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인제대학교 : 의학과 인문의학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391215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 A Proposal for Code of Ethics of Emergency Physicians Emergency Physicians


  • 저자 : 차지훈
  • 형태사항 : iv, 59 p. ; 26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강신익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인제대학교 : 의학과 인문의학 2008. 2
  • 발행국 : 경상남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8
  • 주제어 : 윤리, 응급의학, 윤리강령




초록 (Abstract)

목적: 응급의학과 의사는 늘 응급환자와 생명이 위중한 환자를 진료해야 하므로 다른 어떤 과보다도 높은 수준의 직업의식을 가지고 환자의 치료에 임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현재 그러한 직업의식을 대변해 줄 윤리강령이나 지침이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절하고 임상에 쓰일 수 있는 응급의료 윤리강령의 개발을 위해 본 논문을 시작하게 되었다.
방법: 문헌고찰 및 외국의 응급의료 윤리강령과 윤리 사례를 분석한 기술적 연구방식을 이용하였다.
결과: 응급의료 및 응급의학의 특징으로 의사의 빠른 판단 능력의 필요성, 의사-환자 관계의 다양성, 팀워크, 병원에 대한 대표성, 응급실 환자 전체에 대한 진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높은 근무 스트레스, 사회적 요구에의 부응 등이 검토되었다. 그리고 응급의료 윤리 규약 제정의 필요성으로 제안된 것으로 빈약한 응급의료 전달체계, 직업전문주의, 조직윤리의 대두, 병원 윤리위원회 기능의 미비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의 초안으로서 10개의 항목을 제시하였으며 여기에서는 대한의사협회의 윤리 강령의 내용에서 응급의료의 특수성을 가미하였고 외국의 응급의료 윤리 강령의 내용을 적절히 참조하였다. 응급의료의 특수성이 가미된 내용으로는 응급환자에 대한 민첩성, 신중성, 그리고 환자의 의사결정능력에 대한 고려, 응급의료와 관련된 모든 보건의료인과의 협조적 관계의 중요성 강조, 응급의료에서의 리더십, 응급의료 전달체계의 개선을 위한 노력, 의학적, 윤리적 오류를 범하는 동료 보건의료인에 대한 적절한 대처 등이다. 앞으로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 강령 및 지침의 개발을 위한 계속된 연구와 학회 차원에서의 체계적인 토의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응급의료 윤리강령을 제정하고 보급, 실천하는 것은 한국의 응급의료 수준을 높이고 응급의학과의 위상을 높이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결론: 여러 문헌 검토와 외국의 윤리강령의 사례 및 응급의료 윤리의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에 대한 초안을 제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829 9 보건의료 위험분담계약제도(risk sharing arrangements) 도입 전후 국내 고가 의약품 급여 접근성 비교 / 김정주 2017  777
828 9 보건의료 블록체인 의료의 법적 문제 / 손경한, 박도윤 2019  773
827 9 보건의료 의료에 있어서 미성년자의 자기결정권 / 김상찬 2011  751
826 9 보건의료 "핀핀코로리(ぴんぴんころり)의 비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서의 생명정치와 노년의 자기윤리 / 김희경 2015  744
825 9 보건의료 사물인터넷(IoT) 기반 헬스케어 스마트 시스템 연구 / 김준호 2016  720
» 9 보건의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 차지훈 2008  710
823 9 보건의료 2017년 보건의료정책 현황과 정책과제 / 김남순 외 2017  706
822 9 보건의료 병원내 인권침해 사례에 대한 법적 문제 / 김기영 2018  698
821 9 보건의료 좋은 죽음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모색 : 니체의 '운명애'와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 임지연 2016  694
820 9 보건의료 의료인의 의료기관 다중운영 금지 조항의 위헌성 - 의료법 제87조 제1항 제2호, 제33조 제8항을 중심으로 -/김선욱, 정혜승 2015  693
819 9 보건의료 2015년 메르스 사태의 사회의료학적 조명 / 김문조 2016  682
818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노인인권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 이연순 2015  670
817 9 보건의료 외래침입 병원체에 의한 작물 병 발생 및 분포 / 조원대 외 2005  659
816 9 보건의료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대응 경험 / 이나경 2016  649
815 9 보건의료 전염병의 경로 추적 및 예측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구현 / 김은경 외 2013  638
814 9 보건의료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의 국내 발생 및 실험실 감시 현황 / 지영미 2006  620
813 9 보건의료 신종 감염병 대응에 대한 의료인의 윤리인식 : 메르스 대응을 중심으로 / 박혜자 2016  610
812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 이후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의 변화 필요성 / 김윤 2015  603
811 9 보건의료 간호중재분류체계(NIC)에 근거한 내·외과계 간호단위의 간호중재 수행 및 건강보험수가 항목 분석 / 박옥엽 2005  593
810 9 보건의료 무엇이 과잉진료를 부추기는가?: 과잉진료의 원인 고찰과 대책 / 박석건 외 2016  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