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208882 

IoT기술 현황과 홈 IoT기술 동향 분석을 통한 홈 IoT서비스 모델 제시

= A study on IoT Technology and New Home IoT Service Models

                                           

  • 저자

    김선구                                       

  • 형태사항

    81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임영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전남대학교 :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전자컴퓨터공학 2016. 8

  • DDC

    621.3

  • 발행국

    광주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초록 (Abstract)
    • (국문초록) 우리 사회는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초연결사회(Hyper Connected Society)로 진입하고 있다. 핸드폰은 물론이고, 집, 자동차, 시계, 카...
  • (국문초록) 우리 사회는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초연결사회(Hyper Connected Society)로 진입하고 있다. 핸드폰은 물론이고, 집, 자동차, 시계, 카메라 등 모든 사물에 통신기능을 추가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정보가전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IoT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기존의 단일 네트워크상에서 제한적으로 구현되던 홈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언제, 어디서든 사용자가 원하는 기기에 접근하고 제어 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홈 IoT 기술은 최근 주목 받고 있는 IoT 융합서비스 중에서 가장 으뜸인 분야이다. 기존의 홈네트워크 기술의 한계를 넘어서 IoT기능이 포함된 가전제품 및 가정설비가 스스로 정보를 생산해서 다른 사물 또는 사람과 연계되어 일정 수준의 자동화 결정을 하여 사용자의 주거 생활 서비스의 질을 높여주는 기술 및 서비스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IoT의 핵심기술, 동향과 전망 및 보안원칙, 서비스사례 및 나아가 홈 IoT의 기술동향과 시장동향을 살핀 후 홈 IoT 서비스를 제안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2 장 IoT의 정의 및 핵심기술 요소 3
  • 1. IoT 기술의 정의 3
  • 2. 글로벌 기업들이 생각하는 IoT 개념 4
  • 3. IoT 주요 기술 이슈 6
  • 4. IoT 핵심기술 요소 8
  • 가. 센싱 기술 8
  • 나.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10
  • 다. 플랫폼 기술 11
  • 라. 빅 데이터 처리 13
  • 제 3 장 보안원칙 및 기술 현황 15
  • 1. 보안원칙 15
  • 가. 정보 보호와 프라이버시 강화를 고려한 IoT 제품 16
  • 나. 안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 기술 적용 및 검증 17
  • 1) 시큐어 코딩 적용 17
  • 2) 소프트웨어 보안성 검증 19
  • 3) 시큐어 하드웨어 장치 활용 20
  • 4) 소프트웨어 보안 기술과 하드웨어 보안 기술 융합 20
  • 다. 안전한 초기 보안 설정 방안 제공 20
  • 라. 보안 프로토콜 준수 및 안전한 파라미터 설정 21
  • 마. IoT 제품·서비스의 취약점 보안패치 및 업데이트 지속 이행 22
  • 바. 안전한 운영·관리를 위한 정보 보호 및 프라이버시 관리체계 마련 23
  • 사. IoT 침해사고 대응체계 및 책임 추적성 확보 방안 마련 24
  • 2. IoT 기술 현황 24
  • 가. IoT 주요 연구 동향 25
  • 나. IoT 주요 키 플레이어 및 제품 동향 25
  • 제 4 장 IoT 서비스 사례 및 발전 방향 30
  • 1. IoT 서비스 사례 30
  • 가. 수면 케어 솔루션 30
  • 나. 바이 로봇 31
  • 다. 헬스케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 32
  • 라. 스마트 카 분야 33
  • 마. 스마트 홈 분야 33
  • 바. 유통 분야 34
  • 2. IoT 발전 방향 34
  • 제 5 장 홈 IoT의 기술 동향 및 시장 동향 37
  • 1. 홈 IoT 네트워크 기술 37
  • 2. 홈 정보가전 기술개요 40
  • 3. 연결성을 위한 홈 정보가전 IoT 구성 44
  • 4. 홈 IoT 시장 동향 45
  • 제 6 장 홈 IoT 서비스 및 서비스 모델 제시 53
  • 1. IoT 서비스 공급자 관점에서 바라본 IoT 시장 54
  • 2. IoT 진입장벽과 대응 전략 55
  • 3. IoT use cases 58
  • 4. IoT 협력과 eco-system 62
  • 5. 홈 IoT 서비스 모델 제시 64
  • 제 7 장 결 론 66
  • 참고문헌 6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829 9 보건의료 위험분담계약제도(risk sharing arrangements) 도입 전후 국내 고가 의약품 급여 접근성 비교 / 김정주 2017  777
828 9 보건의료 블록체인 의료의 법적 문제 / 손경한, 박도윤 2019  773
827 9 보건의료 의료에 있어서 미성년자의 자기결정권 / 김상찬 2011  751
826 9 보건의료 "핀핀코로리(ぴんぴんころり)의 비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서의 생명정치와 노년의 자기윤리 / 김희경 2015  744
825 9 보건의료 사물인터넷(IoT) 기반 헬스케어 스마트 시스템 연구 / 김준호 2016  720
824 9 보건의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 차지훈 2008  710
823 9 보건의료 2017년 보건의료정책 현황과 정책과제 / 김남순 외 2017  706
822 9 보건의료 병원내 인권침해 사례에 대한 법적 문제 / 김기영 2018  698
821 9 보건의료 좋은 죽음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모색 : 니체의 '운명애'와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 임지연 2016  694
820 9 보건의료 의료인의 의료기관 다중운영 금지 조항의 위헌성 - 의료법 제87조 제1항 제2호, 제33조 제8항을 중심으로 -/김선욱, 정혜승 2015  693
819 9 보건의료 2015년 메르스 사태의 사회의료학적 조명 / 김문조 2016  682
818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노인인권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 이연순 2015  670
817 9 보건의료 외래침입 병원체에 의한 작물 병 발생 및 분포 / 조원대 외 2005  659
816 9 보건의료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대응 경험 / 이나경 2016  649
815 9 보건의료 전염병의 경로 추적 및 예측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구현 / 김은경 외 2013  638
814 9 보건의료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의 국내 발생 및 실험실 감시 현황 / 지영미 2006  620
813 9 보건의료 신종 감염병 대응에 대한 의료인의 윤리인식 : 메르스 대응을 중심으로 / 박혜자 2016  610
812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 이후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변화 필요성 / 김윤 2015  603
811 9 보건의료 간호중재분류체계(NIC)에 근거한 내·외과계 간호단위의 간호중재 수행 및 건강보험수가 항목 분석 / 박옥엽 2005  593
810 9 보건의료 무엇이 과잉진료를 부추기는가?: 과잉진료의 원인 고찰과 대책 / 박석건 외 2016  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