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저스티스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37047 
인공지능과 법률 서비스:현황과 과제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egal Service in Korea:Status Quo and Challenges

  • 저자[authors] 전정현,김병필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저스티스

  • 권호사항[Volume/Issue] Vol.-No.170-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법학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18-25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n the legal service sector is rapidly expanding. International law firms and accounting firms have already begun to adopt the AI technology for automation. Innovative small law firms and “Legal-Tech” startups have also emerged and are passionately attempting to disrupt the existing legal market. There are several fields for the application of legal AI technology. For example, in litigation, AI technology is being adopted for e-discovery and legal research. Also for transactions, the automation of due diligence and contract review is being carried out. For regulatory matters, there is a vigorous discussion surrounding the so-called “Reg-Tech”.  In contrast to such rapid development worldwide, the application of AI technology in Korean legal market seems left behind. This paper proposes some ideas to stimulate the development of legal AI technology in Korea. First, big data for legal AI such as judgments and contracts need to be made available to researchers. Without suitable training dataset, AI technology cannot be improved. Second, there should to be a standard research project to attract many AI researchers in the computer science discipline. In the past decade, the standard research project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but there is no such project in legal AI field yet. Some examples of standard research projects can be (i) AI predicting the outcomes of court cases, (ii) AI generating a draft mediation statement. An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between AI researchers and legal professions is urgently needed.


국문 초록[abstracts]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하여 법률 서비스 관련 인공기능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국제적인 대형 법무법인, 회계법인들은 이미 업무 자동화를 위하여 인공기술 기술을 적용하고 있고, 혁신적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중소형 로펌과 리걸테크(Legal Tech) 스타트업도 다수 생겨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 분야도 넓어지고 있는데, 송무에 있어서는 디스커버리와 판례 검색 등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거래 자문에 있어서는 실사(due diligence)나 계약서 검토 자동화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규제 분야에 있어서도 이른바 레그테크(Reg Tech)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이러한 국제적 추세와 비교하여 볼 때, 국내 법률 관련 인공지능 기술은 현저히 뒤쳐져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 하에서 국내 법률 서비스 관련 인공지능 기술 발전을 추동하기 위한 원동력을 마련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우선 판결문과 계약서 등 법률 서비스 관련 빅데이터 확보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적절한 학습용 데이터가 없이는 사례 기반 인공지능이나 심층 학습 기술의 발달은 불가능하다. 다음으로, 컴퓨터 공학 연구자들이 손쉽게 시도할 수 있는 ‘표준적 연구 과제’의 선정 및 지원이 필요하다. 최근 10년 동안의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다수의 컴퓨터 공학 연구자들이 경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표준적 연구 과제’가 핵심적 역할을 수행해 왔다는 점이 확인된다. 그럼에도 현재 법률 서비스 분야에 있어서는 컴퓨터 공학 연구자들이 도전할만한 좋은 표준적 연구 과제가 마련되어 있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법률 분야 인공지능 기술 발전을 위한 표준적 과제로서 (1) 판결문 예측 인공지능, (2) 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안을 예측‧생성하는 인공지능 개발을 예시적으로 제시한다. 그 이외에도 어떠한 표준적 연구 과제가 가능할 것인지에 관하여 인공지능 연구자들과 법률 전문가들의 학제 간 협력과 논의가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56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이 알아야 할 웰다잉 / 정현채 2010  46
4567 9 보건의료 규제에 대한 법경제학적 고찰 : 보건의료정보 보호와 이용의 정책방향 모색 / 정종구 2015  46
4566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 진료에 관한 연구 / 최윤선 외 1995  46
4565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받는 여성의 우울과 극복력 관계 : 신체증상 매개효과 중심으로 / 김혜영 2018  46
4564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 성인의 호스피스 인식과 사전의료 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의 상관성 / 박경란 외 2018  46
4563 9 보건의료 Promoting Justice and Autonomy in Public Policies to Reduce the Health Consequences of Obesity 2015  47
4562 15 유전학 유전자 정보과 그 정보의 공공적 운용 / 박인회 2009  47
4561 15 유전학 게놈 프로젝트의 SF적 모티프 / 듀나 2001  47
4560 15 유전학 정밀의료에서 개인정보보호 방안 : 미국ㆍEUㆍ일본과의 비교법제도 분석을 중심으로 / 장세균 2017  47
4559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호의 현황과 향후 개선방안 / 황지환 2017  47
4558 21 생물학 의학 국제적 관점 의료관광 분쟁시 책임주체에 대한 검토 / 문상혁 2016  47
4557 9 보건의료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건강보험 혁신 방향 / 신영석 2017  47
4556 18 인체실험 암 환자의 임상시험 참여 의향과 연관된 요인: 탐색형 서술적 문헌고찰 / 김건형 외 2016  47
4555 5 과학 기술 사회 유전자 선별 시대에 분배정의의 실현을 위한 선교적 과제 - 기독교평등공동체 구현을 위한 선교를 중심으로 / 김광연 2017  47
4554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를 둔 어머니의 경험 / 이명선 외 2001  47
4553 9 보건의료 인공지능기술 융합 및 협력패턴에 관한 연구 / 배영임 외 2016  47
4552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 생명 말기에 경험하는 고통과 삶에 대한 태도 - 연명의료결정법과 관련하여 / 최진일 2018  47
4551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의과대학생의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태도 / 오승민 외 2008  47
4550 9 보건의료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방안에 따른 국민의 의료기관 이용 변화 조사/김민경 외 2018  47
4549 9 보건의료 의료개혁과 의료계획의 수립/이규식, 이신호, 신현웅 2017  47