19

  • 제3절 여가태도 33

  • 제4절 삶의 질 36

  • 제5절 죽음준비교육과 여가태도 및 삶의 질과의 관계 39

  • 제3장 연구 방법 41

  • 제1절 연구대상 41

  • 제2절 조사도구 43

  • 제3절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44

  • 제4절 자료처리방법 50

  • 제4장 결과 51

  • 제1절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태도의 차이 51

  • 제2절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차이 55

  • 제3절 죽음준비 교육여부에 따른 여가태도의 차이 59

  • 제4절 죽음준비 교육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차이 60

  • 제5절 여가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61

  • 제5장 논의 63

  • 제6장 결론 및 제언 68

  • 제1절 결론 68

  • 제2절 제언 71

  • 참고문헌 72

  • 부 록 86

  • Abstract 9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2
    692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판례 평석 : 대법원 2009다17417 판결 및 헌법재판소 2008헌마385 결정을 중심으로 / 이희훈 2013  1223
    69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치료의 결정 / 박소연 2018  1191
    69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5
    689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 혹은 연명치료중단의 정당화 근거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4  1134
    688 20 죽음과 죽어감 김 할머니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의 논거 분석과 비판 / 최경석 2014  1129
    687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2016  1116
    686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윤리적 가치관 / 문정란 2013  1101
    685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함미영 외 2017  1078
    684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가족의 슬픔 적응 경험 : 지역사회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가족을 중심으로 / 두현정 2008  1054
    68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 가족의 전화상담을 통한 정보요구와 만족도 조사 / 권경은 2008  1017
    68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 류영신 2002  1014
    »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06
    68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DNR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태도 및 임종간호 수행 / 김미향 2016  1003
    679 20 죽음과 죽어감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요구 환아 가족 맞춤형 다감각환경 중재 프로그램" 개발 / 전주영 2018  986
    67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에서 혈장 내독소 농도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 이진아 외 4인 2014  977
    677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호스피스 병동에서 비타민 D 결핍 현황 및 관련인자 / 문경환 외 6인 2014  973
    676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좋은죽음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 / 권인혜 2018  971
    675 20 죽음과 죽어감 Do Not Resuscitate (DNR)와 Advance Directives (AD)에 대한 환자 보호자와 의료인의 인식 / 이선라, 신동수, 최용준 2014  968
    67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의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전.후 연명치료 비교 / 김현아 2014  959
    67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사, 간호사)의 인식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기법 / 이지애 2009  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